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난황콜레스테롤

검색결과 70건 처리시간 0.037초

된장분말을 첨가한 두유마요네즈의 항산화성 및 품질특성 (Antioxidant Activity and Quality Characteristics of Soy Milk Mayonnaise Containing Soybean Paste Powder)

  • 박혜덕;이상선
    • 산업식품공학
    • /
    • 제13권3호
    • /
    • pp.203-210
    • /
    • 2009
  • 본 연구는 마요네즈 제조 시 유화제로 사용되고 있는 난황이 콜레스테롤을 다량 함유하고 있는 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난황 대신 두유를 사용하였고, 된장의 항산화 효과로 인해 마요네즈의 저장성을 증진시켜줄 수 있을 것이라는 점에 착안하여, 유화제 종류와 된장분말 첨가가 마요네즈의 품질특성을 증진시킬 수 있는지 조사하고자 시행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총 페놀함량은 E1이 97.92 mg%, E2는 131.15 mg%, E3는 172.81 mg%로 증가되었고, S1은 56.87 mg%, S2는 111.39 mg%, S3는 152.75 mg%로 된장분말의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증가하였다(p<0.001). 2) 전자공여능은 E1이 20.49%에서 E2는 34.32%, E3는 50.95%로 증가되었고, S1은 9.59%, S2는 16.02%, S3는 38.77%로 된장분말의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증가하였다 (p<0.001). 총 페놀함량과 전자공여능 측정 결과 된장분말을 6% 함유한 E3, S3에서 높게 나타났다. 3) 색도 측정 결과 L값(명도)은 E군이 S군보다 높게 나타났다. a값(적색도)는 S군이 높았고, b값(황색도)는 E군이 높게 나타났다. 된장분말이 증가할수록 L값(명도)은 감소하였고, a값(적색도)과 b값(황색도)는 증가하였다(p<0.001). 4) 콜레스테롤 함량은 E군이 152.87-156.62 mg/100 g, S군은 2.87-8.29 mg/100 g으로 나타나 두유로 만든 마요네즈의 콜레스테롤 함량이 매우 낮았다(p<0.001). 5) 관능검사 결과는 된장분말의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색의 점수는 낮았고 신맛, 짠맛, 발림성은 증가하였다. E군은 S군보다 기름 냄새와 느끼한 맛이 강한 것으로 나타났다. 관능검사의 전반적인 결과로 볼 때 향, 전체적인 맛, 전체적인 기호도에서 된장분말 3%를 함유한 두유마요네즈 S2가 가장 적당한 마요네즈라고 사료된다. 연구 결과를 종합해 보면 난황 대신 두유를 사용하고 된장을 3% 첨가한 마요네즈에서 관능검사 시 높은 점수를 나타냈고, 콜레스테롤은 150 mg/100 g에서 10 mg/100 g로 낮출 수 있었다. 비록 두유보다 난황을 사용한 마요네즈가 더 높은 항산화성을 나타내었지만 저장성 실험을 한 결과 두유마요네즈가 더 높은 저장성을 보였다. 이와 같은 마요네즈가 개발된다면 계란의 난황 대신 두유를 사용하여 콜레스테롤 함유량을 낮출 수 있으며 계란 알레르기를 가지고 있는 환자들에게 도움을 줄 것이다. 그리고 된장 분말이 항산화작용을 하는 점을 이용하여 식품의 보존제로 첨가하여 식용유지의 산화를 방지하고 우리의 전통 발효식품인 된장을 서양요리에 접목 시킬 수 있어 우리나라 전통 발효식품인 된장을 세계화시키는데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타우린 첨가가 산란계의 난 생산성 및 난질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Taurine Supplementation on the Egg Production and Quality in Laying Hen)

