• 제목/요약/키워드: 내시경실

검색결과 6건 처리시간 0.024초

내시경실 간호사의 방사선피폭 방어행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Factors Influencing Endoscopy Nurses' Protective Behavior against Radiation Exposure)

  • 홍선미;신성희
    • 임상간호연구
    • /
    • 제20권2호
    • /
    • pp.177-188
    • /
    • 2014
  • Purpose: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dentify factors influencing endoscopy nurses' protective behavior against radiation exposure. Methods: Data were collected using self-report questionnaires from 122 endoscopy nurses in 21 hospitals located in Seoul, Gyeonggi province and six metropolitan cities in Korea.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SPSS 18.0 program and include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Results: 1) There were significant relationships between protective behavior and protective environment (r=.74, p<.001), number of education sessions on radiation protection (r=.32, p<.001), number of protective devices (r=.28, p=.002), number of fellow nurses (r=.27, p=.003), and protective attitude (r=.18, p=.048). 2) Protective environment (${\beta}=0.79$, p<.001), type of hospital foundation (${\beta}=0.18$, p=.011) and marital status (${\beta}=-0.13$, p=.040) significantly predicted endoscopy nurses' protective behavior against radiation exposure (adjusted R square=.58, p<.001). The most powerful predictor for protective behavior against radiation exposure was a protective environment. Conclusion: Effective protective behavior of endoscopy nurses from radiation exposure requires improvement in their protective environment. Hospital administrators and managers should make efforts to increase protective facilities in endoscopy departments and provide endoscopy nurses with regular education on radiation protection.

소화기 내시경실 간호사의 직무 스트레스와 직무 만족도 (Job Stress and Job Satisfaction among Nurses in Gastrointestinal Endoscopy Units)

  • 손승숙;양숙자
    • 임상간호연구
    • /
    • 제20권2호
    • /
    • pp.189-199
    • /
    • 2014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job stress and job satisfaction among nurses in gastrointestinal endoscopy units, and factors related to their job stress and job satisfaction. Methods: The study participants were 153 nurses working in gastrointestinal endoscopy units at eleven general hospitals. Job stress and job satisfaction were measured using nurses's job stress scale and the index of work satisfaction respectively. Results: The average job stress was 3.67 (range 1~5) and job satisfaction was 2.90 (range 1~5). Gastrointestinal endoscopy unit nurses, who were full time worker, having more than 7 years of clinical experiences, having higher incomes, having high subjective work-intensity, and having an intention to change their working units, showed greater job stresses than those of the others.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job satisfaction according to subjective health status, the types of employment, subjective work-intensity, subjective aptitude, intention to change working units, major nursing tasks, and the numbers of major nursing tasks. Also, the subjects's job stress showed a negative correlation with job satisfaction. Conclusion: Findings suggest that management strategies should be developed to increase job satisfaction focusing on general and job characteristics associated with job stress.

소화기 내시경실 간호사의 근골격계질환 증상, 근골격계부담작업이 프리젠티즘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Musculoskeletal Symptom and Burden Work on Presenteeism among Gastrointestinal Endoscopy Unit Nurses)

  • 이영주;유정옥
    • 한국직업건강간호학회지
    • /
    • 제32권4호
    • /
    • pp.152-163
    • /
    • 2023
  • Purpose: This study aimed to identify the effects of musculoskeletal symptoms and burden on presenteeism among nurses in a gastrointestinal endoscopy unit. Methods: This was an observational cross-sectional study. Data were collected through self-reported questionnaires administered to 140 nurses working in the gastrointestinal endoscopy unit of a hospital located in Busan metropolitan city. Results: The body part with the most musculoskeletal symptoms was the back (73.2%), and the most common musculoskeletal burden work was "when you have to stand or maintain the same posture for a long time in a lead apron protection clothes." The factors most related to work impairment were working hours, musculoskeletal symptoms, and musculoskeletal burden, with an explanatory power of 63.3%. Factors affecting perceived productivity were working hours and musculoskeletal symptoms, with an explanatory power of 29.2 %. Conclusion: To reduce work impairment and increase the perceived productivity of nurses in gastrointestinal endoscopy units, various programs and improved working environments are needed that can improve musculoskeletal symptoms and reduce musculoskeletal burden.

