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남성 노인

검색결과 327건 처리시간 0.035초

남성 연소노인의 은퇴 후 적응과정과 노년기 조망에 대한 연구 (The Study on the Adaptation Process of Young Old Men and the Perspective after Their Retirement)

  • 이가옥;이지영
    • 한국사회복지학
    • /
    • 제57권1호
    • /
    • pp.93-120
    • /
    • 2005
  • 은퇴 후 연소노인들이 어떻게 노인이 되어 가고 있으며, 앞으로의 노년기는 어떻게 조망하고 있는지에 대해서 살펴보는 것이 본 연구의 목적이다. 이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10명의 연소노인을 대상으로 이들의 삶의 모습을 살펴보았다. 은퇴 후에도 연소노인들은 계속적으로 일을 하기를 원하였지만, 사회적으로 이들의 일에 대한 지향은 이루어지기 힘든 상황이었다. 이 글은 일을 중심으로 그들의 기대를 낮추는 과정이 어떻게 일어나고 있는지, 이러한 과정 속에서 앞으로의 노년기를 어떻게 조망하고 있는지를 중심으로 기술하였다. 연구 결과, 연소노인들은 끊임없이 자신의 야심 달성에 실패하면서, 그때마다 기대를 낮추도록 요구받고 있었다. 외면적으로 이들의 포부는 점점 사라지는 것처럼 보였다. 그러나 사회적 배제의 과정은 단순히 이들에게 일에 대한 포부뿐만 아니라, 자신의 미래에 대한 계획까지 빼앗고 있었다. 결과적으로, '젊어지려는' 개인과 '조로(早老)시키려는' 사회 사이의 커다란 괴리는 연소노인의 삶의 만족도를 떨어뜨리고 있었다.

  • PDF

국내 일부 재가 노인의 식욕부진 실태와 관련 인자 분석 (Appetite and Related Factors among Community Elders in Korea)

  • 박수진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3권9호
    • /
    • pp.1431-1438
    • /
    • 2014
  • 본 연구는 국내 노인의 삶의 질과 영양개선 및 건강을 증진시킬 수 있는 기초자료를 얻고자 실시된 단면연구로서 재가 노인의 식욕부진 유병 상태를 조사하고, 식욕부진과 관련된 사회 인구학적 특성, 병리적 특성과 심리 특성 및 일상생활 수행능력 등을 조사하였다. 자료 수집은 서울, 경기, 충북 지역의 65세 이상 재가 노인 419명을 대상으로 2012년 9월에서 12월까지 구조화된 설문지를 이용하여 일대일 면접방법으로 수행하였다. 연구 결과 국내 노인의 식욕부진 유병률은 전체 응답자 가운데 35.1%였고, 특히 남성노인의 식욕부진 유병률이 여성노인보다 유의하게 높았다. 남성노인의 식욕부진은 중추신경계 질환을 진단받은 경우가 가장 많았고 여성노인의 경우 식욕부진은 내분비 질환이 있는 경우가 가장 많았다. 또한 우울증 증상이 있거나 일상생활에서 의존도가 높은 경우 식욕부진이 현저한 것으로 관찰되었다. 이상의 결과로부터 국내 재가 노인들의 식욕부진이 심각한 수준임을 알 수 있었고, 노인의 식욕부진은 생리적 특성과 병리적 특성은 물론 우울과 같은 심리적 특성과도 깊은 상관성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향후 노인의 식욕부진 개선이나 예방을 위하여 구체적인 영양중재와 영양치료가 필요하며, 노인인구 증가에 따라 노인의 식욕증진을 고려한 노인식품 개발이 시급히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본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은 제한점을 갖는다. 본 조사는 단면연구이므로 연구 결과에서 나타난 식욕 수준에 관련된 인자들이 노인의 식욕부진 원인으로 작용했는지는 알 수 없다. 따라서 추후 보다 대표성을 갖는 한국 노인을 대상으로 노인의 식욕부진 유병률의 조사는 물론 식욕부진과 관련된 원인 규명을 위하여 횡단연구가 필요하다. 또한 노인을 일대일 대면하여 자가보고 하는 방법으로 자료를 수집하였으므로 문항에 따라서는 노인에 따라 사실보다 과장하거나 축소하는 등 응답 수준이 주관적일 수도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본 연구에서 나타난 식욕부진과 관련된 인자들은 선행 연구와 유사하며 따라서 자가보고에 의한 사회적 기대 효과는 다소 적었다고 판단된다. 향후 재가노인의 범위를 성별, 연령별, 지역별, 거주형태별 등으로 일치시키고 확대하여 노인의 식욕부진 실태와 관련 인자 연구의 확대를 제안한다.

