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남천

검색결과 62건 처리시간 0.025초

화살, 남천, 차, 초피나무 4유용수종(有用樹種)의 종자(種子) 발아촉진처리(發芽促進處理)가 포지발아(圃地發芽)와 유묘(幼苗) 생장(生長)에 미치는 효과 (Effects of the Seed Treatment on Field Germination and Seedling Growth in four useful species, Euonymus alatus, Nandina domestica, Thea sinensis and Zanthoxylum piperitum)

  • 구관효;최재식;윤기식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84권1호
    • /
    • pp.87-96
    • /
    • 1995
  • 새 순(筍)이나 수피(樹皮), 열매 등(等) 식(食) 약용(藥用)으로 이용(利用)하고 있는 화살나무를 비롯한 4수종(樹種)의 종자(種子)에 대하여 포지(圃地) 발아율(發芽率)을 높이는 방법(方法)을 알아보기 위행 화살나무, 차나무, 초피나무의 종자(種子)는 10월(月) 중순(中旬)에서 11월(月) 중순(中旬) 사이에 채취(採取)하여 정선(精選)한 후(後) Pon-Pon, $H_2O_2$, $GA_3$, 종피파쇄(種皮破碎) 등(等)으로 처리(處理)하여 노천매장(露天埋藏)(119일(日)-134일(日))을 하였다가 3월(月) 29일(日) 시험포지(試驗圃地) 파종(播種)하였으며, 남천 종자(種子)는 11월(月) 하순(下旬에) 채취(採取)하여 Growth chamber에서 저장온도(貯藏溫度)($4^{\circ}C$, $25^{\circ}C$, $32^{\circ}C$), 저장기간(貯藏期間)(7일(日), 15일(日), 21일(日))별(別)로 처리(處理)한 후(後) 유리온실(溫室) 내(內)의 파종상자(播種箱子)($55{\times}45{\times}15cm$)에 파종(播種)하여 보관(保管)하던 중(中) 5월(月) 초(初)부터는 노지(露地)에서 관리(管理)하였다. 수종별(樹種別), 종자(種字) 발아촉진처리별(發芽促進處理別)로 발아(發芽) 생장(生長)한 묘목(苗木)을 파종(播種)한 당년(當年) 10월(月) 중순(中旬)에 굴취(掘取)하여 발아율(發芽率)과 유묘(幼苗) 생장(生長)을 조사(調査) 분석(分析)하였다. 종자(種子) 발아촉진처리별(發芽促進處理別) 포지(圃地) 발아율(發芽率)에서 화살나무는 $GA_3$ 처리(處理) 후(後) 노천매장(露天埋藏)한 처리구(處理區)에서 당년(當年) 발아율(發芽率) 67.1%로 일반(一般) 노천매장(露天埋藏) 처리구(處理區) 18.4%보다 높은 발아율(發芽率)을 보여 유의적(有意的)인 발아촉진(發芽促進) 효과(效果)가 인정(認定)되었다. 차나무 종자(種子)는 종피파쇄(種皮破碎)나 $H_2O_2$ 처리(處理) 후(後) 노천매장(露天埋藏)한 처리구(處理區)와 일반(一般) 노천매장처리구(露天埋藏處理區) 간(間)에 뚜렷한 차이(差異)를 보이지 않아 노천매장(露天埋藏) 만으로도 충분한 발아촉진(發芽促進) 효과(效果)가 인정(認定)되었다. 초피나무 종자(種子)의 경우 Pon-Pon 처리(處理) 후(後) 노천매장(露天埋藏)한 처리구(處理區)에서 당년(當年) 발아율(發芽率) 80.3%로 일반(一般) 노천매장(露天埋藏)한 처리구(處理區)의 12.4% 보다 유의적(有意的)인 차이(差異)가 있었다. 남천 종자(種子) $32^{\circ}C$에서 7일간(日間) 저장(貯藏)한 처리구(處理區)가 $4^{\circ}C$에서 7일간(日間) 저장(貯藏)한 처리구(處理區)보다 5개월(個月) 정도 조기(早期)에 발아(發芽)되면서 발아율(發芽率)도 높게 나타났다. 포지(圃地)에 파종(播種)한 종자(種子)의 발아최성기(發芽最盛期)는 화살나무(32일(日))>초피나무(49일(日))>차나무(83일(일))>남천(87일(日)) 순(順)이었다. 포지(圃地)에서 발아(發芽)한 실생묘목(實生苗木) 생장량(生長量)은 종자(種子) 발아촉진처리(發芽促進處理)의 효과(效果)로 발아(發芽)가 빠른 처리구(處理區)에서 양호(良好)하였다. 실생묘(實生苗)의 연(年) 생장시간(生長時間) 중(中)에서 가장 왕성(旺盛)한 생장(生長)을 보인 최대생장(最大生長) 기간(期間)은 화살나무는 종자발아(種子發芽) 후(後) 72일(日) 경(傾)인 6월(月) 하순(下旬)부터 7월(月) 중순(中旬)사이이고, 초피나무는 59일(日)째인 6월(月) 하순(下旬)부터 7월(月) 중순(中旬) 사이였으며 차나무는 54일(日)째인 8월(月) 중순(中旬)부터 9월(月) 중순(中旬)사이로 나타났다.

