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내부프로세스관점

Search Result 73, Processing Time 0.034 seconds

Analysis of the Causal Relationship of Perspectives of Balanced Scorecard for SCM (균형성과표의 네 관점에 대한 인과관계 분석 : SCM 추진기업들의 경영성과를 중심으로)

  • Jang, Hyeong-Wook
    • Journal of Korea Society of Industrial Information Systems
    • /
    • v.11 no.5
    • /
    • pp.1-10
    • /
    • 2006
  • This study constructs a causal relationship model of balance scorecard(BSC) performance in supply chain management(SCM). According to the results, the sample companies show the causal relationship of learning and growth performance, internal process performance, customer performance, and financial Performance indices in SCM. And this study implies that BSC performance indices gives, through direct causal relations among them, impact on the ultimate financial performance of firms.

  • PDF

An Empirical Study on the Performance Improvement Strategy for Korean Shipping Companies by the Balance Score-card (외항선사의 성과개선 구축전략에 관한 실증연구)

  • Ahn, Ki-Myung;Um, Man-Sung;Ha, Min-Ho
    • Journal of Navigation and Port Research
    • /
    • v.32 no.3
    • /
    • pp.185-192
    • /
    • 2008
  • This paper firstly aims to classify the applicability of the Balanced Scorecard approach to Korean ocean-going shipping firms' management system. The applicability of this approach from Korean shipping firms using Balanced Scorecard will create more effective and efficient organizational performance with reflecting non-financial indexes and making a balance among missions in organization. Secondly, the paper suggests positive information and theoretical evidences to improve Korean shipping firms' management system with examining an availability of the Balanced Scorecard as one method of management tools. So these factors are analysed by structural equation model. This study provides CEO in Korean ocean-going shipping firm the guideline and availability of the Balanced Scorecard as to what kinds of factors should be considered and what is the most critical factor to adopt the BSC into their business.

SCM을 실행한 기업의 경영성과에 관한 실증적 연구

  • Kim, Jong-Weon;Kim, Eun-Jung;Jang, Hyeong-Wook
    • Proceedings of the Korea Society for Industrial Systems Conference
    • /
    • 2009.05a
    • /
    • pp.39-48
    • /
    • 2009
  • 본 연구에서는 SCM를 통해 기업이 추진하는 목표들이 기업의 경영성과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살펴보기 위해서 파트너십이 실시간기업의 특성요인인 민첩성 및 기업내부 가시성과 경영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자 한다. 본 연구의 목적은 다음과 같다. 첫째, 공급사슬 기업의 파트너십 (몰입, 신뢰, 상호의존성)이 민첩성 및 기업내부 가시성을 매개하여 기업의 경영성과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분석하고자 한다. 둘째, 민첩성과 기업내부 가시성이 BSC 네 가지 관점인 학습 및 성장관점, 내부 프로세스관점, 고객관점, 재무관점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 BSC 네 가지 관점간의 인과관계를 분석하고자 한다. 본 연구의 실증연구에서는 공급사슬관리를 실행하고 있는 실시간 기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온라인과 오프라인을 통해 자료를 수집하였으며, 최종적으로 82개의 표본을 분석에 사용하였다. 이러한 실증결과는 SCM과 RTE를 추구하는 기업의 실무자들과 연구자들에게 많은 시사점을 제공하리라 여겨진다.

  • PDF

Multi-perspective process modeling (프로세스 모델링을 위한 개념적 틀)

