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남원(南原)

Search Result 171, Processing Time 0.024 seconds

The Study on the Change of Construction of Namwoneupseong Fortress in the Joseon Dynasty (조선시대 남원읍성(南原邑城)의 축성변천(築城變遷)에 관한 연구)

  • Oh, Jun-young;Kim, Young-mo
    • Korean Journal of Heritage: History & Science
    • /
    • v.46 no.4
    • /
    • pp.144-159
    • /
    • 2013
  • This study covers Namwoneupseong Fortress(南原邑城), Historic Site No. 298, which played a pivotal role in the urban development and military defense history of Namwon during the Joseon Dynasty. From the related historical records, Namwoneupseong Fortress was first constructed during the reign of King Seongjong. Discussion on the extension of Namwoneupseong Fortress, afterwards, was mainly guided by he traces of Yuingweseong Fortress(劉仁軌城). In other words, the original construction of the Fortress was in the original shape of the current Namwoneupseong Fortress, and Yuingweseong Fortress heavily impacted the extension works of Namwoneupseong Fortress. Although some studies covered Namwoneupseong Fortress and its overall construction process, no in-depth study exists on the original Namwoneupseong Fortress and Yuingweseong Fortress. This study covers the overall construction process of Namwoneupseong Fortress. At the same time, we tried to confirm inclusively and objectively the facts related to the relationship between Yuingweseong Fortress and Namwoneupseong Fortress, process and range of the expansion of Namwoneupseong Fortress among others through the location search of the originally built Namwoneupseong Fortress and Yuingweseong Fortress. The study discovered that Yuingweseong Fortress was built in A.D. 660~665 and that Namwoneupseong Fortress, which was built in the early stage of King Seongjong's reign, was extended along the traces of Yuingweseong Fortress towards the southeast. Furthermore, the study confirmed that Namwoneupseong Fortress is consisted of three sections - the section with Namwoneupseong Fortress's original walls preserved, newly constructed section, and the section following Yuingweseong Fortress's traces.

남원지역 지하수 수위/수질 특성

  • 조민조;조성현;하규철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Soil and Groundwater Environment Conference
    • /
    • 2004.09a
    • /
    • pp.435-439
    • /
    • 2004
  • 남원에서 2002년 1월부터 2003년 12월까지 총 2년에 걸쳐 수행된 ‘남원지역 지하수 기초조사’는 ‘지하 수법’과 ‘지하수관리 기본계획’에 의하여 추진하는 ‘정밀 지하수 기초조사’로서 주요 조사 내용 중 세부지하수 조사에 속하는 장기적인 지하수 수위 변동 특성 및 지하수 수질 특성 규명을 위한 지하수 수위/수질 관측망 조사ㆍ분석이 실시되었으며 남원지역의 수위/수질 특성은 다음과 같다. 지하수 수위는 '02 년 6월부터 9월 사이에 수위가 급격히 상승하고 이후 수위가 점차 하강하다가 '03년 6월부터는 다시 수위가 상승하는데, 이는 강수의 영향을 받아 수위가 변동하는 것으로 해석된다. 지역적으로 상승 및 하강 양상이 크게 나타나기도 하는데, 이는 주변 관정에서의 양수나 관개수로로부터의 영향이 반영되는 것으로 보인다. 지하수 수질을 살펴보면, pH는 5~8 범위에 분포하고 있으며 EC는 주로 500$\mu$S/cm 이하이다. 수질유형은 절반 이상의 시료가 Ca-HCO$_3$ 유형을 보이고 나머지는 농업활동에 의한 오염의 영향으로 대부분 Ca-Cl유형을 보인다. 암반지하수와 충적층/풍화대 지하수의 수질 특성 차이는 크지 않다.