  • PDF

대두조직배양세포(大豆組織培養細胞) - Rhizobium에 의(依)한 질소고정력(窒素固定力) (The Establishment of Nitrogen Fixation by Cultured Cell-Rhizobium Association Through Tissue Culture Technique in Soybean)

  • 강상재;박우철
    • Current Research on Agriculture and Life Sciences
    • /
    • 제4권
    • /
    • pp.27-35
    • /
    • 1986
  • Rhizobium의 Nitrogenase 생성요인(生成要因)과 감염기작(感染機作)을 구명(究明)하고 배양세포(培養細胞)와 Rhizobia의 혼합배양(混合培養)에서 질양고정계(窒養固定係)를 확립(確立)하기 위(爲)하여 황금(黃金), 남천(南川), D68-0099등(等) 세 품종(品種)을 조직배양(組織培養)한 결과(結果)는 다음과 같다. Callus 형성능(形成能)은 배(胚)와 유근(幼根)에서는 양호(良好)하나 배축(胚軸)에서는 전혀 없었으며 2mg/${\ell}$ 2,4-D, 4mg/${\ell}$ NAA에서 가장 양호(良好)하고 2,4-D/Kinetin 조합농도(組合濃度)에서는 0.2mg(2,4-D)/${\ell}$과 0.05mg(Kinetin)/${\ell}$에서 가장 이상적(理想的)이었다. 배양세포(培養細胞)의 성장(成長)에는 2,4-D 2mg/${\ell}$와 2,4-D (0.2mg/${\ell}$)/Kinetin(0.05mg/${\ell}$)일 때가 가장 양호(良好)하며 R. japonicum 019, 011을 접종(接種)하였을때 배양세포(培養細胞)의 성장(成長)은 상당히 둔화되었다. 단일(單一) 아미노산은 배양세포(培養細胞)의 성장(成長)을 저해(沮害) 하였는데 황금(黃金)의 경우 Methionine, Leucine에서 저해(沮害)가 가장 컷으며 다른 아미노산의 첨가(添加)로 저해작용(沮害作用)이 상당히 회복되었다. 부정근(不定根)의 생성(生成)은 2,4-D 2.0mg/${\ell}$에서나 0.2mg/${\ell}$ 2, 4-D/0.05mg/${\ell}$ Kinetin에서 양호(良好)하였다. 배양세포(培養細胞)-Rhizobium의 친화(親和)에 의(依)한 질소고정력(窒素固定力)은 25개(個) 사용(使用) 균주중(菌株中)에서 황금(黃金)에서는 10개(個) 균주(菌株), 남천(南川)에서는 7개(個) 균주(菌株)에서 나타났으며 D68-0099에서는 전혀 나타나지 않았으며 황금(黃金)의 경우(境遇) 85-HG-1 019, 007, 남천(南川)에서는 007, 119등(等)이 높은 활성(活性)을 나타내었다.

