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내성

검색결과 3,474건 처리시간 0.034초

대장균 설사중에 이환된 소, 돼지, 양에서 분리한 대장균의 약제감수성 (The in vitro Drug Resistance of Escherichia coli Isolated from Piglets, Calve, Lamb and Goats with Diarrhoea)

  • 김봉환;이재진;김동성
    • 대한수의학회지
    • /
    • 제19권2호
    • /
    • pp.121-126
    • /
    • 1979
  • 대장균 설사중에 걸린 어린 돼지, 송아지, 어린 양에서 분리한 대장균 126주의 항생제와 화학요법제(15종)에 대한 감수성을 disc diffusion technique로 조사한 성적은 다음과 같다. 1. 어린 돼지에서 분리한 62주의 대장균은 gentamicin(GM)에 100%, colistin(CL)에 96.8%, kanamycin(KM)에 93.5%, neomycin(NM)에는 91.9%가 감수성을 가지고 있었으나 ampicillin(AM), erythromycin(EM), lincomycin (LM), novobiocin (NB), penicillin (PC), streptomycin(SM), tetracycline(TC), sulfaisodimidin(SU)에는 내성을 가지고 있었다. chloramphenicol(CP), sulfamethoxazole-trimethoprim(SXT), cephalosporin(CE)에는 각각 75.8%, 64.5%, 50%가 감수성이 있었다. 2. 송아지에서 분리한 32주의 대장균은 GM에 100%, CL에는 87.5%, SXT에는 66.7%가 감수성이 있었으나 CP와 KM에는 각각 40.6%, SU에는 56.2% NM에는 62.5%, SM에는 87.5%가 내성을 가지고 있었다. EM, LM, NB, PC에는 전혀 감수성이 없었으며 AM, SM, TC에도 고도의 내성을 가지고 있었다. 3. 어린 양에서 분리한 32주의 대장균은 GM과CL에 100%, CP에 96.9%, KM과 NM에 90.6%가 감수성이 있었다. SM과 SU에도 71.9%나 감수성이 있었으나 CM, EM, LM, PC, TC에는 대부분 내성을 가지고 있었다. AM에는 21.9%가 감수성이 있었다. 4. 2종류 이상의 약제에 내성을 가진 대장균의 AM, CE, CP, CL, GM, KM, NM. SM, TC, SU등 10종의 약제에 대한 multiple drug resistance pattern(MDRP)을 조사한 바 돼지 유래 약제내성 대장균의 MDRP는 18가지였으며 이중 가장 빈도가 높은 것은 AM, CE, SM, TC, SU 내성형으로 전체의 24.2%나 되었다. 송아지 유래 약제내성 대장균의 MDRP는 17가지였으며, AM, CE, CP, KM, NM, SM, TC, SU 내성형이 28.1%로 가장 빈도가 높았다. 반면에 어린 양에서 분리한 대장균의 MDRP는 9가지였으며 AM, CE, SU의 3약제 내성형이 40.6%로 가장 많았다.

  • PDF

약제내성 Mycobacterium tuberculosis의 rpoB 유전자 분석과 클로닝 발현 (Analysis and Expression of Cloning of rpoB Gene of Drug-Resistant Mycobacterium tuberculosis)

  • 최은경;권태동;배선준;조해선;홍성갑
    •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 /
    • 제17권4호
    • /
    • pp.1005-1009
    • /
    • 2013
  • 마산병원과 결핵연구원에서 rifampin 내성균주를 확보하여 기존의 전통방법으로 검사된 항결핵제 내성균의 rifampin 내성관련 유전자인 rpoB (RNA polymerase beta subunit)의 변이를 DNA 염기서열 분석방법에 의하여 분석하였다. 그 결과 국내에서 분리되는 결핵균에서는 기존에 보고된 rpoB 변이부위와는 다른 위치의 DNA 염기 변이가 확인되었고 국내에서 여러 내성 결핵균주에서 변이가 발견되고 있지만 이러한 변이가 리팜핀 내성을 실제로 유발하는지 실험적으로 검증된 바는 없었다. 따라서 이러한 특이 부위의 rpoB변이들이 실제로 리팜핀 내성을 유발하는가를 확인하기 위하여 내성 결핵균주들의 rpoB 변이유전자를 polymerase chain reaction(PCR)으로 증폭하고 이것을 리팜핀 감수성 결핵균주에 cloning(클로닝)하고 발현시켜 rpoB 변이가 리팜핀에 대한 내성을 발생시켰음을 실험적으로 확인하였다.