은퇴가 심리적 안녕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종단적 연구: 노인의 성과 거주지역을 중심으로 (Gender, Residential Areas, Retirement Transitions, and Psychological Well-Being of the Elderly)

  • 윤현숙;이미진
    • 한국사회복지학
    • /
    • 제58권4호
    • /
    • pp.197-217
    • /
    • 2006
  • 본 논문은 서울과 춘천지역 거주자를 대상으로 실시한 "고령화와 한국 노인의 삶의 질에 관한 조사"의 1차년도와 3차년도 패널자료를 이용하여, 노인의 성과 거주 지역에 따라 은퇴로의 진입이 심리적 안녕에 미치는 영향이 다른지를 분석하였다. 전체 표본(n=1,124)을 도시 남성노인, 농촌 남성노인, 도시 여성노인, 농촌 여성노인으로 구분하여 은퇴로의 진입과 심리적 안녕과의 관계를 살펴본 결과, 도시 남성노인에게서만 은퇴로의 진입이 심리적 안녕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는 은퇴로의 진입과 심리적 안녕과의 관계가 노인의 성, 거주 지역에 따라 다름을 보여주며, 이러한 차이는 성과 거주 지역에 따라 생애주기 동안 경험한 경제활동, 가정내 역할, 은퇴 이후 역할 등의 차이에 영향을 받은 것으로 보여진다.

  • PDF

노년기 운전중단 결정 인식과 태도에 관한 연구 (Older Drivers' Perception and Attitudes Towards Driving Cessation)

  • 최문정;오학준;서이종
    • 한국노년학
    • /
    • 제38권3호
    • /
    • pp.593-605
    • /
    • 2018
  • 1970년대 이후 기대수명과 자동차 수의 증가로 '노인운전자'라는 신(新) 사회현상이 생겼다. 노인운전자에 대한 정책 개발은 '개인의 이동권'과 '공공의 안전' 사이의 균형을 찾는 과정으로, 정책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받게 될 노인이 운전중단에 대해 어떤 태도를 갖고 준비를 하는지에 대한 이해가 선결적이다. 본 연구는 노년기 운전중단 결정에 대한 이해를 증진시키고자 전국 17개 시도에서 실시된 만 65세 이상 노인을 모집단으로 비례층화할당 표본 추출을 활용한 설문조사 데이터를 사용하였다(표본 크기: 2,076명). 운전을 그만두는 것을 생각해본 적이 있는지와 운전중단 시점을 스스로 정할지 아니면 타인이 조언해주는 것이 좋은지에 대한 선호를 종속변수로 일련의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수행하였다. 분석결과 38.1%가 운전을 해본 적이 있으며, 21.2%는 면허가 있고 지난 한 달 동안 운전을 한 적이 있다고 응답하였다. 운전은 성별에 따라 큰 차이를 나타내어 남성노인은 43%가 운전을 하고 있는 반면에, 여성노인은 5.1%에 불과하였다. 노인운전자의 약 2/3인 62.8%가 운전을 그만두는 것을 생각해본 적 없다고 응답하였으며, 역시 약 2/3인 66.0%가 운전을 그만두는 시점을 스스로 판단하는 것을 선호하였다. 여성이 남성에 비해, 도시지역 거주자가 농어촌지역 거주자에 비해 운전중단을 생각해본 확률이 2배 정도 높았다. 나이가 한 살 증가할 때마다 운전중단을 생각해본 확률이 5%씩 증가하였고, 만성질환으로 일상생활 어려움이 클수록 운전중단을 생각해보는 경향이 있었다. 반면, 운전중단 시점을 스스로 판단하는 것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사회인구학적, 건강 요인은 없었다. 본 연구결과는 현재 시행 중인 연령에 따른 면허 갱신주기 단축 정책에 더불어 노인운전자의 자발적 운전중단에 동기를 부여할 수 있는 정책적 개입이 보완적 효과를 가져올 수 있음을 시사한다. 아울러, 노년기의 운전중단은 사전 예방적으로 접근하여 건강한 전기 노년기부터 미리 계획하고 준비할 수 있는 교육이 필요하며, 이때 농어촌지역 거주자와 남성 노인운전자에 보다 큰 관심이 요구된다.

노인의 성별에 따른 체중분포 차이 (The Difference of Weight Distribution Index in Elderly People According to Gender)

