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남황해 분지

Search Result 11, Processing Time 0.024 seconds

Stratigraphic response to tectonic evolution of sedimentary basins in the Yellow Sea and adjacent areas (황해 및 인접 지역 퇴적분지들의 구조적 진화에 따른 층서)

  • Ryo In Chang;Kim Boo Yang;Kwak won Jun;Kim Gi Hyoun;Park Se Jin
    • The Korean Journal of Petroleum Geology
    • /
    • v.8 no.1_2 s.9
    • /
    • pp.1-43
    • /
    • 2000
  • A comparison study for understanding a stratigraphic response to tectonic evolution of sedimentary basins in the Yellow Sea and adjacent areas was carried out by using an integrated stratigraphic technology. As an interim result, we propose a stratigraphic framework that allows temporal and spatial correlation of the sedimentary successions in the basins. This stratigraphic framework will use as a new stratigraphic paradigm for hydrocarbon exploration in the Yellow Sea and adjacent areas. Integrated stratigraphic analysis in conjunction with sequence-keyed biostratigraphy allows us to define nine stratigraphic units in the basins: Cambro-Ordovician, Carboniferous-Triassic, early to middle Jurassic, late Jurassic-early Cretaceous, late Cretaceous, Paleocene-Eocene, Oligocene, early Miocene, and middle Miocene-Pliocene. They are tectono-stratigraphic units that provide time-sliced information on basin-forming tectonics, sedimentation, and basin-modifying tectonics of sedimentary basins in the Yellow Sea and adjacent area. In the Paleozoic, the South Yellow Sea basin was initiated as a marginal sag basin in the northern margin of the South China Block. Siliciclastic and carbonate sediments were deposited in the basin, showing cyclic fashions due to relative sea-level fluctuations. During the Devonian, however, the basin was once uplifted and deformed due to the Caledonian Orogeny, which resulted in an unconformity between the Cambro-Ordovician and the Carboniferous-Triassic units. The second orogenic event, Indosinian Orogeny, occurred in the late Permian-late Triassic, when the North China block began to collide with the South China block. Collision of the North and South China blocks produced the Qinling-Dabie-Sulu-Imjin foldbelts and led to the uplift and deformation of the Paleozoic strata. Subsequent rapid subsidence of the foreland parallel to the foldbelts formed the Bohai and the West Korean Bay basins where infilled with the early to middle Jurassic molasse sediments. Also Piggyback basins locally developed along the thrust. The later intensive Yanshanian (first) Orogeny modified these foreland and Piggyback basins in the late Jurassic. The South Yellow Sea basin, however, was likely to be a continental interior sag basin during the early to middle Jurassic. The early to middle Jurassic unit in the South Yellow Sea basin is characterized by fluvial to lacustrine sandstone and shale with a thick basal quartz conglomerate that contains well-sorted and well-rounded gravels. Meanwhile, the Tan-Lu fault system underwent a sinistrai strike-slip wrench movement in the late Triassic and continued into the Jurassic and Cretaceous until the early Tertiary. In the late Jurassic, development of second- or third-order wrench faults along the Tan-Lu fault system probably initiated a series of small-scale strike-slip extensional basins. Continued sinistral movement of the Tan-Lu fault until the late Eocene caused a megashear in the South Yellow Sea basin, forming a large-scale pull-apart basin. However, the Bohai basin was uplifted and severely modified during this period. h pronounced Yanshanian Orogeny (second and third) was marked by the unconformity between the early Cretaceous and late Eocene in the Bohai basin. In the late Eocene, the Indian Plate began to collide with the Eurasian Plate, forming a megasuture zone. This orogenic event, namely the Himalayan Orogeny, was probably responsible for the change of motion of the Tan-Lu fault system from left-lateral to right-lateral. The right-lateral strike-slip movement of the Tan-Lu fault caused the tectonic inversion of the South Yellow Sea basin and the pull-apart opening of the Bohai basin. Thus, the Oligocene was the main period of sedimentation in the Bohai basin as well as severe tectonic modification of the South Yellow Sea basin. After the Oligocene, the Yellow Sea and Bohai basins have maintained thermal subsidence up to the present with short periods of marine transgressions extending into the land part of the present basins.