Bentazon에 대한 고추품종간 내성 차이 (Differential Tolerance of Pepper Cultivars to Bentazon)

  • 토사폰 폰프롬;변종영
    • 한국잡초학회지
    • /
    • 제17권4호
    • /
    • pp.400-406
    • /
    • 1997
  • Bentazon에 대한 품종간 내성을 검정하기 위하여 온실에서 42 고추품종을 30일간 재배한 다음 Bentazon을 경엽처리하여 내성품종과 감수성품종을 선발하였다. 조풍, 종가집, 싱싱하우스, 녹광, 광복 및 일천 품종은 비교적 내성을, 대홍, 조광, 고려, 청양, 향촌 및 대장경 품종은 감수성을 나타냈다. 내성품종은 Bentazon 3.4 kg/ha 이상 수준에서도 감수성품종에 비하여 현저한 내성을 보였다. 고추생장은 50% 저해하는 Bentazon 농도$(I_{50})$는 감수성품종은 2.0~2.4 kg/ha, 내성품종은 10.0~12.0 kg/ha이며 또한 50% 생장을 감소시키는 Bentazon 농도 $(GR_{50})$는 감수성품종은 2.4 kg/ha이고 내성품종은 9.6 kg/ha이었다. 따라서 내성품종은 감수성 품종보다 5~6배 내성을 나타내었다.

  • PDF

항생제 내성균 및 유전자제거를 위한 염소 CT 값 비교 (The CT values Comparisons for Antibiotic Resistant Bacteria and Resistant Genes by Chlorination)

  • 오준식;김성표
    • 한국습지학회지
    • /
    • 제16권2호
    • /
    • pp.269-274
    • /
    • 2014
  • 본 연구의 목적은 항생제 내성 균과 유전자 및, 항생제 내성 전달을 제어하는데 필요한 살균능 (CT, 농도 * 접촉 시간)을 서로 비교하는데 있다. 이를 위하여, 이를 위해 각기 다른 염소 주입농도(C)와 접촉시간(T)에 따라 각각의 항생제 내성 제거를 산정하였다. 그 결과 항생제 내성균 90%(1 log)이상 제어를 위해서는 CT 값(176~353 mg min/L)이 필요하였으며, 항생제 내성 유전자의 제거를 위한 CT 값은 195~372 mg min/L 이었다. 또한 항생제 내성 유전자의 전이 90% 이상 제거를 위한 CT 값은 187~489 mg min/L이었다. 따라서, 본 연구조건에서는 항생제 내성 유전자 및 유전자의 전이에 대한 제어를 위해서는 항생제 내성균 제어보다 더 높은 소독능이 필요함을 알 수 있었다.

Salmonella 균속의 항균제 내성 및 R-plasmid (Antimicrobial Drug Resistance and R-plasmid of Salmonella species)

