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내막두께

검색결과 35건 처리시간 0.021초

자궁강내인공수정시 황체기 보강으로서 경구 미분화 프로게스테론과 디드로게스테론의 비교 (Comparison of Oral Micronized Progesterone and Dydrogesterone as a Luteal Support in Intrauterine Insemination Cycle)

  • 장은정;지병철;김상돈;이정렬;서창석
    • Clinical and Experimental Reproductive Medicine
    • /
    • 제37권2호
    • /
    • pp.153-158
    • /
    • 2010
  • 목 적: 과배란유도 후 자궁강내 인공수정 시술시 황체기 보강으로서 경구 미분화 프로게스테론 투여법과 경구 디드로게스테론 투여법의 임상적 효용성을 비교하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2007년 1월부터 2009년 8월까지 시행된 과배란유도 후 자궁강내 인공수정 시술 183주기를 후향적으로 분석하였다. 과배란유도는 성선자극호르몬 단독 또는 클로미펜과 성선자극호르몬의 병합요법을 사용하였다. 136주기에서는 황체기 보강으로서 경구 미분화 프로게스테론을 하루 300 mg으로 투여하였고 47주기에서는 디드로게스테론을 일일 20 mg으로 투여하였다. 결 과: 여성의 연령, 불임 인자, 성숙난포수 ($\geq$16 mm), 총운동성정자수, triggering 날의 자궁내막 두께는 두 군간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자궁내 태낭이 확인되는 임상적 임신율은 미분화 프로게스테론 투여군에서 21.3%, 디드로게 스테론 투여군에서 19.1%로 차이가 없었다 (p=0.92). 유산율은 미분화 프로게스테론 투여군에서 다소 높은 경향을 보였으나 통계학적인 차이는 없었다 (34.5% vs. 11.1%, p=0.36). 결 론: 황체기 보강으로서 경구 디드로게스테론 투여법은 경구 미분화 프로게스테론 투여에 비하여 비슷한 임신율과 유산율을 보였다. 그러나 상대적으로 디드로게스테론 투여군의 수가 적어 좀더 많은 환자를 대상으로 한 전향적 연구가 필요하다.

Saccharomyces cerevisiae에 대(對)한 제초제(除草劑) Paraquat의 증식(增殖)저해 작용(作用) 및 효모균체(酵母菌體)의 미세구조(微細構造)의 변화(變化) (Growth Inhibition and Ultra-Structural Changes of Saccharomyces cerevisiae by Paraquat)

  • 박영실;김미림;최경호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29권4호
    • /
    • pp.359-365
    • /
    • 1986
  • 대수증식(代數增殖) 중기(中期)의 S. cerevisiae에 $2{\times}10^{-3}M$의 paraquat를 처리(處理)하여 균체(菌體) 증식(增殖), 균체(菌體)의 일반적(一般的)형태 및 미세구조(微細構造)에 미치는 영향을 검토하였다. 균체(菌體)의 증식(增殖)은 Paraquat 처리(處理) 후(後) 조해(阻害)되기 시작하여 처리(處理) 6시간(時間) 이후(以後) 완전(完全)히 조해(阻害)되었다. 이 기간동안 탁도(濁度)는 0. 1에서 3.6으로, 건물(乾物) 중량(中量) 1ml당 2.75mg으로부터 3.35mg으로, 총균수(總菌數)는 ml당2 $1.14{\times}10^8cell$로부터 $2.15{\times}10^8cell$로 증가(增加)되었으나 6시간(時間) 이상(以上) 처리시간(處理時間)이 길어짐에 따라 역(逆)으로 감소되었고 사균율(死菌率)은 초기의 0.28%로부터 6시간(時間)째에는 5%, 12시간(時間)째에는 72%로 계속 증가(增加)되었다. Paraquat 처리(處理)에 의하여 균체(菌體)의 크기가 균일(均一)치 못하게 되었으며 세포벽(細胞壁)의 두께가 $0.15{\mu}m$(대조구(對照區) $0.20{\mu}m$)로 얇아지는 반면에 외측(外側)의 전자(電子)밀도가 높아졌으며 12시간(時間) 이상(以上)의 처리(處理)에 의하여 원형질막(原形質膜) 및 mitochondria와 같은 내막구조(內膜構造)가 와해되었다.

  • PDF

정상 월경주기를 가진 불임환자에서 질식초음파검사를 이용한 자궁내막 형태 및 두께의 변화 양상에 관한 연구 (Transvaginal Ultrasonographic Analysis of Endometrial Pattern and Thickness Changes in Normal Menstrual Cycle)