  • PDF

Tectonic Link Between NE China, Yellow Sea and Korean Peninsula, Revealed by Interpreting CHAMP-GRACE Satellite Gravity Data and Sea-surface Measured Gravity Data (CHAMP-GRACE 인공위성 데이터와 해상 측정 중력 데이터에 나타난 황해안 지역의 남중국과 북중국판의 대륙 충돌대 위치)

  • Choi, Sung-Chan
    • Journal of the Korean Geophysical Society
    • /
    • v.8 no.2
    • /
    • pp.89-92
    • /
    • 2005
  • For the understanding the locus of the Quinling-Dabie-Sulu continental collision’s boundary and the underground structure of the sedimentray basin in the Yellow Sea, three dimensional density modelling is carrid out by using gravity dataset (Free Air Anomaly), which is measured by Tamhae 2, GIGAM in a period 2000-2002. The measured gravity anomaly in the investigations area is mainly responsed by depth distribution of the sedimentary basin. After comparing the sea-measured gravity data to CHAMP-GRACE satellite gravity data, I suggested that the high density model bodies extend mainly from the southern part of China to the middle-western part of the Korean Peninsula, which might be emplaced along the continental collision’s boundary. The total volume of very low density bodies modified by modelling might be about 20 000 km3.

  • PDF

Tectonic Link between NE China, Yellow Sea and Korean Peninsula, revealed by interpreting CHAMP-GRACE satellite Gravity Data and sea-surface measured gravity data (CHAMP-GRACE 인공위성 데이터와 해상 측정 중력 데이터에 나타난 황해안 지역의 남중국과 북중국판의 대륙 충돌대 위치)

  • Cho, Sung-Chan
    • 한국지구물리탐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5.05a
    • /
    • pp.9-14
    • /
    • 2005
  • For the understanding the locus of the Quinling-Dabie-Sulu continental collision's boundary and the underground structure of the sedimentray basin in the Yellow Sea, three dimensional density modelling is carrid out by using gravity dataset (Free Air Anomaly), which is measured by Tamhae 2, KIGAM in a period 2000 - 2002. The measured gravity anomaly in the investigations area is mainly responsed by depth distribution of the sedimentary basin. After comparing the sea-measured gravity data to CHAMP-GRACE satellite gravity data, I suggested that the high density model bodies extend mainly from the southern part of China to the middle-western part of the Korean Peninsula., which might be emplaced along the continental collision's boundary. The total volume of very low density bodies modified by modelling might be about $20000\;km^3$.

  • PDF

Die Aktualgenese von Nominalkomposita im Deutschen (독일어 '임시복합명사'의 생성과정과 해석)