  • 이명원;정태화;이연태;강정복
    • 환경위생공학
    • /
    • 제3권2호
    • /
    • pp.23-41
    • /
    • 1988
  • 1986년 1월부터 12월 사이에 전국 시$\cdot$도 보건연구소 및 주요종합 병원으로부터 일차분리 수집된 Salmonelle균속 286주를 실험균주로 하여 확인동정 실험, 항균제 감수성검사, plasmid DNA분리 및 접합에 의한 내성전달 실험을 실시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분리된 균주를 sero-group별로 보면 B group이 158주 $(55.2\%)$로 가장 많이 분리되었고, A group이 45주 $(15.7\%)$, D1 group이 43주 $(15\%)$, Cl, C2 group이 22주 $(7.7\%)$등의 순으로 분리되었다. serovar별 분리수는 Salmonella typhimurium이 92주$(32.2\%)$로 가장 많이 분리되었고, S. paratyphi-A 45주 $(15.7\%)$, S. enteritidis 41주$(14.3\%)$, S. paratyphi-B 27주 $(9.4\%)$ 등의 순으로 분리되었다. 분리균주의 월별 분포를 보면 9월 $(17.5\%)$, 5월$(16\%)$, 6월 $(14.7\%)$, 7월 $(10.5\%)$, 8월과 10월$(7.3\%)$등의 순으로 분리되었으며 5월에서 10월 사이에 $73.4\%$인 210주가 분리되었다. 분리균주의 지역별 분포는 강원$(29.7\%)$, 서울 $(27.6\%)$, 충남 $(14.3\%)$등으로 분리되었고, 성별 분포에서는 남성이 $41.6\%$로 여성$(28.6\%)$에서 보다 많이 분리되었으며, 연령별 분리분포는 1세에서 60세까지 고르게 나타났다. 2. 항균제 감수성 검사에서는 제1 이상의 항균제에 내성을 나타내는 균주가 85주$(29.7\%)$로 나타났다. 각 항균제별 내성균주는 tetracycline에서 80주 $(28\%)$가 내성을 보여 가장 많은 내성을 나타냈으며, streptomycin 65주 $(22.7\%)$, ampilcillin, carbenicillin 54주 $(18.8\%)$, chloramphenicol 51주$(17.8\%)$ kanamycin 7주 $(2.4\%)$, co-trimoxazole 2주$(0.7\%)$, tobramycin 1주$(0.3\%)$로 나타났다. 또한 1제내성균이 $8\%$, 2제 내성균이 $2.4\%$, 4제 내성균이 $1.8\%$, 5제 내성균이 $15.4\%$, 6제 내성균이 $1.8\%$, 7제 내성균이 $0.3\%$로 나타났으며, 그 중에서도 AmCbCmSmTc에 동시 내성인 균주가 $15\%$로 가장 많이 나타났다. Sero-group별 내성 양상은 B group에서 $26.2\%$로 가장 많았고, C2 group $(2.4\%)$, D1, E4 group$(0.3\%)$로 나타났다. 3. 접합에 의한 내성전달 결과 1제에서 7제까지 다양한 내성패턴에서 내성전달이 일어났으며, 내성전달은 전달성 R-plasmid에 의한 것이었다. 4. plasmid DNA분리 결과 내성균주 전체에서 한 개에서 네 개의 plasmid를 가지고 있었으며, 그 분자량은 1.6에서 70 megadalton 사이에 있었다. 같은 도에서 분리된 균주들중 내성패턴이 같은 균주들의 plasmid 패턴은 유사하였다. 접합에 의해 전달된 plasmid의 분자량은 42-57 megadalton이었다.

  • PDF

국립의료원에 내원한 광역내성 폐결핵 환자와 다제내성 폐결핵 환자의 임상적 특성 비교 (Comparison of Clinical Characteristics between Pulmonary Tuberculosis Patients with Extensively Drug-resistance and Multi-drug Resistance at National Medical Center in Korea)