  • 권태형;연광호;최은희
    • Proceedings of the Korean Operations and Management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1995.09a
    • /
    • pp.233-248
    • /
    • 1995
  • 조직변혁(OT:Organizational Tranformation)은 Macro(거시적), Micro(미시 적), Meso(중간적) 관점과 사회적, 기술적 관점을 혼합하여 전체적으로 6가 지의 가능성을 갖는 영역을 생성할 수 있다. 최근 조직 설계와 관련된 많은 연구들은 급변하는 환경에 대한 조직의 반응으로써 기능 중심의 조직설계 대신 Meso관점의 프로세스 중심의 조직 설계를 통한 조직 변혁을 제안해 왔다. 프로세스 재설계 혹은 리엔지니어링과 같은 용어로 등장하는 이 관점 은 서로 다른 연구분야 사이의 상호 연계적 적용을 증가시키고 적절한 자원 할당 및 혼합을 가능하게 함으로써 고객요구와 경쟁력 같은 외부요구사항과 내부적 생산성등을 연계시키고자 한다. 프로세스 모델링은 프로세스 중심의 조직 설계를 통한 조직 변혁의 중요한 도구로 사용될 수 있다. 조직 변혁의 6개 영역과 프로세스의 구성요소 중 일부에만 관심을 갖는 기존의 프로세스 모델링 관점들-기능적 업무(task) 중심의 '기능 관점', 행위적 논리(logic) 중 심의 '행위 관점', 조직적 역할 (roles) 중심의 '조직 관점'-을 반영한 프로세 스 모델은 프로세스 수행목적의 표현과 프로세스 재설계의 기회 발견에 한 계가 있다. 본 연구에서는 프로세스 모델링 기법에 의해 표현되어야 하는 프 로세스 구성요소들을 5W1H를 기준으로 분류하고, 기존 모델링 관점들이 가 지는 한계점의 해결을 위해 두 가지의 새로운 프로세스 모델링 관점-프로세 스 목적과 가치를 표현하는 '정보 관점', 프로세스의 측정에 대한 계량적 정 보를 표현하는 '측정 관점'-을 제시하고, 조직 변혁이 여러 관점들의 통합을 지원하는 프로세스 모델링을 위한 개념적 틀(MPPM)과 프로세스 모델에서 표현되어야 하는 프로세스 구성요소들을 제시하였다.용자 만족도가 보다 높은 것으 로 나타났다. 할 수 있는 효율적인 distributed system를 개발하는 것을 제시하였다. 본 논문은 데이타베이스론의 입장에서 아직 정립되어 있지 않은 분산 환경하에서의 관계형 데이타베이스의 데이타관리의 분류체계를 나름대로 정립하였다는데 그 의의가 있다. 또한 이것의 응용은 현재 분산데이타베이스 구축에 있어 나타나는 기술적인 문제점들을 어느정도 보완할 수 있다는 점에서 그 중요성이 있다.ence of a small(IxEpc),hot(Tex> SOK) core which contains two tempegatlue peaks at -15" east and north of MDS. The column density of HCaN is (1-3):n1014cm-2. Column density at distant position from MD5 is larger than that in the (:entral region. We have deduced that this hot-core has a mass of 10sR1 which i:s about an order of magnitude larger those obtained by previous studies.previous studies.업순서들의 상관관계를 고려하여 보다 개선된 해를 구하기 위한 연구가 요구된다. 또한, 준비작업비용을 발생시키는 작업장의 작업순서결정에 대해서도 연구를 행하여, 보완작업비용과 준비비용을 고려한 GMMAL 작업순서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연구가 수행되어야 할 것이다.로 이루어 져야 할 것이다.태를 보다 효율적으로 증진시킬 수 있는 대안이 마련되어져야 한다고 사료된다.$\ulcorner$순응$\lrcorner$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다. 그렇기

  • PDF

An Empirical Study in the Effects of Six Sigma Project Management System on Project Balanced Scorecard (6시그마 프로젝트 관리시스템의 활용이 프로젝트 균형성과지표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실증적 연구)

  • Yang, Jong-Gon
    •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 /
    • v.10 no.8
    • /
    • pp.2068-2077
    • /
    • 2009
  • While six sigma project management systems have been widely used as a knowledge management systems, no one has proposed an empirical explanation for impacts of project management systems on project performance. This study proposes a structural equation model of the project management system that relates learning/growth, internal growth, customer performance, and financial effects based on six sigma project performance. The relationships are investigated using data collected from a sample of green and black belts. The results indicate that there are a causal relationship with use of project management and learning/growth and internal process, internal process and customer performance, and customer and financial performance. However, there is no relationship between internal process and financial effects. The results suggest that six sigma project system could effectively be implemented as a knowledge management system to improve six sigma performance of green an black belts. This study also compares index of SEM's model fit of research model and that of alternative models for further analysis. The result shows that index of research model of index is better than that of alternative model.