소아 식도 이물의 내시경적 적출방법 변화에 대한 고찰 (A Review of Endoscopic Removal Methods in 127 Cases of the Esophageal Foreign Bodies)

  • 김점수;양정수;정혜성;이민혜;박찬후;최명범;우향옥;윤희상
    • Clinical and Experimental Pediatrics
    • /
    • 제45권4호
    • /
    • pp.459-465
    • /
    • 2002
  • 목 적 : 식도 이물의 내시경적 적출의 최근 경향과 내시경적 적출의 유용성에 대해 알아보고 소아에서 유연형 내시경을 통한 식도 이물 제거술이 정착되기를 바라는 마음으로 이 연구를 시작하였다. 방 법 : 1987년 1월부터 2001년 7월까지 14년 6개월간 경상대학교병원 소아과와 이비인후과에서 식도 이물로 진단하여 유연형 내시경과 강직형 내시경으로 치료하였던 127례를 대상으로 하였다. 유연형 내시경의 경우는 소아과에서 Olympus사의 XP-20, XQ-240과 Pentax사의 2731와 다양한 보조 기구를 사용하고 전신마취나 midazolam이나 diazepam 등의 약제는 사용하지 않았다. 결 과 : 1) 연도별 분포 : 1998년까지는 이물의 제거에 강직형 내시경이나 유연형 내시경이 비슷하게 이용되어 왔다. 1999년 이후부터 유연형 내시경에 의한 이물의 제거가 활발히 이루어졌다. 2) 연령별, 성별 분포 : 유연형 내시경을 사용한 경우는 1세 미만의 경우 4례(6%)였고, 1-5세의 경우 43례(65.1%), 5-10세의 경우 17례(25.7%), 10-15세의 경우 2례(3.2 %)로 총 66례였다. 강직형 내시경을 사용한 경우는 1세 미만의 경우 8례(13.5%), 1-5세는 42례(68.8%), 5-10세는 7례(11.5%), 10-15세는 4례(6.6%)로 총 61례였다. 두 경우 모두 1-5세가 호발 연령이었다. 남녀 비를 보면 유연형 내시경을 사용한 경우 1.64 : 1이었고 강직형 내시경을 사용한 경우에는 1.13:1로 남아에서 다소 많았다. 3) 이물의 종류, 증상, 제거까지 걸린 시간 및 합병증 : 이물의 종류로는 유연형 내시경으로 제거한 경우는 54례, 강직형 내시경으로 제거한 경우 42례로 동전이 제일 많았고 임상 증상은 유연형 내시경의 경우에는 무증상이, 강직형 내시경의 경우에는 연하 곤란이 제일 많았다. 식도 이물을 제거까지 걸린 시간은 대부분 이물을 삼킨 후 24시간 이내였다(108례, 85%). 24시간 이후에 이물을 제거 한 경우는 병원에 늦게 온 경우이며 17례(5%)였다. 이중 합병증이 발생한 경우는 11례로 미란이 7례, 궤양소견을 보인 1례, 출혈 2례, 천공 소견을 보인 1례가 있었다. 4) 동반 질환 : 동반된 질환아 있었던 8례(7.5%)였으며 식도 협착이 5례, 뇌성 마비가 3례였다. 결 론 : 본 병원에 소아 내시경실이 생긴 이후 과거 10년 동안 소아 내시경에 의한 이물의 제거가 많이 이루어졌지만 뚜렷한 이점을 발견 할 수 없었던 강직형 내시경을 이용한 이물의 제거가 최근 2-3년 전까지도 활발히 이루어져 왔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유연형 내시경은 전신 마취의 불편함 없이도 쉽게 할 수 있는 안전하고 효과적인 방법이며, 최근 2-3년 간 유연형 내시경에 의한 식도 이물의 제거가 빈번해졌다. 앞으로도 내시경의 발달과 그 보조 기구의 발달로 인하여 전신 마취 없이 유연형 내시경을 사용한 이물의 제거는 활발히 이루어져야 할 것이고 처음에 시도하는 치료 방법으로 선택되어져야 할 것이다.

일부 종합병원 내시경실 근무자의 포름알데히드 노출에 관한 연구 (A Study on exposure-Worker to Formaldehyde in the Endoscopy Unit of Hospitals)

  • 김정훈;김대종;김현욱
    • 한국산업보건학회지
    • /
    • 제19권3호
    • /
    • pp.195-201
    • /
    • 2009
  • To identify relationship between the airborne concentrations of formaldehyde and the causal factors in the endoscope unit of hospitals, a total of 48 workers selected from 4 hospitals (3 university hospitals and 1 national hospital) were investigated. Airborne formaldehyde samples were collected using passive samplers and subsequently analyzed by HPLC according to the OSHA method 1007. The geometric mean(GM) of airborne formaldehyde concentrations was 0.056 ppm (range: 0.003~0.923 ppm). The rates of exceeding exposure limits of OSHA PEL-TWA and NIOSH REL-TWA were 4.2 % and 83.3%, respectively. The STEL GM concentration was 1.428 ppm(range: 0.103~14.773 ppm). Ventilation condition (p=0.001) and temperature (p=0.017)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causal factors for the airborne exposure concentration of formaldehyde in the endoscope unit of hospitals. In conclusion, the workers in the endoscope unit of hospitals were highly exposed to formaldehyde, and adequate controls such as appropriate management of ventilation and temperature are recommended to reduce over exposure to formaldehyde.

