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The Characteristics, Preservation and Utilization Plan of Namwon Area Tombs

남원지역 고분군의 성격과 보존 및 활용 방안

  • Received : 2018.03.23
  • Accepted : 2018.05.23
  • Published : 2018.06.30

Abstract

The tomb is an important clue for understanding the ancient society of Namwon (南原). In order to establish local identity through the burial mounds and appropriately preserve and utilize it, basic investigation should be conducted to grasp the current situation of the burials. Additionally, excavation surveys and research are needed to understand the nature of the tombs. Based on this activity, local people should be informed about the importance of the tombs and participate in the preservation and utilization activities together. Preservation and utilization should be of the complex type. However, it should be improved systematically based on the fact that the tombs have not been properly investigated. In order to do this, the related organizations and budgets should be allocated at all times in Namwon City.

남원지역은 대가야와 백제라는 커다란 세력이 부딪치기도 하고 교류하기도 하면서 형성된 문화가 복합적인 양상을 드러내는 곳이다. 즉, 남강의 상류에 해당하는 운봉 아영고원 일대에는 대가야계 고총이 집중적으로 조영되지만 소가야의 흔적이 보이고 백제의 위세품이 부장되며, 섬진강유역의 남원시 서부 일대에는 5세기 후반 이후 일부 가야계 문물이 보이고 분구묘 계통의 고분이 축조되면서 복합적인 양상을 보이지만 6세기 이후 백제화 과정이 뚜렷해진다. 그런데 이 지역의 성장 과정을 대가야와 백제만의 시각으로 보아서는 실체에 접근하기 어렵다. 최근 토착세력의 분구묘도 조사되고 있으므로 앞으로는 토착 세력의 성장 기반, 백제 왕권과 대가야세력과의 관계를 이용한 현지 세력의 성장 과정에 초점을 맞춰 조사하고 분석할 필요도 있다. 이처럼 고분은 고대사회의 남원을 파악하는 데 중요한 실마리이다. 고분을 통해 지역의 정체성을 확립하고 적절히 보존 및 활용하기 위해서는 우선 현상 파악을 위한 기초조사가 이루어져야 한다. 그리고 고분의 성격을 파악하기 위한 조사와 연구가 필요하다. 이를 바탕으로 지역민에게 고분군의 중요성을 알려 보존 및 활용 활동에 함께 참여하도록 해야 한다. 보존 및 활용은 가장 상위의 복합형을 지향해야 하겠지만 제대로 기초조사조차 이루어지지 않은 현상에 기초하여 단계적으로 개선해 나가야 할 것이다. 이를 위해서는 남원시에 이와 관련된 조직과 예산이 항시적으로 배분되어야 한다.

