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내구성 향상

Search Result 902, Processing Time 0.027 seconds

Characteristics of Painting Film Corresponding with Particle Distribution of Oyster Shell Powders (굴 패각 분말의 입자분포에 따른 도막특성)

  • Song, You Na;Park, Ga Yeong;Lee, Han Hyoung;Chung, Yong Jae
    • Journal of Conservation Science
    • /
    • v.32 no.2
    • /
    • pp.261-271
    • /
    • 2016
  • We have investigated relationship between particle characteristics of oyster shell powder pigments and their performance such as workability and durability. Three types of the powder which have different particle size and shape(spherical, elliptical, columnar and irregular) distributions were made for this study and we evaluated spreadability and uniformity for workability, and adhesion and surface hardness for durability of painted films by each powder paints. As a result, we found out that the workability and durability of the paints were influenced by the particle shape distribution more than the particle size distribution. The durability, especially, was enhanced as the ratio of columnar particles in the powders was increased. This result verifying the important factor affecting the durability can be base data for selecting oyster shell white paint and assessing its quality for conservation and restoration of Dancheong, as well as to produce high quality traditional paints.

Effect of Annealing Temperature on the Durability of PEMFC Polymer Membrane (PEMFC 고분자막의 어닐링 온도가 내구성에 미치는 영향)

  • Lee, Mihwa;Oh, Sohyeong;Park, Yujun;Yoo, Donggeun;Park, Kwonpil
    • Korean Chemical Engineering Research
    • /
    • v.60 no.1
    • /
    • pp.7-11
    • /
    • 2022
  • In the membrane forming process of a proton exchange membrane fuel cell (PEMFC), drying and annealing heat treatment processes are required for performance and durability. In this study, the optimal annealing temperature for improving the durability of the polymer membrane was studied. It was annealed in the temperature range of 125~175 ℃, and thermal stability and hydrogen permeability were measured as basic data of durability at each annealing temperature. The electrochemical durability was analyzed by Fenton reaction and open circuit voltage (OCV) holding. The annealing temperature of 165 ℃ was the optimal temperature in terms of thermal stability and hydrogen permeability. In the Fenton reaction, the fluorine emission rate of the membrane annealed at 165 ℃ was the lowest, and the lifespan of the membrane annealed at 165 ℃ was the longest in the OCV holding experiment, confirming that 165 ℃ was the optimal temperature for the durability of the polymer membrane.

Development of surface treatment materials for improving durability of metallic bipolar plates in PEMFC (연료전지용 금속분리판 내구성 향상을 위한 표면처리기술 개발)

  • Kim, Myong-Hwan;Goo, Young-Mo;Yoo, Seung-Eul
    • 한국신재생에너지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8.05a
    • /
    • pp.41-44
    • /
    • 2008
  • 본 연구에서는 고분자 전해질 연료전지용 금속분리판의 전기화학적 부식을 방지하기 위한 금속 첨가 DLC(Diamond-like-carbon) 표면처리 방법을 개발하였으며, stainless steel 304를 모재로 하여 텅스텐 첨가 DLC, 티타늄 첨가 DLC, 몰리브덴 첨가 DLC 금속분리판을 제작하였다. 제작된 금속분리판을 이용하여 내구성 평가,전기화학적 부식 특성, 성능평가 및 접촉저항 특성 등을 평가하였다. 전기화학적 부식특성의 경우 각각의 분리판에 대해 6.69, 1.2, 1.0 ${\mu}A/cm^2$로 모재인 STS 304의 25 ${\mu}A/cm^2$의 부식전류밀도에 비해 우수한 부식특성을 보였다. 또한 초기 성능에서 몰리브덴 첨가 DLC 분리판의 경우 300 mA/$cm^2$에서 0.757 V로 측정되었으며, 이는 graphite 분리판 측정 결과인 0.758 V와 유사한 성능을 보였다. 또한 내구성 평가에서 초기 성능 대비 성능 감소율이 10% 감소하는데 소요된 시간은 graphite 분리판의 경우 2,000시간으로 나타났으며, 몰리브덴 첨가 DLC 분리판의 경우 1,700시간으로 측정되었다. 1,500시간 까지의 성능 감소율은 grphite,텅스텐 첨가DLC,티타늄 첨가DLC, 몰리브덴 첨가 DLC 분리판 순으로 각각에 대해 37.7, 60.3, 92.8, 45.7 ${\mu}V$/hr로 나타났다.