  • Oh Young-Hun
    • Koreanishche Zeitschrift fur Deutsche Sprachwissenschaft
    • /
    • v.6
    • /
    • pp.1-21
    • /
    • 2002
  • '임시복합명사'는 명사 하나 하나의 의미가 개인의 머릿속에 저장되어 있지만, 이들이 결합해서 생긴 단어가 일반적인 언어사전에 등록되어 있지 않고 문맥에 따라 새로운 의미가 형성되어서 결합된 명사를 의미한다. 따라서 이 논문에서는 사전의 목록에 등록되어 있지 않아서 의미적으로 애매한 복합명사들을 '임시복합명사' ad-hoc Nominal-komposita 라고 지칭하였다. 이때 이러한 '임시복합명사'를 생성하는데 있어서 '임시복합명사'를 구성하는 각 요소들은 새로운 복합명사를 만드는데 필요한 '입력'의 역할을 담당한다. 이 논문에서는 '임시복합명사'를 구성하는데 필요한 일종의 다양한 원칙들을 다루어 보았다. 그러한 원칙들은 순수 언어학적인 논거를 바탕으로 '임시복합명사'를 생산하고 해석해 나가는 과정에 대한 타당성을 입증해 주었다. 그러나 일반적인 지식 Weltwissen과 텍스트 문맥에 맞는 구조를 편입함으로써 그 형태와 해석이 가능한 다른 형태의 복합어는 이 논문에서 자세히 다루지 않았다. 이 논문에서 제시된 복합명사의 생성과 해석과정은 대부분의 경우 복합어 고유의 현상만을 설명한 것이 아니라, 일반적으로 복합어를 생산하고 해석하는 과정을 다룬 것이다. 마찬가지로 이 점은 텍스트 문맥과 상관없이 해석이 가능한 복합어 내지는 텍스트 문맥에 따라 해석이 가능한 복합어에서도 똑같이 적용된다. 텍스트의 문맥을 통해서 자체적으로 해석이 가능하지 않은 복합어를 명확하게 의미를 부여하고 해석하는 과정, 예를 들어 의사소통상에서 일반적인 지식을 이용하여 '임시복합어'를 해석하는 과정은 이후의 연구에 다양하게 다루어 질 테마가 될 것임이 분명하다. 또한 '임시복합명사'를 생산하기 위해 이 논문에서 다룬 전제조건들은 또 다른 새로운 복합어를 생산하는데, 예를 들어 명사로부터 파생된 동사들의 복합어를 연구하는데 밑거름이 될 것이다.학의 강력한 연구가 요구된다.에 기대어 텍스트, 문장, 어휘영역 등이 투입되어 적용되었으며, 이에 상응되게 구체적인 몇몇 방안들이 제시되었다. 학습자들이 텍스트를 읽고 중심내용을 찾아내며, 단락을 구획하고 또한 체계를 파악하는데 있어서 어휘연습은 외국어 교수법 측면에서도 매우 관여적이며 시의적절한 과제라 생각된다. Sd 2) PL - Sn - pS: (1) PL[VPL - Sa] - Sn - pS (2) PL[VPL - pS] - Sn - pS (3) PL(VPL - Sa - pS) - Sn - pS 3) PL[VPL - pS) - Sn -Sa $\cdot$ 3가 동사 관용구: (1) PL[VPL - pS] - Sn - Sd - Sa (2) PL[VPL - pS] - Sn - Sa - pS (3) PL[VPL - Sa] - Sn - Sd - pS 이러한 분류가 보여주듯이, 독일어에는 1가, 2가, 3가의 관용구가 있으며, 구조 외적으로 동일한 통사적 결합가를 갖는다 하더라도 구조 내적 성분구조가 다르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우리는 이 글이 외국어로서의 독일어를 배우는 이들에게 독일어의 관용구를 보다 올바르게 이해할 수 있는 방법론적인 토대를 제공함은 물론, (관용어) 사전에서 외국인 학습자를 고려하여 관용구를 알기 쉽게 기술하는 데 도움을 줄 수 있기를 바란다.되기 시작하면서 남황해 분지는 구조역전의 현상이 일어났으며, 동시에 발해 분지는 인리형 분지로 발달하게 되었다. 따라서, 올리고세 동안 발해 분지에서는 퇴적작용이, 남황해 분지에서는 심한 구조역전에 의한 분지변형이 동시에 일어났다 올리고세 이후 현재까지, 남황해 분지와 발해 분지들은 간헐적인 해침과 함께 광역적 침강을 유지하면서 안정된 대륙 및 대륙붕 지역으로 전이되었다.