  • 김정학;심관섭;박강희
    • 한국가금학회지
    • /
    • 제29권3호
    • /
    • pp.171-176
    • /
    • 2002
  • 타우린이 산란계의 생산성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기 위하여 두 번의 시험을 수행하였다. 시험 1에서는 19주령의 산란계를 사료에 타우린을 첨가하지 않은 대조구, 0.4%, 0.8% 그리고 1.2%를 첨가한 4가지 시험구에 균일하게 분포시켜 10주 동안 사양실험을 실시하였다. 0.8 % 타우린 첨가시 난중은 대조구에 비하여 평균 1.2g이 낮았다(P<0.Of). 산란율은 타우린의 첨가구가 대조구에 비하여 약 8%∼24%정도 낮게 나타났으며(P<0.05), 일당산란량은 타우린 첨가구가 대조구에 비하여 약 3%∼l4% 정도 낮게 나타났다(P<0.05). 사료섭취량은 타우린 첨가에 의하여 대조구보다 약 11%∼15% 정도 감소하였으나(P<0.05), 사료요구율은 차이가 없었다. 난질 그리고 난황의 중성지방과 콜레스테롤 농도는 처리구간 차이가 없었다. 시험 2에서는 81주령 산란계를 사료에 타우린을 첨가하지 않은 대조구, 1% 그리고 2% 첨가한 3가지 시험구에 균일하게 분포시켜 6주 동안 사양시험을 실시하였다. 난중, 산란율, 일당산란량, 사료섭취량, 사료요구량, 난질 및 난황의 콜레스테롤 함량은 처리구간 차이가 없었으나, 난황의 중성지방 함량은 타우린 첨가구가 대조구에 비하여 약 14%∼16% 높았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의 결과는 산란초기에 타우린의 급여는 산란계의 생산성을 저하시킨다는 것을 암시한다.

저콜레스테롤 난황 제조시 생성되는 부산물로부터 콜레스테롤의 분리 정제 (Separation and Purification of Cholesterol from By-product of Low Cholesterol Egg Yolk)

  • 유익종;조혜연;박우문;전기홍;최성유
    • 한국축산식품학회지
    • /
    • 제20권1호
    • /
    • pp.36-43
    • /
    • 2000
  • $\beta$-cyclodextrin adsorption and saponification methods were applied to isolate and purify cholesterol from the by-product of the low-cholesterol egg yolk product. They by-product was prepared from processing low-cholesterol egg yolk followed by extracting with chloroform to remove $\beta$-cyclodextrin and concentrated to 3,069 mg% cholesterol. When $\beta$-cyclodextrin method between two purification methods was applied, 50% ethanol as a solvent showed higher cholesterol concentration of 5.82% rather than the other solvents. Repeated purification of 3 times could not improve the cholesterol concentration significantly(p<0.05). In case of purification using saponification method, hexane as a solvent for extraction of unsaponificated materials was more efficient to increase cholesterol concentration than chloroform and ether. 60 times(v/w) saponification solution (95% ethanol:33% KOH = 94:6) of sample weight was most effective to increase the cholesterol concentration of 35.7%. Repeated purification process by saponification method could increase cholesterol concentration to 95.7% by 4 times repetition.

  • PDF

난황 경구투여가 랫드의 콜레스테롤 대사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Oral Administration of Egg Yolk on Cholesterol Metabolism in Rats)

  • 방한태;황보종;박상오;박병성
    •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
    • /
    • 제31권2호
    • /
    • pp.255-264
    • /
    • 2014
  • 본 연구는 계란 난황을 경구투여 한 랫드에서 혈액 지질감소에 관한 생화학적 대사기전을 규명하기 위하여 수행하였다. 36마리의 Sprague Dawley 숫컷 랫드를 4처리구 3반복으로 완전임의 배치하였다. 6주 동안 동일한 정제고형식이를 급여하면서 매일 한번 씩 난황을 경구투여 하였다. 대조군(C; 생리식염수 1.0 g), T1(삼겹살 기름 1.0 g), T2(난황 1.0 g), T3(삼겹살 기름 1.0g 과 난황 1.0 g을 각각 1주일씩 교체 투여군)으로 구분하였다. 일일평균 증체량은 T1이 가장 높았고 T3, T2, C 순서로 낮게 나타났다. 혈액 중성지방과 총콜레스테롤은 T1이 가장 높았고 C, T3, T2 순서로 낮게 나타났다. HDL-C는 T2가 가장 높았고 C, T3, T1 순서로 낮게 나타났으나 LDL-C는 T1이 가장 높았고 T3, C, T2 순서로 높게 나타났다. 간 기능을 나타내는 지표 AST, ALT는 T1에서 가장 높았고 T2가 가장 낮게 나타났다. 복강지방을 제외한 간, 비장, 신장의 무게는 각 처리구 사이에 차이는 없었다. 복강지방은 T1이 가장 높았으나 C, T2, T3사이의 차이는 없었다. HMG-CoA reductase activity는 T1이 가장 높았고 T3, C 순서로 낮게 나타났으며 T2는 가장 낮았다. 분을 통하여 배설되는 일일 총스테롤, 중성스테롤, 산성스테롤의 배설량은 T2가 가장 높았으나 T1은 가장 낮았다. 본 연구결과는 계란의 섭취가 동물의 간에서 콜레스테롤 합성효소의 활성을 억제함과 동시에 분을 통한 스테롤의 배설을 촉진시켜줌으로써 혈액 지질을 낮춘다는 사실을 확인하였다.

