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내방사선 광섬유

검색결과 8건 처리시간 0.021초

800nm급 펨토초 레이저로 제작된 FBG 센서의 내방사선 특성 (Radiation resistant Characteristics of Fiber Bragg Grating Sensors made with 800-nm femtosecond laser)

  • 김종열;이남호;정현규;손익부
    • 한국정보통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통신학회 2017년도 추계학술대회
    • /
    • pp.711-713
    • /
    • 2017
  • 본 논문에서는 800nm급 펨토초 레이저와 위상마스크를 이용하여 게르마늄이 첨가된 일반 광섬유(Corning SMF-28)에 FBG 센서를 가공하였다. 제작된 FBG 센서는 누적방사선 100 kGy급 감마선에 조사하여 방사선 영향을 평가하였다. fs-FBG-2 센서는 방사선 조사 중에 불완전한 광특성을 보였지만, fs-FBG-1 센서는 누적선량 100kGy에서 Bragg 파장변화가 10pm 이하로 나타나 뛰어난 내방사선 특성을 보였다.

  • PDF

내방사 광섬유의 감마선 영향 분석 (Analysis of Gamma Radiation Effects of Commercial Radiation-Resistant Optical Fibers)

  • 류국빈;김영웅;김종열;황영관
    • 한국정보통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통신학회 2022년도 추계학술대회
    • /
    • pp.620-622
    • /
    • 2022
  • 광섬유가 방사선에 노출되면 코어 내에 컬러센터가 형성되어 광 투과성이 저하된다. 방사선 유도 손실이라 하며, 소재, 구조 등의 변화를 통해 방사선 유도 손실을 줄이고 내방사선 특성을 개선한 광섬유가 활발히 연구되고 있다. 우주, 원자력 발전소 등 극한 환경에서도 통신 및 광응용 시스템을 구축하는데 내방사 광섬유를 활용할 수 있다는 장점 때문이다. 본 발표에서는 상용 내방사 광섬유의 감마선 조사에 의한 영향을 분석한 결과를 보인다.

  • PDF

광민감 광섬유와 일반 단일모드 광섬유로 제작한 브래그 격자 센서의 감마방사선 영향 (Gamma-radiation Effects on Fiber Bragg Gratings Written in Photo-sensitive and Commercial Single-mode Optical Fibers)

  • 김종열;이남호;정현규;임돈순
    • 한국정보통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통신학회 2014년도 춘계학술대회
    • /
    • pp.701-704
    • /
    • 2014
  • 본 논문에서는 광민감 광섬유와 일반 단일모드 광섬유로 제작된 광섬유 브래그 격자 센서의 감마방사선 영향을 분석하였다. 제작된 광섬유 브래그 격자 센서는 $Co^{60}$ 감마선원을 이용하여 300 Gy/min의 선량률로 총선량 17.8 kGy 감마선을 조사하였다. 실험결과를 통하여 수소로딩을 하지 않은 광민감 광섬유로 제작된 격자 센서가 가장 낮은 18 pm의 브래그 파장 이동을 보였다.

  • PDF

광섬유 코팅 재료에 따른 펨토초 레이저 가공 FBG 센서의 방사선 영향 (Gamma-Radiation Effects of Femtosecond Direct-writing Fiber Bragg Gratings on Optical Fiber Coating Materials)

  • 김종열;이남호;손익부
    • 한국정보통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통신학회 2018년도 춘계학술대회
    • /
    • pp.638-640
    • /
    • 2018
  • 본 논문에서는 800nm급 펨토초 레이저를 이용하여 FBG 센서를 제작하였다. 제작된 센서는 누적 방사선량 100kGy 감마선에 조사하였고, 광섬유 코팅재료에 따른 방사선 영향을 평가하였다.

