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날염

검색결과 90건 처리시간 0.038초

기능성 마이크로스피어의 개발 -$TiO_2$ 및 Poly(ethylene-co-vinylacetate)를 포함하는 $SO_2$ 마이크로스피어의 제조- (Preparation of Coantaning -$TiO_2$ and Poly(ethylene-co-vinylacetate) $SO_2$ Microsphere)

  • 허성현;박수민
    • 한국섬유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섬유공학회 2003년도 봄 학술발표회 논문집
    • /
    • pp.21-24
    • /
    • 2003
  • SiO$_2$ 입자는 촉매, 촉매의 담체, 크로마토그래피를 위한 충진제등 여러 산업에 응용되고 있다.$^{1)}$ 본 연구 에서는 기능성을 가지는 입자를 제조하기 위해 SiO$_2$로써 기본적인 입자를 제조하고, 그 속에 소취특성을 가지는 TiO$_2$와 날염을 위한 EVA-microsphere를 포함시켜서 소취제로서, 그리고 날염 분체로서의 기능을 가진 입자들을 제조하고자 하였다. 실리카(silica)는 일반적으로 규소산화물을 지칭하는 명칭으로서, SiO$_2$뿐 아니라 결정구조상 4-6개의 산소원자로 둘러싸인 모든 형태의 규소산화물을 지칭 하는 것이고$^{2)}$ 수용액상의 물유리는 실리카 졸의 값싼 상품으로 산업분야에 널리 알려져 있다. (중략)

  • PDF

이상법 날염에 의한 천연염료 날염방법 연구 (Studies on the Printing with Natural Dyes by Two phase printing method)

  • 전병익;황종호
    • 한국산업융합학회 논문집
    • /
    • 제6권3호
    • /
    • pp.247-252
    • /
    • 2003
  • This study is to research on two phase printing method by use of colorants extracted from sappan wood. As for the research, printing effect of printing paste, streaming time, optimal mordant concentration, change of surface color and colorfastness were measured. This experiment showed that modified starch were best on surface color among the modified starch, sodium-alginate, guar gum. And the surface color was best when the steaming time was 60 minutes, mordant concentration 8%(ow.f). And for colorfastness experiment, colorfastness to drycleaning was good, but colorfastness to light and colorfastness to washing showed no desirable result.

  • PDF

키토산이 전처리된 직물을 이용한 코치닐 날염 (Cochineal Printing Using Pretreated Fabrics with Chitosan)

  • 김경선;전동원
    • 한국의류학회지
    • /
    • 제33권10호
    • /
    • pp.1644-1654
    • /
    • 2009
  • The concentration of dye uptake and the fastness improved when cotton and silk fabrics were treated with chitosan, a natural polymer. In this study, the effect of chitosan treatment was reviewed after the printing of cotton and silk fabrics padded with chitosan. When the change of physical and mechanical properties of printed fabrics was reviewed (as the concentration of chitosan increased) the thickness and weight increased a little, and the air permeability increased significantly than those untreated with chitosan. The dye uptake increased, accompanying a darker color shade, and the wash fastness increased 1/2-1 grade. The analysis results of enlarged images of printed patterns indicated that the width and area deformations were minimal as the concentration of chitosan increased when compared to untreated fabrics. Therefore, the dyeability and pattern quality were excellent after printing the chitosan-treated cotton and silk fabrics with cochineal dyestuff.

프린팅 월드 - 스마트사회에 공헌하는 일본인쇄산업<10>

  • 김상호
    • 프린팅코리아
    • /
    • 제13권6호
    • /
    • pp.124-127
    • /
    • 2014
  • 최근 일본에서는 라벨, 날염등 특수소재에 인쇄하는 특수인쇄가 확대되고 있다. 소량 개인 맞춤형 인쇄가 증가함에 따라 소형 잉크젯 또는 디지털 인쇄기로도 대응이 가능하기 때문이다.