  • PDF

아연처리 볍씨의 발아중 ${\alpha}-Amylase$ 활성과 유리 Proline 함량 변화에 미치는 Kinetin 침종의 영향 (Effects of Seed Soaking of Kinetin with Zinc Treatment on ${\alpha}-amylase$ Activity and Free Proline Content during Germination of Rice(Oryza sative L.))

  • 김상국;이상철
    • 한국환경농학회지
    • /
    • 제16권3호
    • /
    • pp.245-248
    • /
    • 1997
  • 본 실험은 식물생장조절제인 kinetin으로 침종 처리된 벼종자에 아연 120ppm을 처리하여 발아중 아연 독성에 대한 초기생육, 엽록소 함량, ${\alpha}-amylase$ 및 유리 proline 함량 등의 변화를 일품벼와 남천벼를 실험 재료로하여 실험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일품벼에서 초장은 무처리보다 모든 kinetin처리구에서 양호한 생육을 보인 반면 아연 120ppm처리구에서는 가장 저조한 생육현상을 보였고 발아율은 두품종 모두 무처리보다 kinetin $10^{-3}M$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으나 아연 120ppm처리구에서는 일품벼가 남천벼보다 다소 높았다. 2. 엽록소 함량은 일품벼의 경우 무처리가 1.37mg인 것보다 아연 120ppm에서 매우 낮았고 특히, kinetin $10^{-3}M$에서는 무처리보다 훨씬 높은 함량의 증가를 보였다. 3. ${\alpha}-amylase$함량은 아연 120ppm 처리 후 1일째는 kinetin처리구와 무처리구에서 모두 낮은 활성을 보였으나 아연 120ppm 처리 후 3일째 kinetin $10^{-3}M$에서는 가장 높은 활성을 나타내었다. 4. 유리 proline 함량은 일품벼의 경우 아연 120ppm 처리후 1일째는 무처리를 제외한 모든 처리구에서 함량증가가 완만히 나타났으나 처리 후 3일째에는 무처리보다 아연 120ppm 처리에서 가장 높은 함량 증가를 보였다.

  • PDF

Aspergillus parasiticus에 의한 대두품종별(大豆品種別) Aflatoxin 생성 (Aflatoxin Production by Aspergillus parasiticus NRRL 2999 in Various Varieties of Soybeans)

  • 박건영;이규복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14권2호
    • /
    • pp.177-181
    • /
    • 1985
  • 한국산 6종의 대두품종 봉의, 황금, 장백, 단엽, 장엽 및 남천을 선정하고 Aspergillus parasiticus NR-RL 2999의 접종량을 다르게 하여($10^2$$10^6$) aflatoxin 생성을 검토하였다. 균접종량이 적었을 때$(10^2)$ 대두품종간의 AF 생성량에 현저한 차이가 있어 남천은 봉의의 7배 정도의 AF $B_1$을 생성하였으며, 봉의와 황금이 가장 적은 량의 $AF\;B_1$ (p<0.05)을 생성하였다. 한편 장엽은 가장 많은 양의 $AF\;G_1$ (p<0.05)을 생성하였고, 남천과 장엽은 $AF\;B_1+G_1$을 가장 많이 생성하는 품종이었으며, 이들은 비교군으로 쓰인 쌀보다 70배 정도의 AF을 생성하였다. 소립(小粒) 대두인 단엽과 장백은 $AF\;B_1/G_1$율이 높은 반면 대립(大粒) 대두인 봉의 황금 및 장엽은 낮은 $AF\;B_1/G_1$율을 나타내었다. 균 접종량이 많았을 때는$(10^6)$ $10^2$ 때보다 소량의 AF이 생성되었는데 남천이 가장 적은 량의 $AF\;B_1$을 생성하였으나 황금은 가장 많은 량의 $AF\;B_1$을 생성하였다(p<0.05). $AF\;G_1$에 있어서는 황금을 제외하고는 생성량에 있어 품종간의 차이가 없었고 이 경우 AF 생성은 비교군 쌀에서 보다 적은 량이 생성되었다.