  • PDF

Adsorption and residues of EPN in the soil of Cheju Island (제주도 토양에서 EPN의 용탈과 잔류)

  • Kim, Jung-Ho;Kam, Sang-Kyu
    • The Korean Journal of Pesticide Science
    • /
    • v.4 no.1
    • /
    • pp.19-25
    • /
    • 2000
  • The adsorption and leaching of organophosphorus pesticide, EPN (O-ethyl-O-4 -nitrophenyl phenyl phosphonothioate) were investigated in Namwon soil(black volcanic soil), Aewol soil(very dark brown volcanic soil) and Mureung soil(dark brown nonvolcanic soil) in Cheju Island. The residue of EPN was surveyed on coastal environment of Cheju in Aug. 1996. The organic matter of Namwon soil, Aewol soil and Mureung soil was 19.8, 6.2 and 2.4%, respectively. The cation exchange capacity of Namwon soil, Aewol soil and Mureung soil was 24.8, 13.0 and 9.5 meq/100 g, respectively. The Freundlich constant, k value, was 89.4, 26.9 and 9.25 for Namwon soil, Aewol soil and Mureung soil, respectively. The k value of Namwon soil with very high organic matter content and cation exchange capacity was the highest for Aewol soil and Mureung soil. The Freundlich constant, 1/n, show a high correlation with organic matter content, i.e. it is less than unity for organic matter rich soil of Namwon soil and greater than unity for organic matter poor soil of Mureung soil. The leaching of EPN was slower for Namwon soil with high k values, and faster for Mureung soil with low k values. The results of the study was demonstrated the potential of pollution for EPN have little leached into soil environment. EPN was not detected in seawater and sediment in the coastal environment in Cheju Island. EPN used in the farm on tile Cheju island were not residued in the coastal environment.

  • PDF

전북 남원 일대의 야외지질 학습자료 개발

  • Jo, Gyu-Seong;Jeong, Deok-Ho;Park, Gyeong-Jin;Jang, Hyeon-Geun
    • 한국지구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10.04a
    • /
    • pp.66-66
    • /
    • 2010
  • 야외지질학습은 교실에서 경험할 수 없는 물질과 현상을 관찰하고 직접 경험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받을 수 있어서 매우 중요하다(Orion 1989). 또한 체험활동으로서 교실에서 학습한 내용의 구체적인 예를 제공하여 교육과정을 촉진시키는데 중요한 요소로 인식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야외 활동은 교실 활동보다 학생들의 경험과 훨씬 더 밀접히 관련되어 있기 때문에 보다 의미가 있을 수 있다. 야외실습 중에서 얻은 경험은 학생들이 그가 관찰한 것에 대해 읽도록 동기화시키고, 교과서와 자연조건에서의 실제적 경험 사이의 차이를 연결해 주는 다리를 제공해 줄 수 있다(홍정수, 장남기, 1997). 야외학습을 위한 적절한 장소는 먼저 학습주제나 목표와 부합되는 곳이어야 하며, 지리적으로 가깝고 안전한 곳이어야 한다(김찬종, 2008). 그렇기 때문에 각 지역별로 학습주제와 부합된 지역을 선정하여 야외지질 학습자료를 개발하는 것은 무엇보다 중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전북 남원 일대를 중심으로 한 야외지질 학습자료를 개발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전북 남원지역은 한반도의 중요지괴에 해당하는 영남육괴 지리산지구에 해당하며 편마암 복합체를 기저로 이를 관입하는 수 차례의 화성활동과 지구조운동으로 복잡한 지질양상을 보인다. 또한 지리산 지역은 평안분지와 경상분지의 일부가 보존되어 있고 지질시대를 달리하는 각종 화성암류가 골고루 분포하여 각 지질시대별로 화성활동과 지구조 운동이 활발했음을 시사해준다. 본 연구에서는 남원 지역의 지질학적 특징을 관찰하기 용이한 지역을 대상으로 총 5곳을 선정하였다. 남원 시내에 소재한 춘향대교 아래 지역은 중생대 쥐라기에 관입한 저반상의 남원화강암과 페그마타이트가 다수 분포하는 곳이다. 이 지역에서는 무수히 많은 관입암체를 찾을 수 있는데 다수의 지진과 지각변동이 있었음을 알 수 있다. 두 번째 장소는 다양한 바위들을 관찰할 수 있는 구룡계곡 일대이다. 이 장소는 오랜기간 동안 물의 흐름에 의해 풍화와 침식을 받은 다양한 크기의 바위를 관찰하고 구별함으로써 풍화에 따른 원마도의 관계, 바위들의 배치 형태를 통해 고지형 및 고수류의 방향을 유추해 볼 수 있다. 남원에서 장수 방향에 위치한 만행산 주변에는 흑운모편마암에 우세한데, 이 지역에서는 흑운모편마암에 나타나는 변성구조로 볼 때 높은 열과 압력을 받은 광역변성작용을 받는 것으로 판단된다. 또한 관입암체 내에 다양한 맥들이 관입을 해와 이를 통해 관입암체들의 상대연령을 판단해보는 학습자료로 활용될 수 있다. 네 번째 장소는 남원시 인월면 인풍리 소재의 인월 피바위 지역이다. 이 지역에서는 압쇄상 화강암이 주로 관찰되는데 이는 기원암인 반상화강암이 동력변성작용을 받아 생성된 것이다. 다섯 번째 지역은 지리산 내의 뱀사골로 지리산 인근에 분포하는 대표적인 편마암인 반상변정질 편마암을 관찰할 수 있다. 변정이란 변성작용을 받는 동안 형성되는 것으로 변성작용을 받는 동안 생긴 것도 있으나 경우에 따라 생성당시 원래 모암속에 포함되어 있는 반정들도 있다.