  • 김종경;송하도;조동일;유남수
    •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 /
    • 제64권6호
    • /
    • pp.414-421
    • /
    • 2008
  • 연구배경: 최근 광역내성 결핵은 공공보건에 중대한 문제가 되고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국립의료원에 내원한 폐결핵 환자들 중 광역내성 폐결핵 환자와 다제내성 폐결핵 환자의 임상적 특성을 비교 연구 하여 광역내성 및 다제내성 폐결핵에 대한 관심을 높이고 폐결핵 퇴치에 이바지하고자 하였다. 방 법: 2000년 1월부터 2007년 8월까지 객담 결핵균배 양양성 및 항결핵 약제에 대한 감수성검사가 행해진 환자를 대상으로 하였다. 감수성결과에 따라 광역내성군과 다제내성군으로 나눈 뒤, 의무기록을 토대로하여 임상적 특성을 후향적으로 비교분석 하였다. 결 과: 총 314명의 환자들 중 18명(5.7%)이 광역내성, 69명(22%)이 다제내성이었고 광역내성을 다제내성에 포함시켰을 때 광역내성이 다제내성에서 차지하는 비율은 20.69%였다. 연구된 임상적 특성들 중, 광역내성 또는 다제내성이 진단될 당시 결핵치료를 위한 폐절제술의 과거력이 광역내성군에서 더 많았으며(OR, 3.974; 95% CI, 1.052~15.011; p value, 0.032), 광역내성이나 다제내성으로 진단되기 전 복용중단기간을 포함한 이전 항결핵약제 복용기간의 평균도 광역내성군에서 더 길었다(광역내성군: 72.67개월, 다제내성군: 13.09개월, 평균복용기간의차이, 59.582개월; 95% CI, 31.743~87.420; p value, 0.000). 또한 복용기간이 길수록 광역내성 발생과 유의한 관계가 있었다(OR, 1.076; 95% CI, 1.038~1.117; p value, 0.000). 그 외 남성의 비율, 당뇨병의 빈도, 45세 미만의 연령, 2개월 이상 항결핵약제 복용을 중단한 경력, 다제내 성이나 광역내성으로 진단될 당시 흉부방사선사진에서 공동의 존재 빈도와 내성 진단 당시 객담 항산성균 도말 양성 검사 비율은 전체적으로 광역내성군에서 더 높았으나 통계적으로 유의하지는 않았다. 결 론: 광역내성 폐결핵 환자들에서 광역내성으로 진단될 당시 결핵치료를 위한 폐절제술의 과거력의 비율이 더 높았으며, 내성 진단 전 더 긴 항결핵약제 복용기간을 보여주었다. 또한 긴 복용기간은 유의하게 광역내성의 발생과 관련되어 있었다.

서울지역 한 대학병원에서 조사된 폐결핵 약제 내성률 및 위험인자 (The Prevalence and Risk Factors of Drug Resistant Pulmonary Tuberculosis Investigated at One University Hospital in Seoul)

  • 김도균;김미옥;김태형;손장원;윤호주;신동호;박성수
    •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 /
    • 제58권3호
    • /
    • pp.243-247
    • /
    • 2005
  • 연구배경 : 한국에서 결핵환자의 유병률은 지속적으로 감소하고 있으나 약제에 대한 내성은 치료 실패의 중요한 요인이다. 국가적인 조사가 시행되지 않는 현 시점에서 지속적인 내성률 조사가 더욱 필요하다. 이에 저자들은 최근 4년간 서울 소재 한 대학병원에서 조사된 결핵균의 내성률 및 관련된 위험인자를 조사하였다. 대상 및 방법 : 1999년 3월부터 2003년 3월까지 한양대학교 의료원에서 치료 받은 결핵환자 중 결핵 배양 및 감수성 검사를 시행한 239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결 과 : 239명 중 한가지 이상의 약제에 내성을 보인 경우는 25명(21.8%)였고, 다제 내성 결핵은 30명(12.6%)이었다. INH, RFP, EMB, SM, PZA의 내성률은 각각 18.4%, 13.8%, 11.7%, 6.7%, 8.4%였다. 과거 결핵 치료력이 있는 환자는 90명이었으며 이들 중 약제 내성률은 36.7%, 다제 내성률은 25.6%였다. 약제 내성을 보인 환자의 63.5%는 과거 치료력이 있었으며 약제 감수성군의 과거 치료력은 30.5%였다. 결 론 : 서울에 소재한 한 대학병원에서 조사된 결핵 내성률은 21.8%, 다제 내성 결핵의 비율은 12.6%였다. 과거 결핵 치료력이 있는 경우에 약제 내성률이 높았다.

