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owse > Article

Vascular Plants and Specific Plants of Bulgapsan  

임동옥 (호남대학교 자연과학대학 자연과학부)
Publication Information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 and Ecology / v.16, no.1, 2002 , pp. 68-86 More about this Journal
Abstract
The vascular plants in Bulgapsan, Younggwang-gun, Jeollanam-do, were consisted of 437 taxi; 104 families, 289 genus, 382 species, 51 varieties, 4 forma. From the floristic point of view, Bulgapsan is belongs to the South Province in Korea represented as Platycarya strobilacea, Cudrania tricuspidata, Mallotus japonicus, Lindera glauca, Euscaphis japonica, Meliosma myriantha, Euryu japonica, Halorrhagis micrantha, Hydeocotyle maritima, H. ramifloru, Chionanthus retusa, Trachelospermum asiaticum var. intermedium and Cymbidium goeringii, The Specific plants which is categorized to the Degree by the Ministry of Environment appeared to 25 taxa; Degree V was 2 species, Degree IV was 15 species, Degree III was 7 species and Degree II was 1 species. The mark evaluated by Degrees of five evaluation unit was 186.
Keywords
VASCULAR PLANTS; SOUTHERN PROVINCE; SPECIFIC PLANTS;
Citations & Related Records
연도 인용수 순위
  • Reference
1 이영노(1990) 한국의 회귀 및 위기종식물 실태 조사연구. 자연보존협회 10: 171-209
2 김철수, 오장근(1993) 무등산의 식생에 대한 식물사회학적 연구. 한국생태학회지 16: 93-114
3 김하송(1997) 금성산(전남 나주)의 식물상 연구. 한생연 2: 115-138
4 길봉섭(1989) '89자연 생태계 전국조사(ll-2), 제4차년도(전남의 식생) 1, 영광군, 무안군, 함평군, 나주군, 광주직할시-. 환경처, 13-60쪽
5 김창환, 길봉섭(1992) DCCA와 Polar Ordination에 의한 무등산의 삼림 군락 분석. 한국생태학회지 15: 117-125
6 이정석(1962) 입암산 일대의 삼림식물 조사연구. 전남대논문집 7: 181-191
7 이정화(1983) 무등산 임상의 식물사회학적 해석연구. 전남대학교 석사학위논문, 35쪽
8 이창복(1980) 대한식물도감. 향문사, 990쪽
9 임경빈(1993) 천연기념물(식물편). 대원사, 542쪽
10 임동옥, 박진영(1997) 거제도 (9-7)의 자연환경, 북병산(거제)과 인근 산지의 식물상. 환경부. 55-132쪽
11 임형탁, 홍행화, 황백(1996) 가지산의 식물상에 관한 연구. 한생연 1: 1-16
12 이영노, 오용자, 이남숙, 서성희 (1986) 영산강유역 연안의 식물상. 자연보존연구보고서 8: 75-98
13 전승훈(1997) 제 2차 자연환경 전국 기초조사 지침. 환경부
14 박만규(1969) 전라남도의 식물상의 개관. 식물분류학회지 1: 9-12
15 이우철, 임양재(1978) 한반도 관속식물의 분포에 관한 연구. 식물분류학회지 8: 1-33
16 길봉섭(1993) 선운산 도립공원일대의 식물. 사단법인 한국자연보존협회 전북지부, 전북의 자연연구 2: 27-32
17 김준선(1992) 2000년대 광주직할시 녹지기본계획, 무등산도립공원의 현존식생 및 관리개선방안. 광주직할시, 159-185쪽
18 선병윤, 김철환(1997) 장수군의 자연환경, 장안산(장수)과 인근 산지의 식물상. 환경부, 39-73쪽
19 선병윤, 김철환, 서정수(1995) 변산반도 국립공원 일대의 식물상. 한국자연보존협회 조사보고서 34: 1948
20 선병윤(1997) 제 2차 자연환경 전국기초조사 지침. 환경부
21 임병선(1993) 녹지자연도 지역정밀조사 -전라북도, 전라남도. 환경처. 143-184쪽
22 김정언, 임양재, 길봉섭(1988) 선운산 도립공원의 식물상. 원광대 기초과학연구지 7: 33-45
23 진회성, 김광래, 안봉원, 이용보(1979) 무등산 삼림군락의 식물사회학적 연구. 경희대학교논문집 9: 689-720
24 박수현(1970) 무등산 식물조사연구, 식물분류학회지 2: 23-39
25 김철수(1989) '89 자연생태계 전국조사 (II-2), -제4차년도(전남의 식생)-. 환경처, 273-276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