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남한계

Search Result 117, Processing Time 0.033 seconds

Revision of the Snyder's Coefficients of Synthetic Unit Hydrograph in the South Han River Basin (합성단위유량단의 Snyder 계수재조정 - 남한강수계를 중심으로 -)

  • 선우중호;고영찬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1985.07a
    • /
    • pp.7-16
    • /
    • 1985
  • 본 연구는 유역 추적에 자주 쓰이는 합성단위 유량도(synthetic unit hydrograph) 방법의 하나인 Snyder 방법에 있어서의 계수를 남한강수계에서 재조정하는 과정(procedure)을 제시하였다. 그 과정을 간략하게 설명하며, 이전에 구한 남한강 수계에서의 snyder 계수를 초기치로 하여 HEC-1 program을 이용하여 계수를 재조정한다. 이와 같은 과정을 통하여 재조정된 계수는 그 전의 계수에 의한 합성단위 유량도보다 지체시간($$)이 작아지고 첨두(peak)값이 커지는 특성을 가지고 있다.

  • PDF

Analysis of water pollutant load characteristics and its contributions during dry season: Focusing on major streams inflow into South-Han river of Chungju-dam downstream (갈수기 수질오염부하 특성 및 기여율 분석: 충주댐 하류 남한강 주요 유입하천을 대상으로)

  • Lee, Seoro;Yang, DongSeok;Choi, Yujin;Lim, Kyoung Jae;Kim, Jonggu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8.05a
    • /
    • pp.318-318
    • /
    • 2018
  • 충주댐 하류 남한강 본류에서는 매년 봄철 지속되는 가뭄으로 인한 유량감소와 과다한 영양염류 유입으로 인해 부영양화 현상이 빈번히 발생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남한강 본류로 유입되는 주요 하천(섬강, 청미천, 양화천, 복하천)을 대상으로 중점관리가 필요한 우심하천 및 주요 오염원을 선별하고자 갈수기 오염부하 특성 및 남한강 본류에 대한 기여율을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갈수기 조건에서의 오염부하 및 기여율은 섬강에서 BOD5 852.0 kg/day(41.3%), T-P 59.0 kg/day(56.8%)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유량 및 수질 모니터링 기간 내 발생한 점 기저비점 오염부하가 남한강 본류에 미치는 기여율 BOD5 52.8%, COD 52.1%, TOC 53.0%, SS 41.3%, T-N 47.7%, T-P 30.0%, Chl-a 47.8%로 섬강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다. 그리고 전국오염원조사 자료를 바탕으로 산정된 수질항목에 대한 오염원별 전체 배출부하 또한 섬강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토지계, 생활계, 축산계 오염원 순으로 높은 비중을 차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 결과를 통해 충주댐 하류 남한강 본류 갈수기 수질을 효율적으로 개선하기 위해서는 섬강을 중점적으로 점오염원 관리뿐만 아니라, 기저비점을 통합적으로 관리하기 위한 대책 마련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향후 본 연구의 결과는 극한 가뭄이 지속되는 상황을 고려한다면, 충주댐 하류 남한강 본류 갈수기 수질오염 개선에 활용될 실효성 있는 대책 및 유역관리 정책 수립에 대한 기초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라 사료된다.

  • PDF

Hydrologic Performance Characteristics of Small Hydropower Resources with Rainfall Condition (강우상태에 따른 소수력자원의 수문학적 특성 분석)

  • Lee, Chulhyung;Park, Wansoon
    • 한국신재생에너지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11.05a
    • /
    • pp.207.2-207.2
    • /
    • 2011
  • 소수력자원의 개발을 위해서는 소수력발전입지에 대한 설계변수의 분석이 매우 중요하다. 설계변수는 해당유역의 강우사상과 밀접한 관계가 있으므로 이에 대한 정량적인 분석이 요구된다. 본 연구에서는 수계별 소수력발전입지에 대하여 설계변수의 특성을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금강수계, 남한강수계 및 섬진강수계는 유역면적이 증가하여도 비가용량의 변화가 크지않지만, 낙동강수계와 북한강수계는 유역면적의 크기에 관계없이 비가용량의 변화가 크게 나타났다. 또한 비출력량의 경우에도 비가용량과 유사하게 금강수계, 남한강수계 및 섬진강수계는 유역면적이 증가하여도 비출력량의 변화가 크지않지만, 낙동강수계와 북한강수계는 유역면적의 크기에 관계없이 비출력량의 변화가 크게 나타났다. 이러한 현상은 우리나라의 연강수량이 남부지방이 중부지방에 비하여 많기 때문으로 판단된다. 낙동강수계는 하도가 남북으로 길기 때문에 소수력발전입지의 위치에 따라 비가용량의 크기의 변화가 크고, 북한강수계도 이와 비슷한 경향을 갖는다. 반면에 금강수계, 남한강수계 및 섬진강수계는 하도가 동서방향으로 길기 때문이다. 또한 연간가동율의 경우에는 모든 수계에 대하여 변화가 크지 않았고, 유역면적의 변화에 대해서도 큰 변화가 없었다.