  • 서창석;김석현;최영민;김정구;문신용;이진용
    • Clinical and Experimental Reproductive Medicine
    • /
    • 제25권2호
    • /
    • pp.153-160
    • /
    • 1998
  • The objective of this retrospective study was to evaluate whether the transvaginal ultrasonographic analysis of endometrial pattern and thickness could predict the stage of menstrual cycle. Endometrial pattern and thickness were observed in those patients receiving infertility work up from April, 1994 to July, 1998 at Seoul National University Hospital. The study group was 185 patients with normal regular menstrual cycles. Among them, 44 patients received endometrial biopsy, and the date of endometrium was compared with the observed endometrial pattern and thickness. The observed endometrial pattern was presence or absence of central cavity echogenicity, triple line sign, endometrial hypoechogenicity, ring sign, endometrial hyperechogenicity and posterior acoustic sonic enhancement. The results were as follows; Central cavity echogenicity was seen throughout menstrual cycle. Triple line sign was observed in 81.1% of patients during early secretory phase. However, in mid to late secretory phase, triple line sign was appeared in only 6.8%. The percentage of positive endometrial hypoechogenicity was highest in early secretory phase. In contrast to hypoechogenicity, positive endometrial hyperechogenicty was highest in mid to late secretory phase. Ring sign was observed in 73.5% of the patients during early secretory phase with peak incidence. Posterior acoustic enhancement was seen in 72.7% of the patients during late secretory phase. The sensitivity and specificity of being a secretory phase if the patients showed hyperechogenic endometrium, were 84.2%, 83.3% respectively. The sensitivity and specificity of being a secretory phase if the patients showed posterior acoustic enhancement were 93.8%, 58.3% respectively. Endometrial thickness was not correlated with endometrial dating. In conclusion, transvaginal ultrasonographical delineation of the endometrial pattern might be useful tool in predicting endometrial status during normal menstrual cycle. But, endometrial thickness could not predict the endometrial dating.

  • PDF

돼지의 UCP3 유전자의 단일염기서열 변이와 경제형질과의 연관성 분석 (Association of a Single Nucleotide Polymorphism with Economic Traits in Porcine Uncoupling Protein 3 Gene)

  • 오재돈;이건우;정일정;전광주;이학교;공홍식
    • 생명과학회지
    • /
    • 제21권1호
    • /
    • pp.155-158
    • /
    • 2011
  • Uncoupling protein (UCP) 3 유전자는 갈색지방세포의 미토콘드리아 내막에 존재하며 탈공역 산소(uncoupling oxygen)를 통해 ATP를 생산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는 세포 내의 과다 에너지를 열로 발산시키는 기능을 하고 있다. 본 연구는 돼지의 UCP 3 유전자 내 missense mutation의 유전자형을 조사하고 경제형질과의 연관성을 분석하기 위하여 실시하였다. 돼지의 UCP3 유전자의 염기서열 분석을 통해 1405 bp 지역에서(accession number: AY739704) G염기가 A염기로 치환되는 변이를 확인하였다. 확인된 변이지역은 G가 A로 치환됨으로 인해 150번째 아미노산 서열이 glycine (GGG)에서 arginine (AGG)으로 바뀌는 missense mutation임을 확인하였다. 각 유전자형의 빈도는 0.164(GG), 0.587(GR) 그리고 0.249(RR)로 확인되었으며, 각 대립유전자의 빈도는 0.458(G)과 0.542(R)로 확인되었다. 돼지 UCP3의 G150R 유전자형과 경제형질 간의 연관성을 분석한 결과 등지방두께에 있어 유의적인 연관성이 검출되고 일당증체량과 90 kg 도달일령에서는 유의적인 값이 검출되지 않았다.

체외수정시술의 반복적인 실패 환자에서 옥시토신 길항제 주입이 착상 및 임신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Administration of Oxytocin Antagonist on Implantation and Pregnancy Rates in Patients with Repeated Failure of IVF/ICSI Treatment)

  • 안준우;김정훈;김소라;전균호;김성훈;채희동;강병문
    • Clinical and Experimental Reproductive Medicine
    • /
    • 제36권4호
    • /
    • pp.275-281
    • /
    • 2009
  • 목 적: 본 연구는 반복적으로 체외수정시술/난자세포질내 정자주입술을 실패했던 환자에서 배아 이식시 옥시토신 길항제의 투여가 임신율 및 착상율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2회 이상의 체외수정시술/난자세포질내 정자주입술을 실패했던 40명의 환자들을 대상으로 전향적 무작위 연구를 진행하였다. 과배란유도 방법으로 생식샘자극호르몬분비호르몬 길항제 다회투여법이 사용되었다. 실험군에서는 옥시토신 길항제로 atosiban (vasopressin $V_{1A}$/oxytocin antagonist)을 배아 이식 한 시간 전에 atosiban 6.25 mg을 일회 정주한 뒤, 18 mg/hour의 속도로 지속적 정맥 주입하였다. 배아 이식이 끝난 뒤 atosiban을 6 mg/hour로 감속하여 2시간 동안 추가로 정맥 주입하였다. 실험군과 대조군간의 체외수정시술 결과를 비교 분석하였다. 결 과: 실험군과 대조군간의 평균 나이, 불임 기간 및 체질량 지수와 기저 혈중 난포자극호르몬 및 에스트라디올 농도, 기저 난포강 난포의 수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또한 투여된 재조합 인간 난포자극호르몬 (rhFSH)의 총 용량과 투여 기간, 발달된 난포의 개수 및 자궁내막의 두께 역시 통계학적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수집된 난자 및 성숙 난자의 수와 수정된 난자와 1등급 혹은 2등급의 배아 및 이식된 배아의 수에도 두 군간의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착상율을 비교하였을 때 실험군은 16.9% (11/65), 대조군은 6.0% (4/67)로 나타났고, p=0.047로 두군 간에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임상적 임신율의 경우 실험군은 40.0%로 대조군의 20.0%에 비해 높게 나타나으나 통계학적 유의성엔 도달하지 못하였다. 또한 자궁외 임신 및 유산율에 있어서는 두 군 간에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결 론: 체외수정시술/난자세포질내 정자주입술을 시행 받는 환자들에서 배아 이식 동안 옥시토신 길항제를 투여하는 것은 자궁의 수축을 감소시켜 착상율을 증가시킬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