  • PDF

디지털 패션 시스템 기반 디지털 텍스타일 프린팅 섬유제품 수요 경향 (Consumer needs of Digital Textile Printing in Clothing based on Digital Fashion System)

  • 조하경;김은경
    • 한국염색가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염색가공학회 2012년도 제46차 학술발표회
    • /
    • pp.99-99
    • /
    • 2012
  • 소비자의 기호가 다양화되면서 다품종 소량생산에 따른 대량 맞춤화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으며, 1990년대 후반부터 급격히 확산되고 있는 인터넷의 발달 및 디지털 기기의 확산에 따라 인터넷을 기반으로 한 전자상거래 환경에서의 대량 맞춤화 프로세스는 최근 의류 분야에서 주요한 경향으로 받아들여지고 있다. 대량 맞춤화 의류 제품의 수요는 인터넷 등 IT 기술의 발달과 맞물려 최근 개인의 특성과 취향을 고려한 인터넷 맞춤서비스를 기반으로 증가추세에 있으며, CAD 등의 테크놀러지의 활용을 통하여 디자인, 패턴제작, 재단 등의 자동 시스템을 도입함으로써 그 영역을 확장하고 있다. 이에 발맞추어 국내에서는 '디지털 패션 시스템'을 통해 3차원 바디 스캔, 3차원 컴퓨터 그래픽스, 3차원 Simulation, DID, DTP, 맞춤주문형 제품의 대량 생산기술 등의 단위 기술이 기업단위로 활용되는 등 가상현실을 이용한 3차원 가상쇼핑 등을 포함하는 기술로서 차세대 섬유패션 산업의 창출에 기여하고 있다. 그 중, 디지털 텍스타일 프린팅은 디자인에서부터 날염까지 전체 공정을 컴퓨터로 처리하여 기존의 복잡한 날염 공정을 단축하여 다품종 소량생산이 가능한 날염 방식으로, 대량 맞춤형 프로세스를 지원하며, 프로슈머(prosumer)로서의 소비자가 직접 참여하여 그들의 욕구를 최대화 할 수 있는 소비자 만족을 극대화 시킬 수 있는 대량 맞춤화 프로세스 중 하나의 단계로 소비자의 수요 반영하는 요소로 작용하고 있다. 즉, 디지털 패션 시스템에서의 디지털 텍스타일 프린팅은 대량 맞춤형 의류 제품에 있어 소비자 만족도와 직결되는 요인으로 분석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디지털 패션 시스템 기반의 대량맞춤형 섬유제품 및 디지털 텍스타일 프린팅 적용 섬유제품에 대한 기초 평가 문항을 제시하고, 소비자 태도를 분석하여 제시하였다. 또한, 분석된 기초 소비자 태도를 반영하여, 디지털 패션 시스템 기반의 디지털 텍스타일 프린팅(Digital Textile Printing) 의류 제품의 선호도, 인지도, 수요도 및 구입의향을 분석하여 최종적으로 디지털 패션 시스템에 적용된 디지털 텍스타일 프린팅 의류 제품의 수요 경향을 제시하였다.

  • PDF

호료와 매염제가 황벽추출물로 날염한 면/견직물의 날염성질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Thickener and Mordants on the Printing Properties of Cotton and Silk Fabrics Printed with Phellodendron Amurense Extract)

  • 송유선;송화순
    • 한국의류산업학회지
    • /
    • 제15권5호
    • /
    • pp.825-833
    • /
    • 2013
  • In this study, the dyeing properties of Phellodendron amurense on cotton and silk fabrics were evaluated to establish a scientific database of dyeing methods using natural dyes with the ultimate aim of facilitating the practical use of these dyes. The optimal thickener and dyeing concentrations depending on the thickener type were identified when dyeing with P. amurense, and the fabric color, color fastness, and antibiosis were examined for various thickeners, fabrics, and mordants. The results were as follows.: The optimal concentrations of thickeners when dyeing on cotton and silk fabrics were CMC 3% (w/w), Mayprogum 7% (w/w), and Indalka 9% (w/w). The optimal concentration of P. amurense was 25% (w/w), irrespective of the type of thickener. To maintain the hue unique to P. amurense, thickening with Mayprogum or Indalka and mordanting with Al was effective for cotton, while thickening with Mayprogum or Indalka and mordanting with Al or thickening with CMC and mordanting with gallnut was effective for silk. The dry-cleaning fastness and abrasion resistance of cotton fabrics dyed with P. amurense were excellent at the 4-5 level. Gallnut was effective for washing fastness and perspiration fastness against color degradation, and FFC was effective for light fastness. The washing fastness, dry-cleaning fastness, abrasion resistance, and perspiration fastness of silk fabrics dyed with P. amurense were excellent at level 4, except for washing and perspiration fastness, and FFC was effective for the improvement of light fastness. Dyeing cotton and silk fabrics with P. amurense thus yielded antibiosis and excellent washing fastnes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