CRM within e-business landscape (전체 e-비즈니스를 통해 조망한 고객관계 관리)

  • 최승억
    • Proceedings of the Korea Database Society Conference
    • /
    • 2001.06a
    • /
    • pp.1-9
    • /
    • 2001
  • o CRM은 모든 e-business 전략의 초석임 o 고객 중심이 되도록 모든 업무 프로세스를 정리함 o 기업 내/외부의 모든 업무 프로세스를 통합함 o 공급망 및 기업 내부와의 통합이 필수적임 o CRM 실현 기술 및 패키지 관점의 프로젝트가 아니라, 명확한 기업의 목표 및 고객 특성 분석에서 출발해야 함. (중략)

  • PDF

A Study of Status and Alternative System on Six Sigma Project Evaluation System (6시그마 프로젝트 평가시스템 현황과 대안연구)

  • Yang, Jong-Gon
    • Journal of Korea Society of Industrial Information Systems
    • /
    • v.13 no.5
    • /
    • pp.124-132
    • /
    • 2008
  • Most companies in Korea that are implementing six sigma programs evaluate belt's project performance based on their own evaluation systems. Financial performance is a major criterion to evaluate project performance. New project evaluation systems which are based on not only financial performance but also non-financial performance need to be presented for better performance system. The study presents the integration system of balanced scorecard and six sigma project evaluation systems to show balanced view points of performance. Each evaluation index of four view points are presented in the study and could be utilized for alternative project evaluation systems.

  • PDF

고등교육기관의 평가인증제가 대학 경영성과에 미치는 영향 -전문대학을 중심으로

  • Yun, Mun-Do;Seo, Yeong-Uk
    • Proceedings of the Korea Technology Innovation Society Conference
    • /
    • 2017.05a
    • /
    • pp.753-783
    • /
    • 2017
  • 본 연구는 고등교육기관의 평가인증제가 대학의 경영성과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알아보기 위하여 1주기 기관평가인증제가 대학 균형성과표(BSC) 4가지 관점의 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할 목적으로 진행되었다. 이를 위하여 고등교육기관의 1주기 평가인증제에 대한 내용을 살펴보고, 대학 조직의 균형성과표(BSC) 및 1주기 기관평가인증제의 성과분석에 대한 선행연구에 대해 살펴보았다. 그리고 독립변수인 기관평가인증제 즉, 기관평가인증제도에 대한 관심의 정도, 기관평가인증의 평가준비에 대한 적절성, 기관평가인증의 자체평가에 대한 만족도가 대학 균형성과표(BSC)의 고객관점, 내부프로세스 관점, 학습과 성장 관점, 재무 관점의 4가지 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 검증하였다. 기존의 1주기 기관평가인증제의 성과분석에 관한 선행 연구들은 주로 평가인증제 체제 자체의 성과와 각 평가요소에 있어서 대학의 변화에 초점을 두고 성과를 분석함으로써 정작 기관평가인증제가 평가인증의 평가대상인 대학의 경영성과에 미친 영향에 대한 분석은 제대로 이루어지지 못하였다. 이러한 점에서 기관평가인증제가 대학의 경영성과에 미친 영향을 분석한 결과 첫째, 기관평가인증제중 기관평가인증의 평가준비에 대한 적절성과 기관평가인증의 자체평가에 대한 만족도는 대학 BSC의 고객 성과에 정(+)의 영향을 미치지만, 기관평가인증제도에 대한 관심 정도는 고객 성과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기관평가인증제 중 기관평가인증의 평가준비에 대한 적절성과 기관평가인증의 자체평가에 대한 만족도는 대학 BSC의 내부프로세스 성과에 정(+)의 영향을 미치지만, 기관평가인증제도에 대한 관심 정도는 내부프로세스 성과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기관평가인증제 중 기관평가인증제도에 대한 관심 정도와 기관평가인증의 자체평가에 대한 만족도는 대학 BSC의 학습과 성장 성과에 정(+)의 영향을 미치지만, 기관평가인증의 평가준비에 대한 적절성은 학습과 성장 성과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기관평가인증제 중 기관평가인증의 평가준비에 대한 적절성과 기관평가인증의 자체평가에 대한 만족도는 대학 BSC의 재무 성과에 정(+)의 영향을 미치지만, 기관평가인증제도에 대한 관심 정도는 재무 성과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기관평가인증의 평가준비와 자체평가 과정을 통해 실질적인 교육체계 혁신이나 내부프로세스 효율성 향상으로 인해 교육의 질이 개선되어 학생의 만족도와 선호도가 높아지며, 아울러 안정적 재원확보와 재원의 효율적 관리를 가져오는 것으로 해석된다. 그리고 기관평가인증제도에 대한 인식과 관심은 인증 획득이라는 목표를 설정하게 하고, 기관평가인증의 자체평가를 통해 인증평가에서 요구하는 기준 이상을 충족하도록 학습과 혁신이 이루어지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본 연구의 결과는 학령인구의 급감 등 급변하는 대학의 대내외 환경에서 생존을 넘어 지속가능한 발전을 도모하기 위해 평가인증제를 다양한 대학의 경영성과로 연계할 경영전략 수립에 유용한 정보를 제공할 것이다.