  • PDF

SHRIMP U-Pb Ages of the Namwon and Sunchang Granites (남원화강암과 순창화강암의 SHRIMP U-Pb 연령)

  • Jo, Hui Je;Park, Kye-Hun;Yi, Keewook
    • The Journal of the Petrological Society of Korea
    • /
    • v.22 no.2
    • /
    • pp.197-208
    • /
    • 2013
  • The Namwon and Sunchang granites are neighbouring plutons intruding the Yeongnam massif and the Okcheon metamorphic belt, respectively in the southwestern part of the Korean peninsula. In this study, SHRIMP zircon U-Pb ages are determined from these plutons. The results show that the emplacement age of the Namwon granite is $185.8{\pm}0.9(2{\sigma})$ Ma. We obtained $175.0{\pm}2.0(2{\sigma})$ Ma from the northern part and $179.8{\pm}0.9(2{\sigma})$ Ma from the central part of the Sunchang granite, yielding $177.4{\pm}1.3(2{\sigma})$ Ma as the average age of the pluton. Such age results confirm that the Honam shear zone, which cause marked deformation of the Sunchang granite, was active after ca. 175 Ma.

The Characteristics, Preservation and Utilization Plan of Namwon Area Tombs (남원지역 고분군의 성격과 보존 및 활용 방안)

  • Kim, Nak-Jung
    • Korean Journal of Heritage: History & Science
    • /
    • v.51 no.2
    • /
    • pp.58-77
    • /
    • 2018
  • The tomb is an important clue for understanding the ancient society of Namwon (南原). In order to establish local identity through the burial mounds and appropriately preserve and utilize it, basic investigation should be conducted to grasp the current situation of the burials. Additionally, excavation surveys and research are needed to understand the nature of the tombs. Based on this activity, local people should be informed about the importance of the tombs and participate in the preservation and utilization activities together. Preservation and utilization should be of the complex type. However, it should be improved systematically based on the fact that the tombs have not been properly investigated. In order to do this, the related organizations and budgets should be allocated at all times in Namwon City.

남원(南原) 소재 명장 유정(劉綎) 유적과 작품 고찰

  • Park, Hyeon-Gyu
    • 중국학논총
    • /
    • no.68
    • /
    • pp.235-251
    • /
    • 2020
  • This study collected and intensively analyzed the works and remains in Namwon(南原) province by Liu Ting(劉綎) of Ming Dynasty during the Imjin War (the Japanese invasion in 1592-1598; 壬辰倭亂). Liu Ting engraved characters on the rocks as passing by the Yeowon hill(女院峙) twice. A local official of Namwon built a memorial stone at the guest residence of Namwon district to appreciate the contribution of Liu Ting to care for the local people. During the second Japanese invasion in 1597-1598(丁酉再亂), Liu Ting often climbed up the Yongdu pavilion(龍頭亭) located at Mt. Yongtu(龍鬪山) and fell in love with the splendid scenery while enjoying fishing at Jogi(釣磯). Immediately after the war, Liu Ting renovated the Guanwang Shrine(關王廟) in Namwon and built the memorial stone claiming that he defeated the Japanese army with the divine power from Guanyu(關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