  • PDF

Impact Assessment on the Forest Systems of the Korean Peninsula due to the Global Warming (지구온난화로 인한 한반도 삼림의 영향 평가)

  • Jung, Hui-Cheul;Jeon, Seong-Woo;Lee, Dong-Kun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Environmental Restoration Technology
    • /
    • v.5 no.5
    • /
    • pp.1-10
    • /
    • 2002
  • 우리나라의 기후변화연구에서 삼림생태계의 영향과 적응은 가장 중요한 관심사중 하나이다. 지리적 위치와 통일문제 등을 고려할 때, 한반도는 역동적인 개발이 이루어질 지역이며 인구와 경제적 상황의 변화로 삼림 생태계에 급격한 변화가 예상된다. 기후변화의 영향은 이러한 상황을 더욱 복잡하게 만들게 될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이런 영향을 평가하기 위해, IS92a 시나리오의 GCMs(General Circulation Models)결과들을 이용하여 가능한 기온 증가 범위내에서 삼림생태계의 변화를 예측하였다. 변화를 추정하기 위해 AIM/Impact[Korea](the Asian-Pacific Integrated Model) 모형을 이용하여 시기별 Holdridge 생물기후대를 예측하고 목본식물의 이동속도를 고려한 지역삼림의 영향 및 적응 패턴을 분석하여 생태계 변화로 인한 경제적 가치 손실액을 추정하였다.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이 요약된다. 1) 목본식물의 추정 평균이동속도 0.25km/년의 경우, 한반도에서 삼림소실지역은 발생하지 않는 것으로 예측되었다. 그러나 인위적 개입이 없는 경우 고사의 위험이 높은 지역은 남한의 경우 남한 총면적의 14%를 차지하였고, 북한은 18%정도의 면적이 고사 위험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남한 고사위험지역의 80%는 난온대림 지역으로 주로 남해일원과 전라도 서해안에서 발생하며, 북한은 고사위험지역의 대부분이 냉온대림지역으로 주로 평안도 내륙지역과 중국 접경지경, 함경남도의 영흥만 북부에서 나타났다. 2) 목본식물의 이동속도 변화에 따라 남한은 매년 0~976백만불, 북한은 0~2,492백만불 범위의 경제적 가치손실이 발생하는 것으로 예측되었다. 또한 목본식물의 추정 평균이동속도가 0.25km/년일 경우, 한반도 전체의 가치손실액은 매년 3,471백만불에 달했으며, 남한의 경우 목본식물의 이동속도가 0.5km/년 이상인 경우 삼림의 경제적 가치 손실은 발생하지 않았다.