  • PDF

Verarbeitungsprozess der Bedeutungen von sprachlichen $Ausdr\"{u}cken$ (언어표현에 나타난 의미의 처리과정)

  • OH Young Hun
    • Koreanishche Zeitschrift fur Deutsche Sprachwissenschaft
    • /
    • v.3
    • /
    • pp.277-301
    • /
    • 2001
  • 우리가 간단히 사용하는 언어는 실제적으로 아주 복잡한 진행과정을 가지고 있다. 사전상의 각 어휘는 대화상황에서 상호 작용하는 초기단계의 역할을 하며, 표현은 과거나 현재에 행해지는 대화상황 및 대화참여자의 발화 과정에서 생기는 일종의 일체감을 표시한다. 의사 소통을 한다는 것은 단어나 문장에 대한 다양한 의미와 각각의 개념에서 지시되는 표현을 수단으로 발생하는 대화상의 연관성을 의미한다. 이러한 모든 것은 의사소통에 있어 의미의 다양성과 관련을 맺고있다. 우리는 표현을 통하여 매우 복잡하고 다양한 양상들을 볼 수 있다. 대화내용에 따라 똑같은 표현들이 서로 다르게 이해될 수 있기 때문이다. 언어는 단지 사람이 행하는 언어처리의 일부만을 보여줄 뿐이다 언어를 처리하는데 있어서 문제가 되는 것은 매우 복잡하고 구성적인 진행과정이다. 청자는 의사소통이 진행되는 과정에서 활자와 함께 주어진 정보를 처리함으로써 상황을 내적 형상화하게 된다. 따라서 청자는 표현의 의미를 이해하려고 노력하며, 다양한 방법을 동원한 지식을 사용한다. 의사소통에 있어서 통사적$\cdot$의미적인 지식, 문맥에 맞는 대화지식 혹은 일반 지식을 대화상황에 맞게 적용하는 것이 그 예라 할 수 있다. 지시적 언어의 표현은 사전적으로 고정된 단어의 의미를 규정하거나 또는 이와 같은 단어의 의미에 정확하고 적절한 지시사를 규정하는 근거가 된다. 인칭$\cdot$장소$\cdot$시간을 지시하는 언어 Personal-, Lokal-, Temporaldeixis는 언어 시스템을 형성하게 되는데, 활자와 청자는 이러한 표현을 인칭$\cdot$장소$\cdot$시간으로 형상화하면서 의사소통을 한다. 따라서 자연어의 처리과정에 나타나는 다양한 표현들에 대한 심리학 및 언어학의 강력한 연구가 요구된다.에 기대어 텍스트, 문장, 어휘영역 등이 투입되어 적용되었으며, 이에 상응되게 구체적인 몇몇 방안들이 제시되었다. 학습자들이 텍스트를 읽고 중심내용을 찾아내며, 단락을 구획하고 또한 체계를 파악하는데 있어서 어휘연습은 외국어 교수법 측면에서도 매우 관여적이며 시의적절한 과제라 생각된다. Sd 2) PL - Sn - pS: (1) PL[VPL - Sa] - Sn - pS (2) PL[VPL - pS] - Sn - pS (3) PL(VPL - Sa - pS) - Sn - pS 3) PL[VPL - pS) - Sn -Sa $\cdot$ 3가 동사 관용구: (1) PL[VPL - pS] - Sn - Sd - Sa (2) PL[VPL - pS] - Sn - Sa - pS (3) PL[VPL - Sa] - Sn - Sd - pS 이러한 분류가 보여주듯이, 독일어에는 1가, 2가, 3가의 관용구가 있으며, 구조 외적으로 동일한 통사적 결합가를 갖는다 하더라도 구조 내적 성분구조가 다르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우리는 이 글이 외국어로서의 독일어를 배우는 이들에게 독일어의 관용구를 보다 올바르게 이해할 수 있는 방법론적인 토대를 제공함은 물론, (관용어) 사전에서 외국인 학습자를 고려하여 관용구를 알기 쉽게 기술하는 데 도움을 줄 수 있기를 바란다.되기 시작하면서 남황해 분지는 구조역전의 현상이 일어났으며, 동시에 발해 분지는 인리형 분지로 발달하게 되었다. 따라서, 올리고세 동안 발해 분지에서는 퇴적작용이, 남황해 분지에서는 심한 구조역전에 의한 분지변형이 동시에 일어났다 올리고세 이후 현재까지, 남황해 분지와 발해 분지들은 간헐적인 해침과 함께 광역적 침강을 유지하면서 안정된 대륙 및 대륙붕 지역으로 전이되었다.