Keywords

Acknowledgement

Supported by : 한국연구재단

References

  1. 곽장근, 2015, 운봉고원의 제철유적과 그 역동성 백제문화 52, 공주대학교 백제문화연구소
  2. 곽장근.조인진.조명일.신소미.이현석.유영춘, 2013, 남원 입암리.임리 고분, 군산대학교박물관.남원시
  3. 군산대학교박물관, 2011, 남원 두락리 및 유곡리 고분군 정밀지표조사 보고서
  4. 權五榮, 2008, 무덤연구의 새로운 시각 제51회 전국역사학대회 고고학부 발표자료집-무덤연구의 새로운 시각, 한국고고학회
  5. 김규정.양영주.김상규.정재영, 2012, 남원 월산리 고분군-M4.M5.M6호분, 전북문화재연구원
  6. 김길식, 2009, 고분 韓國考古學專門事典-古墳篇, 국립문화재연구소
  7. 김낙중, 2014, 남원지역 고분군의 보존과 활용 방안 가야와 백제, 그 조우(遭遇)의 땅 '남원', 남원시.호남고고학회
  8. 김세기, 2013, 대가야 문화재를 활용한 지역관광 활성화 방안 新羅文化 제41집, 東國大學校 新羅文化硏究所
  9. 김승옥.천선행.변희섭.박서현.정다운, 2015, 南原 酉谷里 및 斗洛里 32號墳, 全北大學校博物館
  10. 김승옥.천선행.변희섭.정현.박서현, 2013, 남원 운교리유적, 전북대학교박물관
  11. 김영연, 2013, 우리나라 유적박물관의 문화유산교육 활용과 전망 박물관교육연구 제9호, 한국박물관교육학회
  12. 김종승, 2012, 문화재청의 발굴 보존유적 관리체제 정립에 관한 연구, 고려대학교 행정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3. 김진.정은, 2012, 문화유적 공원 조성방법과 활용방안 연구-전북지역을 중심으로 호남고고학보 제40호, 호남고고학회
  14. 남원시.호남고고학회, 2014, 가야와 백제, 그 조우(遭遇)의 땅 '남원'
  15. 류호철, 2014a, 문화재 활용의 개념 확장과 활용 유형 분류체계 구축 문화재 제47권 제1호, 국립문화재연구소
  16. 류호철, 2014b, 보존조치 매장문화재 제도의 개선 필요성과 방향 문화재 제47권 제3호, 국립문화재연구소
  17. 문화재청, 2009, 문화재 활용 가이드북
  18. 문화재청, 2011, 고분의 보존관리 매뉴얼
  19. 박순발, 2012, 계수호鷄首壺와 초두鐎斗를 통해 본 남원 월산리 고분군 운봉고원에 묻힌 가야 무사 (남원 월산리 발굴 유물 특별전 도록), 국립전주박물관.전북문화재연구원
  20. 박중환, 2015, 나주 반남고분군의 조사현황과 보존.활용방안 고고학과 현대사회 (제39회 한국고고학전국대회 발표요지), 한국고고학회
  21. 박천수, 2014, 출토유물로 본 삼국시대 南原지역의 정치적 向方 가야와 백제, 그 조우(遭遇)의 땅 '남원', 남원시.호남고고학회
  22. 변희섭, 2016, 남원 동부지역 삼국시대 고분의 활용방안 검토-남원 유곡리 및 두락리 고분군을 중심으로- 건지인문학 제16집, 전북대학교 인문학연구소
  23. 山本孝文, 2007, 百濟 泗沘期 石室의 設計와 構造系統論 韓國考古學報 63, 한국고고학회
  24. 신종환, 2014, 남원지역 고분군의 보존과 활용 방안에 대한 토론문 가야와 백제, 그 조우(遭遇)의 땅 '남원', 남원시.호남고고학회
  25. 원광대학교마한백제문화연구소, 1983, 남원 월산리고분군 발굴조사보고서
  26. 유철, 2016, 남원 유곡리.두락리 고분군의 보존과 활용 남원 유곡리.두락리 고분군 학술대회, 남원시
  27. 윤덕향, 1987, 남원 笠岩里 출토유물 宋俊浩교수정년퇴임논총, 송준호교수정년기념논총간행위원회
  28. 윤덕향, 1994, 행정리 고분군 발굴조사보고서, 전라북도남원군.전북대학교박물관
  29. 윤덕향, 1997, 남원 고죽동 유적 발굴조사보고서, 남원의료원.전북대학교 전라문화연구소
  30. 윤덕향.곽장근, 1989, 두락리 발굴조사보고서, 전북대학교박물관
  31. 윤덕향.곽장근, 1991, 남원 건지리 고분군 발굴조사보고서, 문화재연구소
  32. 장명엽.윤세나, 2013, 南原 奉大古墳群, 湖南文化財硏究院
  33. 장호수, 2005, 발굴유적의 보존과 정비 한국 매장문화재 조사연구방법론1, 국립문화재연구소
  34. 전라문화유산연구원, 2012, 남원 초촌리고분군 정밀지표조사 보고서
  35. 전라문화유산연구원, 2014, 남원 운봉 북천리 고분(3호분) 정밀발굴조사 (전문가검토회의 자료집)
  36. 전상학.김태영, 2012, 남원 사석리 고분군 2011.2012 호남지역 문화유적 발굴조사 성과, 호남고고학회
  37. 전영래, 1973, 전북지방 출토 옹관묘 2례 전북유적조사보고 제1집, 전라북도박물관
  38. 전영래, 1981, 남원 초촌리 고분군 발굴조사보고서 전북유적조사보고 제12집, 한국문화재보호협회전라북도지부
  39. 全榮來, 1985, 百濟南方境域의 變遷 千寬宇先生還曆紀念 韓國史學論叢, 正音文化社
  40. 조근우, 2014, 해남 만의총 고분의 활용방안 해남 만의총 1호분, 동신대학교문화박물관
  41. 하승철, 2014, 남원지역 가야고분의 구조와 변천 가야와 백제, 그 조우(遭遇)의 땅 '남원', 남원시.호남고고학회
  42. 해원문화재연구원, 2015, 남원 두락리 및 유곡리 고분군 주변 문화재 古墳 分布 調査 報告書
  43. 洪思俊 1968, 南原出土 百濟 飾冠具 考古美術 제9권 1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