벼 품종(品種)의 제초제(除草劑) Thiobencarb에 대한 내성(耐性) 검정(檢定) (Tolerance of Rice(Oryza sativa L.) Genotypes to Herbicide Thiobencarb)

  • 신서호;이영만
    • 한국잡초학회지
    • /
    • 제17권2호
    • /
    • pp.176-184
    • /
    • 1997
  • 1. 제초제(除草劑) thiobencarb에 대한 수도(水稻) 내성(耐性) 품종(品種) 선발(選拔)에서 약제(藥劑) 처리(處理) 농도(濃度)의 적정(適定) 수준(水準)은 3.0kg ai/ha가 가장 효과적(效果的)인 내성(耐性) 선발효과(選拔效果)를 기대할 수 있었으며, 수도(水稻) 643개 품종(品種) 및 계통(系統)에 대한 내성(耐性) 검정(檢定) 결과(結果) Yamabiko, M73 (23)F.A, wx139-3-64-20-3-1을 선발(選拔)하였다. 2. Thiobencarb 내성(耐性) 수도(水稻) 품종(品種) 선발(選拔) 과정(過程)에서 내성(耐性) 품종(品種)과 감수성(感受性) 품종간(品種間)에 약제(藥劑)에 대한 반응(反應)은 왜화현상(矮化現像)에 있어서 뚜렷한 차이(差異)를 나타내고 있음을 알 수 있었으며, 동일 품종(品種)의 개체간(個體間)에 있어서도 약제에 대한 내성(耐性)은 다소의 차이(差異)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3. 초장(草長)은 제초제(除草劑) 처리(處理) 14일(日)까지는 농도(濃度) 증가(增加)에 따라 무처리(無處理)에 비해 내성(耐性) 품종(品種)은 10%, 감수성(感受性) 품종(品種)은 13%의 감소(減少)를 보였고, 약제(藥劑) 처리(處理) 21일후(日後)부터는 처리농도(處理濃度)의 증가(增加)에 따라 내성(耐性)및 감수성(感受性) 품종(品種)모두 무처리(無處理)에 비해 증가(增加)하였다. 4. 분약수(分藥數)는 약제(藥劑) 처리(處理) 21일후(日後)부터 처리농도(處理濃度)에 따라 내성(耐性)과 감수성(感受性) 품종(品種)모두에서 무처리(無處理)보다 증가(增加)하였으며, 내성(耐性) 품종(品種)은 감수성(感受性) 품종(品種)보다 2~3 개 더 많은 증가(增加)를 나타냈다. 5. 지상부(地上部) 건물중(乾物重)은 thiobencarb 처리(處理) 35일후(日後)부터 내성(耐性)과 감수성(感受性) 품종(品種)모두에서 무처리(無處理)에 비해 30~50% 증가(增加)하였고, 지하부(地下部) 건물중(乾物重)은 내성(耐性)과 감수성(感受性) 품종(品種) 모두에서 무처리(無處理)에 비해 감소(減少)하였지만, 35일후(日後)부터는 50~100%이상 증가(增加)하였다.

  • PDF

Cispatin 내성인 사람 위암 세포주 SNU-1의 복합약제내성 및 Verapamil의 효과 (Multidrug Resistance and Cytotoxicity of Anticancer Drug by Verapamil in Cisplatin Resistant Human Stomach Cancer Cell)