  • PDF

잎들깨 수경재배에서 배지 종류에 따른 식물 생육 및 수량의 반응 (Growth and Yield Response of Perilla Plants Grown under Different Substrates in Hydroponic System)

  • 신민주;정호정;노미영;김진현;송관정
    • 생물환경조절학회지
    • /
    • 제31권4호
    • /
    • pp.292-299
    • /
    • 2022
  • 잎들깨 수경재배 시 적합한 고형배지를 선발하기 위하여 본 연구를 수행하였다. '남천'과 '소미랑' 2품종에 대해 코이어(chip:dust = 5:5), 펄라이트, 입상 암면, 원예용 상토(cocopeat: peatmoss:vermiculite:perlite:zeolite = 50:25:10:10:5) 등 4종의 배지에 따른 배지의 물리화학적 특성 및 생육반응을 분석하였다. 배지 간의 EC와 pH의 차이는 보이지 않았으나, 용기용수량 측정 결과 입상 암면이 가장 높고 원예용 상토와 코이어가 적절한 수준을 유지하였다. 배지의 기상률은 코이어와 펄라이트가 30% 이상으로 높은 경향을 보였으며 가비중은 코이어 배지를 제외한 모든 배지가 기준을 충족하였다. 잎의 크기는 품종 간에 배지에 따른 반응이 다르게 나타났는데 '남천' 품종은 원예용 상토에서 엽장, 엽폭이 가장 컸고 '소미랑'의 경우 코이어에서 재배하였을 때 가장 컸다. 엽중은 두 품종 모두 원예용 상토에서 재배한 것이 가장 높았고, 코이어와 펄라이트에서 재배한 것이 상대적으로 낮았다. 총 생산량을 조사한 결과 수량이 높은 원예용 상토 및 입상 암면과 수량이 낮은 코이어, 펄라이트로 두 그룹으로 구분되는 형태를 보였으며 그룹 간에 최대 28% 차이를 보였다. 따라서 근권에 충분한 수분 공급이 필요한 잎들깨를 수경재배하기 위해서는 보수력이 좋은 원예용 상토와 입상 암면을 이용하는 것이 적합할 것으로 판단한다.

경상남천수계의 생물학적 수질판정 (Biiological Analysis of Water Quality from the Water System of Namcheon River, Kyungsan)

  • Suh, Younbg Hee;Sang Ock Park
    • 환경위생공학
    • /
    • 제5권1호
    • /
    • pp.46-53
    • /
    • 1990
  • Analyzing the water quality biologically by the biotic index ($\beta$) of Beck-Tsuda method, for four sites of the water system of Namcheon River which reaches a length of 19.5km and flows through the kyungsan-town and Namcheon-myun in Kyungsan-gun of the suburbs of Taegu and extends to the Gumho-river on the lower, the results are summarized as follows: 1) An indicator species collected from the water system of Namcheon River comprises 78 species. Among them, 27 species are intolerant species and 51 species are tolerant species to water pollution. 2) The water of 2 sites, Weondong-bridge, Sanjeon-iron bridge was clearly water, oligosaprobic zone. The water of Youngdae-bridge was slightly polluted water, $\beta$-measosaprobic zone. But the water of Maehoildong bridge was severely polluted water, polysaprobic zone. 3) The Namcheon River was mainly polluted with sewage from the kyungsan town, with industrial wastes and products from many factories surviving the town. 4) The pH wate system of Namcheon River was alkalescent. 5) The map showing a class of water quality analyzed biologically was also prepared for each site of the water system of Namcheon River, Kyungsan. 6) It is requested that a waste water disposal plant should be established near Youngdae-bridge and Maehoildong-bridge respectively.

