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내세포괴 colony

Search Result 3, Processing Time 0.02 seconds

Effect of the Isolation Method of Mouse Inner Cell Mass, Types of Feeder Cells and Treatment Time of Mitomycin C on the Formation Rate of ICM Colony (생쥐 내세포괴의 분리방법과 지지세포의 종류와 Mitomycin C 처리 시간이 내세포괴 Colony 형성률에 미치는 영향)

  • Jang, Ho-Jin;Ko, Kyung-Rae;Kim, Mi-Kyung;Na, Yong-Jin;Lee, Kyu-Sup
    • Clinical and Experimental Reproductive Medicine
    • /
    • v.33 no.4
    • /
    • pp.265-272
    • /
    • 2006
  • Objective: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evaluate the effect of the isolation methods of inner cell mass from mouse blastocyst, types of feeder cells and treatment time of mitomycin C on the formation rate of ICM colony. Methods: The inner cells were isolated by conventional immunosurgery, partial trophoblast dissection with syringe needles and whole blastocyst co-culture method. Commercially available STO and primary cultured mouse embryonic fibroblast (pMEF) feeder cells were used, and mitomycin C was treated for 1, 2 or 3 hours, respectively. The formation rate of ICM colony was observed after isolation of ICM and culture of ICM on the feeder cells for 7 days. Result: The ICM colony formation rate on STO were significantly higher in partial trophoblast dissection group (58%) than that in immunosurgery (12%) or whole blastocyst culture (16%) group (p<0.05). The formation rate on pMEF feeder layer was higher in partial trophoblast dissection (88%) and whole blastocyst culture (82%) group than that in immunosurgery (16%) group (p<0.05). When mitomycin C treated to pMEF for 2 hours, the formation rate of 88%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ose of other conditions. Conclusion: Above results showed that the efficient isolation method of ICM from blastocyst was the partial trophoblast dissection and the appropriate treatment time of mitomycin C was 2 hours. However, the subculture of ICM colony and characterization of stem cells should be carried out to confirm the efficacy of the partial trophoblast dissection method.

Isolation and Culture of Human Embryonic Stem-like Cells from Abnormal Blastocysts (비정상 포배기 배아에서 인간 배아줄기 유사 세포의 분리 및 배양에 관한 연구)

  • Lim, Chun-Kyu;Sung, Ji-Hye;Park, Jong-Hyuk;Kim, Sun-Jong;Yoon, Hyun-Soo;Koong, Mi-Kyoung;Jun, Jin-Hyun
    • Clinical and Experimental Reproductive Medicine
    • /
    • v.30 no.4
    • /
    • pp.293-298
    • /
    • 2003
  • 목 적: 인간의 배아줄기세포는 전분화능과 영속성을 가지고 있어 발생 및 분화에 관련된 기초 연구 뿐 만 아니라 재생의학, 약물검색 등에서도 매우 유용한 재료로 이용될 수 있다.본 연구에서는 유전체의 변형이 배아줄기세포주의 확립 효율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자 비정상적인 포배기 배아에서 내세포괴를 분리하여 배양하였다. 연구 방법: 인간의 체외수정 및 배아이식술에서 공여 받은1개 또는3개의 전핵이 관찰되는 비정상 수정란 (n=20)과 착상전 유전진단에서 이수성이 확인된 배아 (n=27)를 대상으로 하였다. 일반적인 immunosurgery 방법으로 영양배엽세포들을 제거하고 내세포괴를 분리한 후 PMEF 혹은 STO feeder 세포위에서 배양하였다. 배아줄기세포의 배양시스템을 검증하기 위해서 이미 확립된 Miz-hES1 cell line을 동시에 같은 조건 하에서 계대배양하였다. 결 과: 비정상 수정란에서 발생된 포배기 배아에서 분리한 1개의 내세포괴가 배아줄기세포와 유사한 colony를 형성하였으나, 계대배양에는 실패하였다. 이수성 배아에서 발생된 포배기 배아의 내세포괴 배양에서는 두개의 colony가 계대배양 중에 영양배엽세포의 형태로 분화되어 미분화 상태를 유지하지 못하였다. 동일한 시기와 조건 하에서 계대배양된 Miz-hES1 cell line이 미분화상태로 유지됨을 karyotyping (46, XY)과 immunophenotyping (positive in SSEA-3 and -4)으로 확인하였다. 결 론: 본 연구의 결과에서 비정상 수정란과 이수성 배아에서 발생된 포배기 배아에서 유래한 내세포괴는 배아줄기세포주 확립 및 미분화 상태 유지 능력이 매우 저조한 것으로 여겨진다. 따라서, 인간의 배아줄기세포주를 확립하는데 있어 배아의 정상여부가 중요한 요소로 작용할 것으로 생각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