  • 손성권;김정희
    • Journal of Yeungnam Medical Science
    • /
    • 제9권1호
    • /
    • pp.75-89
    • /
    • 1992
  • 복합약제내성암세포주의 출현은 암의 화학 요법에 있어서 중요한 문제점중의 하나이며 이 복합내성 암세포의 출현에 대한 정확한 기전은 아직 밝혀져 있지 않다. 본 실험에서는 약제내성 암세포의 다른 항암제에 대한 복합내성 형성정도와 calcium 길항제인 verapamil에 의한 내성극복 정도를 비교하고 내성 암세포의 세포막 단백질의 변화를 관찰하였다. 사람의 위암 세포주 SNU-1을 cisplatin 농도 $0.001{\mu}M$에서 시작하여 $10{\mu}M$까지 증가시켜 내성세포 SNU-1/$Cis_5$를 얻었으며, MTT assay로 세포성장을 관찰한 결과 doubling time은 SNU-1이 약 29 시간, SNU-1/$Cis_5$는 약 38시간으로 내성세포가 감수성세포보다 성장속도가 느린 것을 관찰하였다. 약제 감수성 검사를 위해서 4일간의 MTT assay로 대조군에 대한 50% 세포 생존시의 약제농도 $IC_{50}$를 비교하여 상대적 내성도 (Relative Resistance, RR)를 측정하였는데 cisplatin, 81.4; vinblastine, > 43.0; epirubicin, 22.9 ; dactinomycin, 16.0 ; etoposide, 15.0 ; vincristine, 9.2 ; adriamycin, 5.7 ; aclarubicin, 5.3으로 관찰되었고 그외의 약제인 cyclophosphamide, 5-fluorouracil, methotrexate, daunorubicin에서는 낮게 나타났다. $10{\mu}M$의 verapamil에 의한 내성 억제 효과는 vincristine, 13.1 ; epirubicin, 10.0 ; etoposide, 6.3 ; vinblastine, 4.4 ; dactinomycin, 3.6 ; daunorubicin, 2.4로 나타났다. Radioiodination을 이용한 SDS-PAGE로 SNU-1/$Cis_5$에서 항암제 내성과 관련된 것으로 여겨지는 51,400와 81,300 dalton의 막단백질의 발현을 관찰하였다.

  • PDF

한국(韓國)의 환자(患者) 및 건강인(健康人)에서 분리(分離)한 E.coli의 약제내성(藥劑耐性) 및 R Plasmids (Drug Resistance and R Plasmids of Escherichia coli in Patients and Healthy Individuals in Korea)

  • 설성용
    • 대한미생물학회지
    • /
    • 제12권1호
    • /
    • pp.11-18
    • /
    • 1977
  • 항균제(抗菌劑)로 치료(治療)한 환자(患者)와 항균제(抗菌劑)를 투여(投與)받지 않은 의사(醫師) 및 학생군(學生群)으로부터 총(總) 665주(株)의 E. coli를 분리(分離)하여 약제내성(藥劑耐性) 및 R Plasmid의 분포(分布)를 조사(調査)했다. 분리주(分離株)의 약(約) 25-41%가 chloramphenicol, tetracycline, streptomycin sulfisomidine 및 ampicillin(AP)에 내성(耐性)이었고 9.5%가 kanamycin에 내성(耐性)이었으며 nalidixic acid에 내성(耐性)인 균주(菌株)는 극히 드물었다. 내성주(耐性株)는 의사(醫師) 및 학생군(學生群)에서보다 환자군(患者群)에서 월등(越等)히 높았다. 4 또는 그 이상(以上)의 약제(藥劑)에 내성(耐性)인 다제내성주(多劑耐性株)는 의사(醫師) 및 학생군(學生群)보다 환자군(患者群) 분리주(分離株)에서 월등(越等)히 많은 반면 3제(劑) 또는 그 이상(以上)의 약제(藥劑)에 내성(耐性)인 균주(菌株)의 빈도(頻度)는 3군(群) 분리주(分離株) 사이에 큰 차이(差異)가 없었다. 4제(劑) 또는 그 이상(以上)의 약제(藥劑)에 내성(耐性)인 균주(菌株)를 보유(保有)하고 있는 사람은 의사(醫師) 및 학생군(學生群)보다 환자군(患者群)에서 그 빈도(頻度)가 높았다. 거의 대부분(大部分)의 약제(藥劑) 내성주(耐性株)는 모든 내성(耐性) 특히 AP 내성(耐性)을 접합(接合)에 의하여 약제감수성(藥劑感受性)인 E. coli에 전달(傳達)했다. 다제내성(多劑耐性)을 가지는 균주(菌株)는 그 근원(根源)에 관계(關係)없이 더 높은 빈도(頻度)로 약제내성(藥劑耐性)을 전달(傳達)하는 경향(傾向)이 있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