  • 윤세원;권혜민;강양훈
    • 대한물리의학회지
    • /
    • 제7권1호
    • /
    • pp.103-110
    • /
    • 2012
  • 연구목적 : 본 연구는 노인의 성별이 낙상에 영향을 줄 수 있는 체중분포지수에 미치는 차이를 알아보고자 한다. 연구방법:광주광역시 소재 빛고을 노인건강타운 물리치료실을 이용하는 65세 이상 66명(남성 33명, 여성 33명) 노인을 대상으로 남성노인 평균연령은 70.97세, 여성노인 평균연령은 71.39세로 모든 대상자는 TETRAX의 체중분포지수(weight distribution index; WDI)를 이용하여 성별에 따라 그 차이를 비교 분석하였다. 측정 방법 은 안정된 발판에서 눈을 뜨고 정면을 향한 자세, 안정된 발판에서 눈을 감고 정면을 향한 자세, 불안정한 발판에서 눈을 뜨고 정면을 향한 자세, 불안정한 발판에서 눈을 감고 정면을 향한 자세, 안정된 발판에서 눈을 감고 고개를 오른쪽으로 돌린 자세, 안정된 발판에서 눈을 감고 고개를 왼쪽으로 돌린 자세, 안정된 발판에서 눈을 감고 고개를 뒤로 젖힌 자세, 안정된 발판에서 눈을 감고 고개를 숙인 자세로 측정하였고, 분석방법은 SPSS version 12.0을 이용하여 통계처리 하였고, 남녀 간의 안정성지수와 체중분포지수의 평균차이 검정은 독립표본 t-검정을 실시하였다. 통계학적 유의성을 검증하기 위해 ${\alpha}$는 유의수준 0.05로 하였다. 연구결과 : 성별에 따른 WDI비교에서 불안정한 발판과 안정된 발판에서 눈을 뜬 상태와 감은 상태에 정면을 향한 자세, 안정된 발판에서 눈을 감고 고개를 왼쪽과 오른쪽으로 돌린 자세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나 안정된 발판에서 고개를 뒤로 젖힌 자세와 고개를 숙인자세에서는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결론 : 본 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성별에 따른 노인의 WDI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요인을 파악하여 낙상예방프로그램 기초자료로 활용 될 것으로 생각된다.

농촌거주 노인들의 죽음불안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대한 융합적 연구: 성별과 자존감을 중심으로 (Convergence Study of the Factors Affecting on Death Anxiety in Rural Elderly: Focused on gender and self esteem)

  • 강영실;홍은영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11권4호
    • /
    • pp.351-357
    • /
    • 2020
  • 본 연구는 농촌거주 노인들의 죽음불안을 파악하고 이에 영향을 주는 요인을 융합적으로 확인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J시에 소재한 12개 보건진료소의 관할구역인 농촌지역 읍·면에 거주하는 노인 총 170명을 편의추출하였다. 자료분석은 SPSS/WIN 21.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t-test,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 회귀분석을 하였다. 전체 대상자의 평균연령은 80.0±6.42세였고, 자존감은 평균 3.3±0.58, 죽음불안은 평균 2.5±0.32였다. 자존감과 죽음불안은 유의한 부적 상관관계(r=-.173, p=.024)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죽음불안에 영향을 주는 요인을 확인하기 위해 성별(남성)과 자존감을 투입하여 회귀분석한 결과 성별(남성)이 죽음 불안에 가장 큰 영향을 주었으며(β =.199, p=.009), 다음으로 자존감이 죽음불안에 영향을 주었고(β =-.171, p=.023), 이들 두 변수는 죽음불안을 총 5.8%(F=6.238, p=.002) 설명하였다. 추후 보건진료소 단위의 관할구역 거주 노인을 위한 지역단위의 건강증진사업 수행시 남성노인을 우선적으로 포함하여 자존감 증진 중재를 통해 죽음불안을 낮출 수 있는 프로그램이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한국 노인의 인구사회적 특성과 구강보건행위가 구강보건지수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Sociological Characteristics and Oral Health Behaviors on Oral Health Index in Korean Elderly)

  • 박명호;박미영;이희성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4권10호
    • /
    • pp.4989-4995
    • /
    • 2013
  • 본 연구는 한국 노인의 인구사회적인 특성과 구강보건행위가 구강건강상태에 미치는 요인을 조사함으로써 향후 노인대상의 구강건강사업에 필요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연구자료는 2010년 1월부터 12월까지 질병관리본부에서 시행한 '국민건강영양조사 제5기 1차년도(2010) 자료'를 활용 구강검사 까지 완료한 65세 이상 노인 1419명중 검사가 미흡한 노인 707명을 제외한 712명을 최종 연구대상으로 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19.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전산통계 처리하였으며, 분석방법은 빈도분석, 다중회귀분석을 이용하였다. 잔존치아 수에 미치는 요인은 성별이 남성일수록, 나이가 적을수록, 거주지가 동일수록, 교육수준이 높을수록, 흡연량이 적을수록, 구강건강용품 사용이 많을수록 높게 나타났고, DMFT 지수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나이가 적을수록, 소득이 낮을수록, 교육수준이 높을수록 DMFT 지수가 낮게 나타났고, CPI 지수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성별이 남성일수록, 나이가 적을수록, 거주지가 동일수록, 흡연량이 적을수록, 구강건강용품 사용이 많을수록 CPI지수가 낮게 나타났고, FS-T 지수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성별이 여성일수록, 소득이 높을수록, 잇솔질 횟수가 많을수록 FS-T 지수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고, T-Health 지수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성별이 남성일수록, 나이가 적을수록, 거주지가 동일수록, 흡연량이 적을수록, 구강건강용품 사용이 많을수록 T-Health 지수가 높게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를 토대로 구강보건행위는 구강보건지수에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알 수 있었고, 향후 노인의 구강건강을 증진시키기 위해서는 체계적인 구강건강교육과 국가적 지원이 필요하다고 사료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