  • PDF

Germanische Resonantengemination und Laryngaltheorie (게르만어의 공명음 중복현상과 후두음이론)

  • Jeon Soon-Hwan
    • Koreanishche Zeitschrift fur Deutsche Sprachwissenschaft
    • /
    • v.5
    • /
    • pp.1-22
    • /
    • 2002
  • 본 논문의 목적은 게르만제어(예를들어 고트어, 고대북구어, 고고지독일어, 고대영어 등)에 나타나는 공명음중복 현상이 원-인도유럽어시기의 후두음에 기인함을 보이는 것이다. 고트어의 ddj/ggw, 고대북구어의 ggi/ggr, 고고지독일어 ij/uw (이상 소위 '예음화현상'으로 불림)와 그 외 게르만제어에 공통적으로 나타나는 공명음들의 중복, -rr-, -ll-, -nn-, -mm- 등은 원-게르만어시기에 각각 $\ast-ii-,\;\ast-uu-,\;\ast-rr-,\;\ast-ll-,\;\ast-nn-,\;\ast-mm-$ 등으로 소급된다. 그러나 이러한 자음군이 게르만어 이외의 다른 인도유럽어들( 대표적으로 고대인도이란어, 고전희랍어, 라전어 등)과 비교되어 원-인도유럽어시기로 소급되는 경우, 각각 $\ast-iH-,\;\ast-uH-,\;\ast-rH-,\;\ast-lH-,\;\ast-nH-,\;\ast-mH-$ 등으로 재구된다. 따라서 원-게르만어의 자음중복 현상이 후두음의 영향으로 나타난 것으로 해석되는데, 아마도 후두음이 선행하는 공명음에 동화되어 일어난 것으로 보인다. 소쉬르(1987)이래 발전해 온 후두음이론은 현재 그 이론적 틀을 확립한 상태이다. 이 이론은 고전 인도유럽어학에서 설명하지 못했던 여러 언어현상들을 설명하였고, 현대 인도유럽어 역사비교언어학에서 언어변화에 대한 필수적인 설명기재로서 사용되고 있다. 원-인도유럽어의 많은 특징들을 계승한 전형적인 다른 고대 인도유럽어들과는 달리, 시기적으로 늦은 고대 게르만어에서 음운론적 층위에서 공명음중복 현상이 후두음에 기인함은 인도유럽어 역사비교언어학에서 뿐만 아니라 게르만어학에서도 큰 의미를 갖는다고 볼 수 있다.간접으로 본동사 앞에 놓여 있어야 되는 모든 문장성분과 부문장 때문에, 즉 한국어의 전면적인 전위수식 현상으로 흔히 큰 부담/복잡함을 야기한다는 데에 그 원인이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 동사는 가능한 한 그의 문장성분을 줄이려 한다. 통사적으로 보장되어 이미 있으니 말이다. 그래서 한국어 동사의 부정성은 일종의 부담해소 대책으로 간주될 수 있을 것이다. $\ast$ 두 비교 대상에서의 핵 및 최소문장 가능성은 역시 원자가에 대한 비구속성에서 비롯된다. $\ast$ 우리 한국인이 빨리 말할 때 흔히 범하는 부정성으로 인한 인칭변화에서의 오류는 무엇보다도 정형성/제한성을 지닌 독일어 정동사가 인칭 변화하는 데 반해 한국어에서는 부정성/비구속성을 지닌 동사가 그것과는 무관한 페 기인한다. 동사의 속성을 철저히 분석함으로써 이런 과오를 극복해야 할 것이다. 한국어 동사의 부정성은 지금까지 거의 연구되지 않았다. 이 문제는 또한 지속적으로 수많은 다른 자연어들과의 비교분석을 통해 관찰돼야 할 것이다. 이 논문이 이런 연구와 언어습득을 위한 작업에 도움이 되기를 바란다.적 성분구조가 다르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우리는 이 글이 외국어로서의 독일어를 배우는 이들에게 독일어의 관용구를 보다 올바르게 이해할 수 있는 방법론적인 토대를 제공함은 물론, (관용어) 사전에서 외국인 학습자를 고려하여 관용구를 알기 쉽게 기술하는 데 도움을 줄 수 있기를 바란다.되기 시작하면서 남황해 분지는 구조역전의 현상이 일어났으며, 동시에 발해 분지는 인리형 분지로 발달하게 되었다. 따라서, 올리고세 동안 발해 분지에서는 퇴적작용이, 남황해 분지에서는 심한 구조역전에 의한 분지변형이 동시에 일어났다 올리고세 이후 현재까지, 남황해