  • PDF

CSI 와 COI 의 연계 분석 및 SLA 를 통한 서비스 품질 고도화 전략에 대한 연구

  • Im, Ji-Yeon;Lee, Min-Jeong;Bae, Seong-Uk;Park, Sang-Chan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for Quality Management Conference
    • /
    • 2006.11a
    • /
    • pp.90-95
    • /
    • 2006
  • 고객 만족도조사 (Customer Satisfaction Index)는 기업 외부 관점에서 고객의 만족도를 조사하여 기업의 서비스 품질 개선에 기여한다. 그러나 기업 외부 관점의 고객만족도만의 서비스 평가뿐 아니라 내부 직원의 업무 평가를 통한 서비스 품질 개선도 필요하다. 내부 직원의 업무 평가는 직원 개개인의 능력까지 평가할 수 있는 COI(Customer Orientation Index)통해 이루어질 수 있다. 따라서 CSI 와 COI를 연계 분석하면 기업 외,내부 관점에서의 효과적이 서비스 품질 개선이 가능하다. 또, 고객만족을 위한 높은 서비스 품질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서비스 품질 개선뿐 아니라 지속적인 관리와 모니터링도 필요한데 CSI 만으로는 한계가 있다. 이를 위해 CSI 분석 결과 도출된 핵심관리 프로세스를 지표화 하여 관리하기 위해 서비스 수준 계약서 (Service Level Agreement)에 반영하여 관리할 수 있다.

  • PDF

A Study to analyze Management Perfomance Building BSC for Hotels (BSC시스템 구축을 위한 호텔기업의 전략적 탐색)

  • Chung, tae-woong
    • Proceedings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8.05a
    • /
    • pp.343-347
    • /
    • 2008
  • There are two kind of system in hotel for evaluating management. the first is infra system, for example Front management system - reservation system, C/I, C/O system, POS system , web system, call center management -, Back office system, interface system, and so on which manage direct control for hotel, and next is strategic system, for example BSC , CS . which is supporting hotel managemen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find using the Balanced Scorecard to evaluate hotel management perfomance. Management performance is based on productivity, quality, time, effect, and responsiveness. Hotel economic value is not equal visual asset which is measured financial value. It is include hotel brand, image, customers who have good loyalty, employees who give customers special service, and systems which was affected by internal process. In conclusion, innovation, growth, internal system process, empioyee and customer have effect hotel performance. Therefore hotel has to know non-financial performance which has positively relate to financial performance.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