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남부군

검색결과 233건 처리시간 0.029초

불갑산 지역의 관속식물상과 특정식물 (Vascular Plants and Specific Plants of Bulgapsan)

  • 임동옥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16권1호
    • /
    • pp.68-86
    • /
    • 2002
  • 불갑산 지역에서 채집된 표본을 동정한 결과 관속식물 전체 종수는 104과 289속 382종 51변종 4품종 총 437종류로 나타났다. 본 지역은 굴피나무, 꾸지뽕나무, 예덕나무, 말오줌때. 나도밤나무, 백동백, 사스레피나무, 개미탑, 선피막이, 큰피막이, 이팝나무, 마삭줄, 보춘화 등의 여러 남부식물이 생육하는 것으로 보아 식물분포학상 남부아구에 속한다. 환경부에서 지정한 평가단위별 특정식물은 5등급이 2분류군, 4등급은 15분류군, 3등급은 7분류군 그리고 2등급이 1 분류군으로 총 25분류군으로 확인되었다. 평가단위 5개 등급에서 얻은 평가점수는 186점으로 나타났다.

계룡산국립공원 동월계곡일원의 식물상 조사연구 (Flora of Dongwol Valley in Mt. Gyeryongsan, National Park)

  • 고성철;강신호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18권2호
    • /
    • pp.223-239
    • /
    • 2005
  • 동월계곡의 소산관속식물은 재배종을 포함하여 1문 4강 3아강 34목 84과 178속 210종 1아종 33변종 4품종으로 총 248 분류군으로 조사되었다. 본 지역과 우리나라의 남부${\cdot}$중부${\cdot}$북부${\cdot}$울릉도${\cdot}$제주도의 식물대와 공통분포 하는 분류군의 수를 비교하여 보면 남부와는 $90.3\%$, 중부와는 $98.0\%$, 북부와는 $79.0\%$ 울릉도와는 $62.1\%$, 제주도와는 $73.8\%$로 각각 나타났다. 한반도의 북부고유분자식물은 확인되지 않았으며, 중부고유분자식물은 3 분류군. 남부고유분자식물 1 분류군, 중북부고유분자식물 5 분류군. 남중부고유분자로는 23 분류군이 각각 분포하는 것으로 밝혀졌으며, 자원식물은 식용 118 분류군, 약용 78 분류군, 공업용 46 분류군, 관상용 39 분류군, 목재용 14 분류군 그리고 섬유용 9 분류군과 한국특산식물 4분류군이 분포하였다. 전반적인 식생은 참나무류와 철쭉류가 혼생하는 혼효림이라 할 수 있고, 한반도의 식물구계로 볼 때 온대 중부와 남부의 경계지역으로 생각된다.

광천선굴의 지리학적 분석

  • 김추윤
    • 동굴
    • /
    • 제10권11호
    • /
    • pp.52-71
    • /
    • 1985
  • 평창군은 강원도의 남부 중앙에 위치하여 동쪽은 정선군ㆍ 주군 서쪽은 횡성군, 남쪽은 영월군, 북쪽은 홍천군과 접해서 5개 군과 경계를 이루고 있다. 그리고 그 군계는 태백산맥과 그 연봉인 사방으로 둘러싸인 두노봉(1,421m), 계방산(1,577m), 청태산(1,200m), 자덕산(1350m)와 같은 자연적인 산세에 의해서 이루어졌다. (중략)

  • PDF

진동을 융합한 소도구운동이 초등학교 야구선수들의 타격속도와 타격정확도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Vibration Convergence Prop Exercise on Batting Speed and Batting Accuracy in Elementary School Baseball Players)

  • 김용남;박세주;정호진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12권3호
    • /
    • pp.35-41
    • /
    • 2021
  • 본 연구는 진동을 융합한 소도구운동이 초등학교 야구선수들의 타격속도와 타격정확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는데 목적이 있다. 주 3회 6주간 실시하였다. 실험군과 대조군 각각 20명씩으로 나누었다. 실험군은 진동을 융합한 소도구운동을 시행하였으며, 대조군은 일반적 운동을 시행하였다. 타격속도와 타격정확도를 측정하였다. 진동운동 실험군과 대조군 모두 중재 전과 후 타격속도와 타격정확도에서 군내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실험군과 대조군의 중재 후 군간 비교에서 타격정확도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진동을 융합한 소도구운동이 초등학교 야구선수들의 타격속도와 타격정확도를 증진시키는데 효과적인 방법이라고 사료된다. 향후 연구에서는 연령별과 스포츠 관련 질환을 가진 대상자에 대한 후속연구가 필요하다.

세종시 남부일대의 관속식물상 연구 (Vascular Plant Species in the Southern Sejong)