한강유역의 3개보(강천보, 여주보, 이포보)건설로 인한 남한강 유역의 공사 전.후의 수리 분석

  • Lee, Gyeong-Yeong;Seong, Seu;Park, Sang-Cheol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1.05a
    • /
    • pp.441-441
    • /
    • 2011
  • 정부에서 기후변화로 인한 홍수와 가뭄, 수질개선 등 물 문제 해결을 위해 시행하고 있는 4대 강사업을 아직도 언론이나 환경단체, 대다수의 국민들이 보 건설로 인해 홍수의 위험성이 높아지고, 수질이 악화되어 생태계와 생명이 파괴된다고 오해하고 있다. 이런 오해를 불식시키기 위해 남한강유역의 보 건설 공사 전 후의 발생 가능한 수리변화 예측을 통하여 4대강사업에 따른 수리 수질 논란에 대비하고, 기존의 수위-유량 곡선식 및 홍수분석시스템 변화에 따른 개선을 통하여 보 건설 후 댐과 보의 운영시 각 보 지점의 수리분석을 통해 적절한 방류 규모, 시기를 결정하고 하류영향을 효과적으로 분석하는 등 환경변화에 대한 사전 대책마련을 위해 EFDC 모형을 구축하였다. 본 연구는 한강유역의 팔당댐을 기준으로 북한강 10km, 경안천 10km, 남한강 65km 구간의 공사 전 후 수위변화를 분석하기위해 남한강 유역의 2006년도부터 2010년까지의 여주, 이포, 양평 수위국의 최고수위 기간을 조사하여, 최고기간인 2006년 7월 15일부터 17일에 발생한 태풍 에위니아의 첨두유량(13,022CMS)을 사용하였고, 하천단면 측량자료는 2010년에 실시한 보 공사구간 횡단면도와 준설 후 계획 횡단면도와 과거 측량자료를 이용하였고, 총 3,794개의 격자망을 평균 $200m\times80m$ 간격으로 구성하여 3차원 수리/수질 모델 프로그램인 EFDC를 사용하여 수리모델링을 실시하여 보 건설 전 후의 수위변화를 모델링 하였다. 모델링 결과 남한강 상류인 강천보 지점의 수위 저감효과가 최대 2.0m로 가장 큰 효과를 보였으며, 상대적으로 남한강의 하류인 여주보 지점은 최대 1.5m, 이포보 지점은 상대적으로 작은 1.0m 정도의 수위 저감효과를 확인할 수 있었다. 그리고 이포보 하류의 양평수위국 지점과 북한강, 남한강, 경안천이 합류되는 팔당댐 상류 지점의 경우 모델링 결과 공사 전 후 수위 차이가 없는 것으로 보아 보 건설이 남한강 하류 지점에는 큰 영향을 끼치지 않는 것으로 판단된다. 이처럼 EFDC 모형을 이용하여 정밀 수리모형 검토를 통해 수위변화를 비교해 본 결과 지점별로 약간의 차이는 발생하지만 보 건설을 통하여 수위 저감효과가 발생하는 것으로 판단된다. 보다 정확한 검토를 위해 추후에는 남한강 상류의 강천수위국 상류지점의 검토와 남한강유역의 지류 유입량을 추가하여 모델링을 실시하면 보다 더 정밀한 분석이 가능할 것이라고 판단된다.

  • PDF

Evaluation of Raingauge Density and Spatial Distribution: A Case Study for Nam Han River Basin (우량계의 밀도 및 공간분포 검토: 남한강 유역을 중심으로)

  • Yoo, Chul-Sang;Kim, In-Bae;Ryoo, So-Ra
    • Journal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 /
    • v.36 no.2
    • /
    • pp.173-181
    • /
    • 2003
  • This study has evaluated the raingauge network of Nam-Han River Basin by assuming that the rainfall field is homogeneous in space and its spatial correlation structure is exponential. The results of the study was compared with the standard of WMO. Summarizing the results are as follows: (1) The Nam-Han River Basin is not the mountain area, nor the plain area of the WMO standard. However, the correlation length of the downstream part is longer than that of the upstream part, enough to differentiate the rainfall fields in both areas. (2) It seems that the standard for the evaluation of the raingauge network of Nam-Han River Basin should be decided to represent upper 50% of correlations derived, when the maximum intervals between neighboring gauges are estimated to be 18.2km for the upstream area and 21.1km for the downstream area. Simply evaluating the raingauge density, the Nam-Han River Basin has enough raingauges exceeding the WMO standard for the mountain area in the temperate region. (3) Evaluation of the spatial distribution of raingauges in the Nam-Han River Basin shows that its spatial distribution Is not in a proper level, especially when applying the WMO standard for the mountain area in the temperate region. However, when applying the new standard proposed in this study, only five to six more raingauges are required to be added.