  • PDF

광섬유 브래그 격자 센서를 이용한 국내외 상용 단일모드 광섬유의 감마선 영향 연구 (A Study of Gamma-ray Irradiation Effects on Commercially Available Single-mode Optical Fiber using Fiber Bragg Grating Sensor Systems)

  • 김종열;이남호
    •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 /
    • 제16권10호
    • /
    • pp.2287-2292
    • /
    • 2012
  • 본 논문에서는 Ge가 함유된 일반 단일모드 광섬유의 감마선 유입손실을 측정하였다. 방사선 선원은 $Co^{60}$ 감마선 선원을 이용하였으며, 총 4시간동안 0.5 kGy/hr, 2 kGy/hr, 8 kGy/hr의 선량률로 조사하였다. 그 결과 감마선 조사에 의한 단일모드 광섬유의 전송손실이 뚜렷하게 나타났으며, 동일 누적선량에서 선량률이 클수록 전송손실이 증가하는 선량률 효과가 나타났다. 또한 감마선 조사 종료 후 광섬유의 전송손실이 클수록 유입손실의 회복률이 증가하는 어닐링 특성을 보였다. 본 실험결과는 향후 광섬유의 내방사화 연구의 기초자료로 활용할 것이다.

펨토초 레이저로 제작된 광섬유 브래그 격자 센서의 방사선 영향 (Radiation Effects on Fiber Bragg Gratings Written by Femtosecond Laser)

  • 김종열;이남호;정현규;임돈순
    • 한국정보통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통신학회 2015년도 추계학술대회
    • /
    • pp.961-963
    • /
    • 2015
  • 본 논문에서는 펨토초 레이저로 제작된 광섬유 브래그 격자 센서의 감마방사선 영향을 연구하였다. 제작된 광섬유 브래그 격자 센서는 $Co^{60}$ 감마선원을 이용하여 106 Gy/min의 선량률로 총선량 31.6 kGy 감마선을 조사하였다. 실험결과를 통하여 펨토초 레이저로 제작된 격자 센서가 고방사선 환경에서 뛰어난 내방사선 특성을 가짐을 확인하였다.

  • PDF

상용 단일모드 광섬유의 양성자 영향 (Proton induced Effects on Commercial Single-mode Optical Fibers)

  • 김종열;김영웅;류국빈;황영관;이민웅;송근영
    • 한국정보통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통신학회 2022년도 추계학술대회
    • /
    • pp.623-625
    • /
    • 2022
  • 본 논문에서는 양성자 가속기를 이용하여 5종류의 상용 단일모드 광섬유에 대해서 양성자 조사에 따른 전송손실 특성평가를 수행하였다. 조사 시험에 사용된 양성자 빔은 100 MeV 급의 고에너지를 가지며, 빔 조사면적에 대한 균일도는 10% 이하로 설정하여 시험을 수행하였다. 양성자 조사에 따라서 광섬유 종류(내부 소재, 불순물)의 영향에 따라서 방사선 유입에 의한 광 손실 특성은 큰 차이를 보였다.

  • PDF

고온 어닐링 조건에 따른 FBG 센서의 내방사선 특성 (Radiation Hardness Characteristics of Fiber Bragg Gratings on the High Temperature Annealing Condition)

  • 김종열;이남호;정현규
    •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 /
    • 제20권10호
    • /
    • pp.1980-1986
    • /
    • 2016
  • 본 논문에서는 KrF 레이저를 이용한 격자 공정 후 고온 어닐링 온도조건에 따른 감마방사선 영향을 분석하였다. 제작된 광섬유 브래그 격자는 게르마늄(Ge)이 첨가된 동일한 광섬유에 어닐링 온도를 달리하여 제작하였으며, $Co^{60}$ 감마선원을 이용하여 약 115 Gy/min의 선량률로 총선량 약 31 kGy 감마선을 조사하였다. 격자의 안정화를 위한 고온 어닐링 공정은 광섬유 브래그 격자의 방사선 민감도 변화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실험결과를 통하여, 각각 다른 온도(100, 150, $200^{\circ}C$)로 안정화시킨 광섬유 브래그 격자들은 고온에 노출될수록 방사선 민감도가 증가했으며, 어닐링 온도조건에 따라서 방사선에 의한 브래그 파장 변화는 2배 이상의 차이를 보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