  • PDF

Integrated stratigraphic approach for enhancing the efficiency of domestic resources exploration and development (국내 자원 탐사 및 개발의 효율성 증대를 위한 통합 층서적 접근)

  • Ryu In-Chang
    • The Korean Journal of Petroleum Geology
    • /
    • v.9 no.1_2 s.10
    • /
    • pp.24-39
    • /
    • 2001
  • Prospecting for energy and mineral resources is essential kind of public fundamentals that manage the nation's economy. Most explorations in the past were concentrated in the simple structural traps in relatively shallow depth. Due to their vast exploitation, recent history has shown that the emphasis in explorations has steadily shifted toward the subtle stratigraphic traps in deeper level. Increasing exploration for the subtle stratigraphic traps in deeper level requires precise correlation and assessment of deeply buried strata in the basin. However, the descriptive stratigraphic principles used for evaluation of the simple structural traps are limited to delineate the subtle stratigraphic traps in deeper depth. As this occurs, it is imperative to establish a new stratigrtaphic paradigm that allows a more sophisticated understanding on the basin stratigraphy. This study provides an exemplary application of integrated stratigraphic approach to defining basin stratigraphy of the Middle Ordovician Taebacksan Basin and the Cretaceous South Yellow Sea Basin, Korea. The integrated stratigraphic approach gives much better insight to unravel the stratigraphic response to tectonic evolution of the basins, which can be utilized for enhancing the efficiency of resources exploration and development in the basins. Thus, the integrated stratigraphic approach should be considered as a new stratigraphic norm that can improve the probability of success in any type of resources exploration and development project.

  • PDF

Analysis of a Structure of the Kunsan Basin in Yellow Sea Using Gravity and Magnetic Data (중자력 자료를 이용한 황해 군산분지의 지질 구조 해석)

  • Park, Gye-Soon;Choi, Jong-Keun;Koo, June-Mo;Kwon, Byung-Doo
    • Journal of the Korean earth science society
    • /
    • v.30 no.1
    • /
    • pp.49-57
    • /
    • 2009
  • We studied a structure of the Kunsan basin in the Yellow Sea using ship-borne magnetic data and altimetry satellite-derived gravity data provided from the Scripps institution of oceanography in 2006. The gravity data was analyzed via power spectrum analysis and gravity inversion, and the magnetic data via analytic signal technique, pseudo-gravity transformation, and its inversion. The results showed that the depth of bedrock tended to increase as we approached the center of the South Central Sag in Kunsan basin and that the maximum and minimum of its depth were estimated to be about 6-8 km and 2 km, respectively. Inaddition, the observed high anomaly of gravity and magnetism was attributed to the intrusion of igneous rock of higher density than the surrounding basement rock in the center of South Central Sag, which was consistent with the interpretation of seismic data obtained in the same region.