Upper Mesozoic Stratifraphic synthesis of Korean Peninsula (한반도 후기중생대층 층서종합)

  • Ki-Hong Chang
    • Economic and Environmental Geology
    • /
    • v.32 no.4
    • /
    • pp.353-363
    • /
    • 1999
  • The Cretaceous and the Upper Jurassic strata of the Korean Peninsula, entirely of continental facies, form a sedimentary mega-unit subdivided into three unconformity-bounded units. The lower, Upper Jurassic-early Lower Cretaceous unit (Jasong Synthem) occurs profusely in North Korea and is characterized by volcanic rocks of intermediate to acidic, calc-alkaline to alkaline compositions; but strata of this unit is very rare in South Korea. The middle, Hauterivian-Lower Albian unit occurs commonly in the Korean Peninsula, but some alkalinesubalkaline basalt and andesite occur only in South Korea. A recently obtained U-Pb isochron age about 113.6 Ma (Chang et at, 1998) from the zircon grains of the Kusandong Tuff in the uppermost part of the Haman Formation has thrown much light on the age of this unit. The stratotype of this Hauterivian-L. Albian unit is the Sindong and Hayang Groups of the Kyongsang Basin, where the unit is about twice thick and has more conglomerates than in sedimentary basins in North Korea. The unit shows various sedimentary cycles in different basins showing that the cyclicity is controlled by local crustal motion. The upper, Upper Albian-Upper Cretaceous unit is abundant in South Korea with prolific volcanic rocks which are intermediate to acidic and notably calc-alkaline. In North Korea, however, this unit occurs in only one locality without volcanic rocks and is not voluminous. The distribution of these three unconformity-bounded units shows a stepwise younging toward the Pacific Ocean: the lower unit occurs mainly in N Korea, the middle unit occurs in both N and S Korea, and the upper unit occurs mainly in the southern part of S Korea. The Cretaceous sedimentary basins of S Korea were genetically controlled by paralleling sinistral strike-slip faults parallel to the Pacific margin.

  • PDF

Floristic study of Sobaeksan National Park in Korea (소백산 국립공원의 관속식물상)

  • Jang, Chang-Seok;Yang, Sun-Gyu;Park, Min-Su;Kim, Ki-Hong;Seo, Sang-Won;Oh, Byoung-Un
    • Korean Journal of Plant Taxonomy
    • /
    • v.41 no.4
    • /
    • pp.398-414
    • /
    • 2011
  • The flora in the region of Mt. Sobaeksan National Park ($N36^{\circ}50^{\prime}-37^{\circ}50^{\prime}$, $E128^{\circ}20^{\prime}-128^{\circ}43^{\prime}$) was surveyed from April of 2005 to October of 2011. The vascular plants from 27 field surveys were revealed to total 869 taxa, comprising 112 families, 429 genera, 756 species, four subspecies, 91 varieties and 18 forms. Sixty-eight taxa were the first records from this region. This field study discovered significant plants in various categories. Korean endemic plants numbered 25 taxa, and 18 taxa designated by the Korean Forest Service as rare plants were investigated in this region. The taxa in category II of rare and endangered plants and higher than the third degree among the floristic regional indicator plants designated by the Korean Ministry of the Environment were three taxa and 75 taxa, respectively. From a geographical perspective, limited distribution of Saxifraga octopetala, Corydalis grandicalyx, Aegopodium alpestre, and Polygonatum acuminatifolium at a latitude higher than that of Sobaeksan National Park suggest that Sobaeksan National Park might be the limit line of the distribution of the taxa. Stewartia koreana demonstrate a reversed pattern from the taxa above, occurring at a latitude lower than that of Sobaeksan National Park. In addition, naturalized plants of 53 taxa were recorded.

Spectral Analysis of Meanders in the Han River System (Spectral 해석(解析)에 의한 한강수계(漢江水系)의 사행분석(蛇行分析))

  • Song, Jai Woo;Kim, Jin Ho
    • KSCE Journal of Civil and Environmental Engineering Research
    • /
    • v.8 no.1
    • /
    • pp.187-196
    • /
    • 1988
  • Meander characteristics of the Han River System using autocorrelation coefficient and variance spectrum were analysed, and meander paths were simulated by direction and direction-change series in this paper. Better wavelength estimates are obtained from direction-change spectra, dominant wavelength had the increasing tendency in order tributaries of the North Han River System, the South Han River System and the Han River Downstream System. The meander characteristics of tributaries in the North Han River, the South Han River and the Han River Downstream System could be obtained from the results of direction and direction change spectra. Direction and direction-change autocorrelograms are generally of damped oscillatory form, and wavelengths estimated from direction-change autocorrelograms correlate closely with wavelength estimated from direction-change specta.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