  • PDF

Durability of High Early Strength Concrete Using Fine Particles Cement (미립자 시멘트를 이용한 조강 콘크리트의 내구성 검토)

  • Kim, Yong-Jic;Park, Sang-Joon;Kim, Kyoung-Min
    • Journal of the Korea Concrete Institute
    • /
    • v.23 no.6
    • /
    • pp.757-763
    • /
    • 2011
  • In order to secure the effective high early age strength of the concrete, the study was carried out with a goal of functional improvement of cement. This study was carried out as a follow up for the previous study, which analyzed the high early age strength and durability of concrete mixed with fine particle cement (FC) during cement production. The experimental results showed that the target range for each mix was satisfied at fresh state of concrete. Also, when mixed with fine particles cement, the setting time improved. Additionally, compressive strength and heat of hydration increased and remained same, respectively. Especially, the durability remained same even when mixed with fine particle cement.

A study on the functional coatings using silicone resin of Architectural membrane structures products (건축용 막구조 제품의 실리콘 기능성 코팅에 관한 연구)

  • Choi, Yun-Sung;Lee, Jang-Hun;Yoon, Nam-Sik;Kim, Su-Hong;Yoo, Gu-Geun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Dyers and Finishers Conference
    • /
    • 2012.03a
    • /
    • pp.106-106
    • /
    • 2012
  • 막구조(Membrane structure)란 건축분야에서 "fabric structure" 또는 tension structure"와 같이 사용되는 용어로 코팅된 직물(coated fabrics)을 주재료로 사용하는 구조를 말한다. 특히 구조체로서 연성의 막을 이용 이것에 초기 장력을 주어 강성을 늘림으로서 외부하중에 대하여 안정된 형태를 유지하는 장점을 갖고 있다. 초기 창안된 독일의 온화한 기후에 적용되는 반면 한국이나 일본에는 60m/sec를 넘나드는 태풍의 피해와 많은 적설량을 보이는 기후적 제약으로 발달되지 못하였다. 그러나 최근 새로운 소재의 막구조 제품 개발과 구조해석 방법 및 시공기술 등이 개발되어 보편화되어지고 있는 실정이다. 막구조용 재료로 사용되는 섬유소재는 주로 Polyester직물을 기재로 한 PVC 코팅 제품으로 일반 PVC 막재는 장력이 약하고, 광선에 의한 물성이 쉽게 변화되어 내구연한이 5~15년에 불과하다. 유리섬유나 아라미드섬유 등으로 제직한 기재에 고내열 실리콘이나 PTFE 수지를 코팅한 제품은 약품에 대한 내구성이 높고 자외선에 대해서는 매우 큰 저항성을 가지기 때문에 내구연한이 10년에서 30년 까지도 향상된다. 그러나 실리콘 코팅막은 세계적으로 가장 좋은 막재로 알려졌으나 자정능력(Self Cleaning)에 문제가 발생되어 사용량이 감소 추세라고 할 수 있다. 일반적인 코팅 가공의 경우 MEK, Toluene, DMF 등과 같은 유기용제를 다량 사용함에 따라 작업환경 및 대기오염, 화재 위험 등의 문제점이 있으며 특히 가공시 잔류되는 유기용제의 심각성이 대두되고 있는 상황이다. 이와 같이 코팅 가공제 자체를 친환경적인 물질로 대체하여 각종 환경규제에 대응하고 유해 폐기물의 발생을 줄일 수 있는 코팅 가공제 및 가공기술 개발이 절실하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Glass-Fiber, Aramid 등의 슈퍼 섬유와 고 강력 섬유 등을 이용하여 PTFE 코팅제품과 비슷한 수준의 성능을 부여하는 무용제형 실리콘 코팅 수지를 개발하고 내구성능 향상, Self Cleaning성, 난연성, 자외선 차단, 인장강도 및 인열 강도의 향상 등 다양한 기능성을 부여하는 최적의 환경 친화적 코팅 공정 기술을 개발하여 차세대 건축용 막구조 제품을 개발하고자 한다.