  • PDF

Case Study : 월정교 복원 설계를 위한 실험연구 (Case Study : Experimental Study for restoration of Woljeong Piers)

  • 여홍구;강준구;손병주;김성중
    • 한국수자원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수자원학회 2008년도 학술발표회 논문집
    • /
    • pp.943-947
    • /
    • 2008
  • 월정교는 국내에서 가장 크고 오래된 석교로써 복원 사업이 수행되고 있으며 문화재 자체만의 복원이 아닌 주변 지형까지 복원하는 방식으로 진행되고 있다. 월정교는 발굴정보에 따라 4개의 교각을 옛 모습 그대로 복원하고, 격자판 형식의 세굴보호공 역시 그대로 재현하도록 계획되었다. 복원교량의 설치는 기존 하도의 통수능 감소와 상류부 수위상승을 가져올 수 있고 교각주변에 발생되는 와류는 국부세굴의 원인이 될 수 있다. 따라서 수리영향에 의한 설계의 적정성 및 수리 안정성 검토와 세굴영향 분석이 반드시 필요하다. 또한 교각 주변의 하상 보호를 위해 설치된 옛 방식의 격자형 틀을 이용한 사석보호공은 옛 모습 그대로의 복원에 앞서 반드시 사석의 전단붕괴, 유사이탈붕괴 등의 수리학적 안정성에 대해 검토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본 실험의 목적은 수리모형실험을 통해 남천에 대해 기 수립된 하천계획 하에서 월정교 복원시 치수안전성을 검토하고 복원될 월정교 안전성을 평가하는 것이며 특히, 교각 주변에 설치될 옛방식의 격자판 세굴보호공의 수리학적 안정성을 평가하기 위한 것이다. 본 실험에서는 기 수립된 하천계획 상에서 허용되는 홍수들을 모형에서 재현하여 해당 홍수발생시 관심지역의 수위, 유속, 유황 등을 계측, 평가함으로써 치수안전성을 검토하였다. 세굴에 대한 안전성 평가를 위해 교각주변을 이동상으로 제작하여 모형사를 포설한 후 세굴영향을 측정하고, 계획된 보호공의 세굴 방지 효과를 검토하였다.

  • PDF

1996년도에 명명된 우리나라 육종벼 신품종 및 유망계통의 연도 및 지역별 동려병 발생정도 (Annual and Regional Incidences of Rice Blast on New Rice Cultivars and Elite Lines Selected for 1996 Releases in Korea)

  • 라동수;한성숙;민홍식;김장규;류화영
    • 한국식물병리학회지
    • /
    • 제12권3호
    • /
    • pp.345-350
    • /
    • 1996
  • 작물시험장 등 한국의 3개 기관에서 육성하여 1996년도 신품종으로 명명된 다산벼 등 10개 품종과 수원400호 등 6계통을 공시하여 1993년부터 1995년까지 3년동안 이천 등 4개 지역에서 도열병에 대한 발병정도 차이를 검토하였다. 밭못자리검정 결과, 다산벼, 안산벼 빛 남천벼는 발병정도 0∼7로 중도저항성 반응을 보였다. 본답에서의 잎도열병은 다산벼, 안산벼, 남천벼 일미벼 및 밀양123호에서는 전혀 발생되지 않았고, 이삭도열병 발생은 다산벼 0.7%, 안산벼 및 남천벼 1.3%, 수원400호 1.6%를 제외하고는 지역과 연도에 따라 발병정도가 달랐다. 특히 화신벼, 향남벼, 삼천벼, 일미벼 및 중화벼의 경우 이천, 춘천과 나주에서는 이삭도열병이 경미하거나 전혀 발병되지 않았으나, 1995년도 제천에서 16.1∼55.6%로 지역간, 연차간 발병정도의 차이가 심하였다. 또한 도열병균의 레이스 분포상황은 지역별로 다양하였으나 특히 이천 및 제천에서 최근에 판별된 레이스 KI-197의 분포비율이 높았다.