소아 결절성 십이지장염의 임상적 및 조직병리학적 소견 (Clinical and Histopathologic Features and Their Correlations in Children with Nodular Duodenitis)

  • 차한;팽성숙
    • Pediatric Gastroenterology, Hepatology & Nutrition
    • /
    • 제3권2호
    • /
    • pp.151-159
    • /
    • 2000
  • 목 적: 결절성 십이지장염은 내시경 검사상 십이지장에 두 개 이상의 홍반성 결절들이 보이며 주변에 염증 소견이 관찰되는 질환이다. 최근 위내시경 검사의 발달로 인해 결절성 십이지장염은 소아에서도 발생빈도가 증가하는데 아직 국내외적으로 전반적인 연구가 미미한 실정이다. 이에 저자들은 소아에서 결절성 십이지장염의 임상적 및 조직병리학적 소견을 조사하여 이 질환에 대한 전반적인 이해를 도모하고자 본 연구를 시행하였다. 방 법: 1995년 1월부터 1999년 12월까지 서울적십자병원 소아내시경실에서 시행된 상부위장관 내시경 검사상 결절성 십이지장염으로 진단된 39례를 대상으로 유병률, 성별 및 연령별 분포, 주증상, 내시경 소견과 조직병리학적 소견 및 이의 상관관계 등에 대해 후향적으로 연구를 실시하였다. 내시경 검사상 병변의 정도는 십이지장 결절의 크기와 분포에 따라 제 1, 2, 3 도로 분류하였고 십이지장의 조직병리학적 검사는 십이지장 고유층의 염증세포 침윤 정도, 상피세포 및 융모의 소실 정도에 따라 정상, 제 1, 2, 3 도로 분류하였다. 위의 조직학적 소견은 위점막의 고유판과 상피내에 염증세포의 침윤 정도 및 상피의 손상 정도에 따라 0에서 6까지 구분하였다. H. pylori의 감염 정도는 Prieto 등의 분류법에 따라 제 0, 1, 2, 3 도로 구분하였다. 십이지장에서 내시경적 소견의 정도와 조직병리학적 소견의 정도 및 H. pylori 감염 정도 간에 상관관계가 있는지 알아보기 위해 통계 프로그램으로 Graph PAD InStat의 linear regression module을 사용하여 correlation coefficient와 p-value를 구하였다. 결 과: 1) 결절성 십이지장염은 17.1%의 유병률을 나타내었고 남녀비는 1 대 2이었다. 7세부터 12세까지에서 가장 빈도(61.5%)가 높았고 주증상은 복통이 69.2%로 가장 많았다. 2) 본 질환의 내시경 등급은 제 1 도 45.7%, 제 2도 34.3%, 제 3 도 20.0%이었으며 동반된 내시경적 소견상 결절성 위염은 28.3%이었다. 3) 십이지장의 조직병리학적 검사상 제 1 도는 22.9%, 제 2 도는 54.3%, 제 3 도는 22.9%이었으며 위의 조직검사상 제 1 도는 22.9%, 제 2 도는 42.9%, 제 3 도는 25.7%, 제 4 도는 8.6%이었다. 4) 십이지장의 조직병리학적 검사상 H. pylori의 감염 정도는 제 1 도 5.7%, 제 2 도 8.6%, 제 3 도 22.9%로 37.1%의 십이지장 조직에서 H. pylori가 발견되었다. 위의 조직병리학적 검사상 H. pylori의 감염정도는 제 1 도 11.4%, 제 2 도 11.4%, 제 3 도 8.6%로 31.4%의 위 조직에서 H. pylori가 발견되었다. 5) 본 질환의 내시경적 등급과 조직병리학적 등급 간의 상관계수는 0.3983 (p=0.0178)이었고, 조직병리학적 등급과 십이지장 조직에서의 H. pylori 감염 등급간의 상관계수는 0.5154 (p=0.0018)이었다. 결 론: 결절성 십이지장염의 내시경적 등급과 조직병리학적 등급 사이에 통계적으로 의미있는 상관관계가 나타났으며(r=0.3983, p=0.0178), 또한 조직병리학적 등급과 십이지장 조직에서의 H. pylori 감염 등급간에도 통계적으로 의미있는 상관관계를보였다(r=0.5154, p=0.0018). 따라서 H. pylori 감염이 본 질환의 발생에 주요한 역할을 할 것으로 여겨지며 이외의 유발 원인에 대해서는 추후 지속적인 추적 관찰 및 보다 많은 연구가 시행되어야 하겠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