  • PDF

Analysis of the Effect of Maximum Aggregate, Porosity, and Temperature on Durability of Porous Asphalt Mixtures (최대입경, 공극률, 그리고 온도가 다공성 아스팔트 혼합물의 내구성에 미치는 영향분석)

  • Yoo, In-Kyoon;Lee, Su-Hyung;Park, Ki-Soo
    •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 /
    • v.21 no.12
    • /
    • pp.227-233
    • /
    • 2020
  • The demand for porous asphalt mixtures is increasing because it has a range of functions, such as reducing traffic accidents and traffic noise. On the other hand, its application is delayed due to concerns about durability. This study examined the effects of the maximum aggregate size, temperature, and porosity of an asphalt mixture on the durability. To this end, the durability measure was set to the Cantabro loss rate. Mixtures having the same porosity of 20% and the maximum aggregate diameters of 13 mm, 10 mm, and 8 mm were tested at 20℃ and -20℃. Mixtures containing 20% and 22% voids with the same material having the same diameter were tested. With 20% porosity,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durability when there was a change in the maximum aggregate size.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20℃ and -20℃, but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durability when there was a 2% difference between 20% and 22%.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is that the durability was presented quantitatively by tests and statistical analysis. This research will help improve the durability of porous asphalt mixtures by evaluating the factors affecting the durability quantitatively.

A Study on Enhancement of the Durability of Permeable Pavement Material (투수성 도로포장재의 내구성 향상에 관한 연구)

  • Oh, Hun-Su;Hong, Young-Keun
    • Elastomers and Composites
    • /
    • v.42 no.2
    • /
    • pp.93-101
    • /
    • 2007
  • In this study, for enhancing the durability of permeable pavement material polyurethane(PU) adhesives were developed, and the physical properties upon polymerization and additives were studied. PU polymerization followed the bulk polymerization of free solvent type considering ecological aspect. Additives used in this study were carbon black, calcium carbonate and ultra violet stabilizer. The property changes upon different environment were evaluated with the compressive strength which is the principal measurement of the property of pavement materials. Among polymerized PU, one formulated with esterpolyol and crosslinkable chain extender gave the highest compressive strength of $74.9kgf/cm^2$, better than commercial $60kgf/cm^2$. The strength was the highest when the material specimen contained carbon black and calcium carbonate 20 wt%, respectively. However, UV stabilizer did not show good weathering properties.

Development of Eco-Concrete Block Consider of Infiltration Effect (투수효과를 고려한 친환경 콘크리트 블록 개발)

  • Moon, Young-Il;Yoo, Kyung-Hee;Yoon, Sun-Kwon;Son, Chan-Young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1.05a
    • /
    • pp.304-304
    • /
    • 2011
  • 최근 도시화에 따른 인구증가와 더불어 도로포장 등 불투수면적의 증가로 인하여 우기시 빗물 침투가 차단되어 도심의 지하수위가 저하되며 토양의 건토화, 열섬현상 등의 문제가 발생하게 되었다. 이러한 문제점에 착안하여 본 연구에서는 투수효과를 최대한 고려할 수 있는 고강도의 친환경 콘크리트 블록(에크스톤 바이오 블록; ECOSTONE-BIO BLOCK)을 개발하였으며 기존 콘크리트 블록의 자연적 빗물침투 억제의 문제점을 일부 개선하였다. 본 블록은 캡슐공법을 사용하여, 공극률은 높이면서(투수성 향상), 강도와 내구성이 유지됨은 물론 캡슐안에 황토성분을 첨가하여, 바이오적인 기능 및 재생골재를 이용한 친환경적 제품으로 투수성, 내구성, 기능성을 극대화 시켰다. 또한 제품표면은 천연 백색돌맹이, 흑색돌맹이의 배합으로 자연석재 느낌을 구현하였으며, 쇼트블라스트 및 커링 표면공정으로 미끄럼저항지수를 조절할 수 있어, 기존 콘크리트 보도블록에 비해 투수율, 내구성, 기능성, 안전성이 우수하여, 안전한 보행환경이 가능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마지막으로, 주변 환경과 잘 어울리도록 디자인된 바이오기능성 친환경 블록으로 도심지역 시공시 투수효과에 따른 지하수고갈방지 및 침수피해에 도움을 주리라 사료된다.