Aeromagnetic Interpretation of the Southern and Western Offshore Korea (한국 서남근해에 대한 항공자력탐사 해석)

  • Baag Czango;Baag Chang-Eob
    • The Korean Journal of Petroleum Geology
    • /
    • v.2 no.2 s.3
    • /
    • pp.51-57
    • /
    • 1994
  • Analysis of the aeromagnetic data aquired by US Navy in the year 1969 permits us to predict a new sedimentary basin, Heugsan Basin, south of the known Gunsan Basin in Block Ⅱ. The basin appears to consist of three sub-basins trending NNW-SSE. The results of our analysis provide not only an independent assessment of the Gunsan Basin, but also new important information on the tectonic origin and mechanism for the two basins as well as for the entire region. The basin forming tectonic style is interpreted as rhombochasm associated with double overstepped left-lateral wrench faults. From the magnetic evidence, a few NE-SW trending major onshore faults are extended to the study area. We also interpreted the nature of the faults to be left-lateral wrenches. This new gross structural style is consistent with the results of recent Yeongdong Basin analysis by Lee. The senses of fault movement are also supported by the paleomagnetic evidence that the Philippine Sea had experienced an 80-degree clockwise rotation since the Eocene. Based on a 2 $\frac{1}{2}$ model study the probable maximum thickness of the sediments in the Gunsan Basin is approximately 7500 meters. We believe that the new Heugsan Basin was left unidentified because a high velocity layer may be overlying the basin. Because the overall structural configuration of the Heugsan Basin appears to be favorable for hydrocarbon accumulation, a detailed airborne magnetic survey is recommended in the area in order to verify the magnetic expression of this thick basin. A detailed subsequent marine gravity survey is also recommended in order to delineate the sedimentary section and to acquire supplemental data to the magnetic method only if an overlying high velocity layer is confirmed. Otherwise a high energy source seismic survey may be more effective.

  • PDF

Characteristics of Element Geochemistry in Ulleung Basin Sediments During the Late Quaternary (제4기 후기 동안 동해 울릉분지 퇴적물내 원소 함량 특성과 기원지 연구)

  • Um, In-Kwon;Choi, Man-Sik;Shin, Hyung-Sun
    • The Sea: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OCEANOGRAPHY
    • /
    • v.14 no.2
    • /
    • pp.69-79
    • /
    • 2009
  • Major and trace elements were analyzed in three core sediments to investigate geochemical characteristics of East Sea sediments and provenance changes during late Quaternary in Ulleung Basin. Comparing with Yellow and South Sea sediments, contents of major elements were generally similar while contents of trace elements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Furthermore, within this basin, there were some variabilities in trace element compositions. In the western slope sediments (WS), Mo was enriched over 6 times as much as other sites. On the other hand, Zr, Nb, Hf and Ta were enriched in basin sediments (Basin), and Ca and Cs were enriched in southern slope sediments (SS). After excluding elements derived from biogenic, authigenic and diagenetic origins, the lithogenic elements (K, Ti, Cs, Zr, Nb, Hf and Ta) could be classified into three groups from the comparison of element/Al ratios among cores. The first group consisted of elements (K and Ti) that showed the nearly similar element/Al ratios among three cores. The second group contained Cs which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wo slope sediments. The third group elements (Zr, Nb, Hf and Ta) showed highly enriched in basin relative to both slope areas. The depth profiles of metal/Al ratios in basin sediments provided the following interpretation for the compositions of sediment and their variation. From 10,000 yr B.P. to 7,000 yr B.P. two lithogenic components (volcanic ashes and western slope sediments) were mixed and deposited in the basin. After 7,000 yr B.P., however, southern slope sediments were mixed with volcanic ashes and deposited in basin area. This event of source change is nearly close to inflow period of the Tsushima Warm Current to Ulleung Basin. Thus, it might be suggested that element geochemistry in Ulleung basin sediment indicate the change of current system in the study are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