  • 성정원;강신구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33권4호
    • /
    • pp.311-336
    • /
    • 2020
  • 본 연구는 세종시 식물자원의 관리방안을 모색하고 식생관리와 희귀 및 멸종위기식물, 식물생태계 보존대책을 마련하기 위한 기초자료 제공에 있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세종시 일대에 분포하는 식물상은 104과 315속 462종 3아종 59변종 7품종의 총 531분류군으로 확인되었다. 희귀식물은 총 8과 8속 8종 8분류군으로 취약종(VU) 개박하 등 2분류군, 약관심종(LC) 쥐방울덩굴 등 4분류군, 자료부족종(DD) 큰개고사리 1분류군이 각각 출현하여 전체 식물종 중 1.5% 비율로 나타났다. 주목은 생태적으로 중요하지만 수형과 형태가 곧아 조경 식재용으로 개발하는 것이 필요할 것이다. 특산식물은 총 8과 9속 9종 9분류군으로 확인되었으며, 은사시나무, 오동나무는 산림경관용 군락으로 개발하는 것이 필요하다. 식물구계학적 특정식물은 V등급 자리공 등 2분류군, IV등급은 좀현호색 등 4분류군, III등급은 탱자나무 등 8분류군, II등급은 참개별꽃2분류군, I등급은 쇠고비 등 26분류군이 확인되었다. 귀화식물은 18과 38속 48종 1변종 49분류군으로 확인되었으며, 도시화지수(UI) 15.3%, 귀화율(NI) 8.7%로 분석되었다. 산림휴양과 치유에 필요한 유용식물은 식용이 199분류군으로 가장 높았으며, 목초용 193분류군, 약용 178분류군, 관상용 82분류군, 목재용 25분류군, 섬유용 18분류군, 염료용 9분류군 순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세종시 남부일대에 분포하는 식물상을 조사 및 분석하기 위해 수행하였다. 주로 조사된 자료는 생태적 가치에 집중된 경향이 있기 때문에 향후 이용객들이 식물에 대한 중요성을 인지할 수 있도록 보전용, 약용, 식용, 관상용 등 구분하여 보전에 대한 중요성 제고와 실생활과 밀접한 자원 발굴 등 자료 구축이 이루어진다면 세종시 남부일대의 식물상에 대한 자원적 및 생태적 가치가 높아질 것으로 판단된다.

북한 지역의 콩 기상 생태형 설정 연구 (Estimation of Meteorological Ecology of Soybean (Glycine max Merrill) for Crop Cultivation Regions of North Korea)

  • 김보환;이혜지;김욱;박세준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65권1호
    • /
    • pp.56-62
    • /
    • 2020
  • 본 연구는 북한 지역에 적합한 콩 품종의 기상생태형을 설정하고 그 특성을 제시하기 위하여 실시하였다. 지역의 일별 최저온도를 기준으로 콩 수확 한계기와 최대 재배일수를 결정하였으며, 이를 적용하여 지역별 콩 기상생태형을 분류하였고 그 특성은 다음과 같다. 1. 북한 지역의 콩 기상생태형 군은 총 8군으로 분류하였다. I군은 서해안 남부와 동해안 남부지역으로, II-1군은 서해 내륙의 남부에서 북부에 걸친 지역으로, II-2군은 동해안 중부지역으로, III-1군은 중부 내륙지역으로, III-2군은 동해안 북부지역으로, IV-1군은 중부 내륙 산간지역으로, IV-2군은 북부 내륙지역으로, IV-3군은 동해안 최북단과 북부 내륙 산간지역으로 결정되었다. 2. 수확 한계기는 I군에 속하는 남부 서해안과 동부 동해안 지역이 10월 21일~29일로 가장 늦었고, 중부 내륙과 산간지역으로 갈수록 짧아져 IV군에서는 9월 18일~10월 2일로 가장 빨랐다. 3. 최대 생육일수는 I군은 153~160일로 가장 길었으며, 북부산간 지역인 IV-3군은 100~111일로 가장 짧았다. 4. 총 생육일수를 110일로 가정하였을 때, 기상생태형 I군의 개화 한계기는 8월 12일~19일로 일장은 13.5~13.8 h이었으며, II군은 8월 2일~6일에 14~14.2 h, III군은 7월 27일~8월 2일에 14.2~14.4 h, IV군은 7월 10일~22일에 14.5~14.8 h이었다. 5. 총 생육일수를 110일로 가정하였을 때 적산온도는 서해 내륙에 있는 2-1군이 2,400℃ 이상으로 높았으며, 청진, 선봉, 중강 지역을 제외한 모든 지역에서 2,300℃ 이상을 보였다. 6. 최대 재배일수를 기준으로 산정한 적산온도는 I군과 II-1군은 3,000℃ 이상의 적산온도를 보였으며, II-2군, III-1군, 및 IV-1군은 2,500℃ 이상의 적산온도를 기록하였다.

치료적 클라이밍 훈련이 뇌졸중 환자의 상지기능과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Therapeutic Climbing Training on Upper Limb Function and Quality of Life in Stroke Patients)

  • 박치복;김병근;이소인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20권5호
    • /
    • pp.292-299
    • /
    • 2019
  • 본 연구는 치료적 클라이밍 훈련이 뇌졸중 환자의 상지기능과 삶의 질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고, 임상적으로 중재될 수 있는지에 대한 가능성을 제시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연구는 14 명의 뇌졸중 환자를 대상으로 하였으며, 7명의 치료적 클라이밍 훈련군과 7명의 대조군으로 지정하였다. 실험군은 일반적 물리치료와 작업치료를 시행하였고, 추가적으로 포츠담모델을 이용한 치료적 클라이밍 훈련을 6주 동안 주 3회, 총 30분 씩 훈련을 진행하였다. 대조군은 일반적 물리치료와 작업치료를 적용하였다. 상지기능은 Manual Function Test로 측정하였고, 삶의 질은 Short Form 36-item으로 측정하였다. 측정 결과, 그룹 내 시기에 따라 실험군의 상지기능은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p<.05). 삶의 질은 그룹 내 시기에 따라 실험군의 유의한 차이가 있었고, 각 그룹 간의 비교에서는 실험군이 대조군에 비하여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p<.05). 본 연구를 통해 뇌졸중 환자에게 포츠담 모델을 적용한 치료적 클라이밍 훈련이 상지기능과 SF-36점수를 증가시켜 삶의 질에 긍정적인 효과를 가져왔다. 따라서 향후 치료적 클라이밍을 이용한 훈련을 통해 뇌졸중 환자의 재활이나 임상 적용 중재에 있어서 가치가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