  • PDF

A Study on Durability Enhancement of Hopper of the Transplanter (정식기 호퍼 내구성 향상에 관한 연구)

  • Lee, Dongkeun;Kim, Young-Joo;Yang, Seung-Hwan;Lee, Sangdae;In, Hyunki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for Agricultural Machinery Conference
    • /
    • 2017.04a
    • /
    • pp.51-51
    • /
    • 2017
  • 정식기는 주로 노외에서 사용되므로 사용자에 따라 극심한 작업환경 하에 놓일 수 있다. 사용 중 정식기 호퍼에 토양이나 자갈, 돌 등에 의해 반복적인 하중이 가해지거나 순간적인 충격하중이 가해져 취약부가 파손될 가능성이 있으므로, 토양과 직접 맞닿는 삽날부의 경우 내구성을 고려한 설계/제작이 필수적이다. 본 연구에서는 보행형 반자동 정식기 개발에서 고추묘와 같은 초장이 긴 작물의 묘를 효과적으로 이식할 수 있도록 개선된 삽날에 대해 기존 삽날과 강도 및 강성을 비교하고, 그 결과가 삽날의 내구성에 미칠 영향에 대하여 고찰하였다. 실험에는 양날 개폐 방식의 기존 및 개선삽날 2종이 사용되었으며, 각각 3회씩 정적 강도를 평가하였다. 실제 정식기 사용시 하중이 가해지는 방향은 삽날에 수직한 방향의 압축하중으로 이를 모사하여 일정변위 속도로 삽날에 하중을 가하였으며, 시험 진행시 DAQ 시스템을 통해 실시간으로 하중 및 변위 데이터를 저장하여 시험 종료 후 해당 데이터를 이용하여 $P-{\delta}$ 선도를 도출하였다. 시험 결과 기존삽날의 평균 최대하중이 개선삽날에 비해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최대 하중이 나타나는 지점의 변위의 경우, 기존삽날이 개선삽날에 비해 짧게 나타났다. 정적 강도측면에서 개선삽날이 기존삽날에 비해 최대 강도가 낮은 것으로 판단할 수 있으나, 실제 호퍼의 내구성에 영향을 줄 수 있는 주요 인자는 반복적으로 가해지는 비교적 낮은 수준의 충격하중으로 볼 수 있다. 이러한 관점에서 볼 때 일정 수준 이상의 강도를 가지면서, 기존삽날에 비해 낮은 강성을 가지는 개선삽날이 변형을 통한 충격에너지 흡수로 오히려 삽날 조립체(호퍼)의 내구성 측면에서 유리할 수 있다. 따라서 향후에는 기존 및 개선삽날을 적용한 호퍼에 대해 피로시험을 수행하여 관련 내용을 실험적으로 검증하고자 한다.

  • PDF

Surface control and durability evaluation of CNT and ITO coated PET transparent electrode with different dry conditions (건조 상태에 따른 CNT 및 ITO로 코팅된 PET 투명전극의 표면 조절 및 내구성 평가)

  • Kwon, Dong-Jun;Wang, Zuo-Jia;Gu, Ga-Young;Park, Joung-Man
    • Composites Research
    • /
    • v.24 no.5
    • /
    • pp.17-22
    • /
    • 2011
  • Recently transparent electrodes using carbon nanotube (CNT) have been studied actively to replace conventional ITO. In this work, CNT or ITO coated poly(ethylene terephthalate) (PET) were prepared by controlling the surfaces since the cohesion degree depends upon drying conditions. As transparent electrode application, 3 drying temperatures were set as 20, 80, and $120^{\circ}C$ to produce the change of surface properties. Interfacial durability and electrical properties of prepared transparent electrodes were evaluated by electrical resistance measurement. Surface change with changing drying temperature was observed by FE-SEM, whereas the transparency change was measured by UV-spectroscopy. The electronic properties of nanoparticle coated surface were evaluated using cyclic voltametry method upon the surface change with controlled drying temperature. Durability of CNT coated surfaces was better than ITO coated ease. As drying temperature increased, better coated surface was prepared due to improved cohesion among nanoparticles, which resulted in increased electrical properti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