  • PDF

경상남도 창원천과 남천의 관속식물상과 특성 (The Characteristics and Flora of Changwon and Nam Stream Located in Gyeongsangnam-do)

  • 박경훈;유주한;윤영철
    •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지
    • /
    • 제13권5호
    • /
    • pp.12-27
    • /
    • 2010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carried out to present the raw data for restoring and maintaining an urban stream by objective surveying and analysing about flora in Changwon stream and Nam stream, Changwon-si, Gyeongsangnam-do, Korea. The results are as follows. The numbers of vascular plants were summarized as 248 taxa; 71 families, 184 genera, 220 species, 26 varieties and 2 forma. The numbers of vascular plants by streams were 202 taxa in Changwon stream and 206 taxa in Nam stream. The endemic plant was Salix pseudolasiogyne. The rare plants designated by Korea Foret Service were 2 taxa; Aristolochia contorta and Koelreuteria paniculata. The specific plants by floristic region were 12 taxa; Aphananthe aspera, Artemisia selengensis, Indigofera pseudotinctoria and so forth. The naturalized plants were 37 taxa; Ailanthus altissima, Amaranthus patulus, Amorpha fruticosa and so forth. The invasive alien plants designated by Ministry of Environment were 4 taxa; Ambrosia artemisiifolia var. elatior, Aster pilosus, Rumex acetocella and Solanum carolinense. The UI (Urbanized Index) and NI (Naturalized Index) were 13.6% and 18.3% in Changwon stream and 13.6% and 17.9% in Nam stream.

중규모하천의 도시화에 따른 건천화 평가기법 개발 (Development of Evaluation Technique for Stream flow Depletion according to Urbanization in Midium and Small River)

  • 전상미;박재현;박창근
    • 한국수자원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수자원학회 2012년도 학술발표회
    • /
    • pp.156-156
    • /
    • 2012
  • 최근 우리나라의 대부분을 차지하는 중소규모 하천 또는 도시하천은 하천수 및 하천변 지하수 이용의 증가와 토지이용변화 등으로 인해 하천의 건천화가 점증하고 있어 하천의 생태와 건전한 환경이 악화되고 있는 실정이다. 본 연구는 이러한 중소규모 하천 또는 도시하천의 도시화율에 따른 정량화된 건천화의 평가지표를 제시하고 하천 관리지표로 활용하며, 건천화 원인을 분석하여 실용적인 건천화 해소대책을 제시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하여 건천화 원인조사 및 원인별 영향 평가에 대하여 국내외 연구사례를 조사, 분석하여 도시화율에 따른 건천화 평가 기준을 개발하고, 연구지역에 적용하여 도시화율에 따른 정량적인 건천화 평가를 수행하였다. 본 연구의 대상유역은 남천, 갑천, 경안천, 왕숙천으로 총 4개 유역으로 최근 도시화에 따라 불투수율 증가, 지하수 사용량 증가 등으로 건천화가 진행중인 하천이다. 각 유역은 본 연구에서 제안하는 건천화 평가기법에 따라 본 연구에서 제안하는 건천화 등급 1~5심도로 평가되었으며, SWMM_GE 프로그램으로 분석된 유출량과 다변량 분석 방법을 이용하여 불투수율과 지하수사용량에 따른 기저유출 관계식을 산출하였다. 연구 결과는 향후 대상유역의 하천유지유량 확보 등 유역의 물건전화 정책에 도움이 될 것으로 판단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