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tegrated stratigraphic approach for enhancing the efficiency of domestic resources exploration and development

국내 자원 탐사 및 개발의 효율성 증대를 위한 통합 층서적 접근

  • Ryu In-Chang (Department of Eaeth and Environmental Sciences, Korea University)
  • 유인창 (고려대학교 지구환경과학과)
  • Published : 2001.12.01

Abstract

Prospecting for energy and mineral resources is essential kind of public fundamentals that manage the nation's economy. Most explorations in the past were concentrated in the simple structural traps in relatively shallow depth. Due to their vast exploitation, recent history has shown that the emphasis in explorations has steadily shifted toward the subtle stratigraphic traps in deeper level. Increasing exploration for the subtle stratigraphic traps in deeper level requires precise correlation and assessment of deeply buried strata in the basin. However, the descriptive stratigraphic principles used for evaluation of the simple structural traps are limited to delineate the subtle stratigraphic traps in deeper depth. As this occurs, it is imperative to establish a new stratigrtaphic paradigm that allows a more sophisticated understanding on the basin stratigraphy. This study provides an exemplary application of integrated stratigraphic approach to defining basin stratigraphy of the Middle Ordovician Taebacksan Basin and the Cretaceous South Yellow Sea Basin, Korea. The integrated stratigraphic approach gives much better insight to unravel the stratigraphic response to tectonic evolution of the basins, which can be utilized for enhancing the efficiency of resources exploration and development in the basins. Thus, the integrated stratigraphic approach should be considered as a new stratigraphic norm that can improve the probability of success in any type of resources exploration and development project.

에너지 및 광물자원의 탐사는 국가경영에 있어서 절대적으로 필요한 공공의 기반산업에 해당된다. 그 동안 수행되어 왔던 자원 탐사사업의 대부분은 비교적 지하 천부에 분포하는 단순 구조 트랩들의 탐사에 집중되어 왔다. 아울러 천부구조 트랩들의 과도한 개발로 인하여 자원 탐사의 범위도 점차 지하 심부에 분포하는 미세 층서 트랩들로까지 확대되고 있다. 지하 심부에 분포하는 트랩들에 대한 탐사의 확대는 분지 내 심부 퇴적층들에 대한 정밀한 대비와 평가를 요구한다. 그러나, 그 동안 천부 구조 트랩들의 평가에 적용되어 왔던 기재적 층서 원리들로는 심부에 분포하는 트랩들을 도출해 내는데 한계가 있어 왔다. 따라서, 분지 내 퇴적층들에 대한 보다 명확한 이해를 위한 새로운 층서틀의 수립이 시급하다 본 연구에서는 오오도비스 중기 태백산 분지와 백악기 남황해 분지의 층서에 대한 통합 층서적 접근을 통한 전형의 예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이러한 통합 층서적 접근은 동 퇴적 분지들의 구조적 진화에 따른 층서를 규명하는데 있어서 보다 나은 통찰을 제공하고 있으며, 아울러 동 퇴적 분지들의 자원 탐사 및 개발의 효율성을 증대시키는데 사용될 수 있을 것으로 전망된다. 따라서, 통합 층서적 접근은 모든 형태의 자원 탐사 및 개발사업에 있어서 성공률을 높이기 위한 새로운 층서적 규범으로 고려되어져야 한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