지렁이 분변토 발효 사료 첨가제가 계란 생산 및 악취 저감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Dietary Fermented Earthworm Cast Additives on Odor Reduction of Poultry House and Egg Production)

  • 황보종;박상오;박병성
    • 한국가금학회지
    • /
    • 제41권1호
    • /
    • pp.1-5
    • /
    • 2014
  • 본 연구는 산란계 사료 내 분변토 발효 사료 첨가제(Fermented earthworm cast additives, FEC)의 급여가 계란 생산, 난황 지방산, 혈액 지질, 맹장 미생물 및 분변의 악취 가스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2개의 처리구는 대조군과 FEC 3.5%를 함유하는 시험군으로 구분하였다. 계란 생산은 FEC가 대조군에 비해서 유의하게 높았다(p<0.05). 난황 지방산의 n-6/n-3의 비율은 FEC가 대조군에 비해서 유의하게 높았다(p<0.05). 혈액 HDL 콜레스테롤은 FEC가 대조군에 비해 유의하게 높았으나, 중성 지방 및 총 콜레스테롤의 경우 그 반대의 경향을 보였다(p<0.05). 맹장의 Lactobacillus는 FEC가 대조군과 비교할 때 유의하게 높았다(p<0.05). 축사 내 암모니아는 FEC가 대조군에 비해서 유의하게 낮았다(p<0.05). 결론적으로 본 결과는 산란계 사료 내 FEC 3.5%를 첨가 급여해 주면 계란 생산과 난황의 n-6/n-3 지방산 비율을 개선함과 동시에 분변의 악취 저감 효과를 갖는다는 점을 보여준다.

감귤부산물의 급여가 계란의 품질 및 지방산 조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Citrus Byproduct on Quality and Fatty Acid Composition of Chicken Eggs)

  • 문윤희;정인철
    • 생명과학회지
    • /
    • 제20권9호
    • /
    • pp.1358-1364
    • /
    • 2010
  • 본 연구는 감귤부산물을 급여한 계란의 품질 및 지방산조성에 미치는 영향을 검토하기 위하여 실시하였다. 계란은 감귤부산물을 급여하지 않은 것(T0)과 급여한 것(T1)으로 하였다. 난백과 난황의 일반성분, 콜레스테롤, 무기질, 색소 및 총아미노산은 T0 및 T1 사이에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난황의 열량은 T1이 T0보다 높았으며, 난백 및 난황의 유리아미노산 총량은 T1이 T0보다 유의하게 높았다(p<0.05). 난황의 포화지방산:불포화지방산의 비율은 T0 및 T1 사이에 차이가 없었으나 linolenic acid는 T1이 T0보다 유의하게 높았다(p<0.05). 이상의 결과에서 감귤부산물은 산란계의 사료에 첨가하여 급여할 수 있으며, 감귤부산물의 처리방법이 될 수 있다.

고온 스트레스하에서 한방 부산물의 첨가가 산란계의 계란품질 및 혈청 콜레스테롤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Korean Medical Herb Residue Supplementation on the Egg Quality and Serum Cholesterol of Laying Hens under Heat Stress)

  • 홍종욱;김인호;권오석;이상환;이제만;김용철;민병준;이원백
    • 한국가금학회지
    • /
    • 제28권3호
    • /
    • pp.259-266
    • /
    • 2001
  • 본 연구의 목적은 고온스트레스하에서 한방부산물의 첨가가 산란계의 생산성 및 난각특성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고자 실시하였다. 사양시험은 41주령 ISA brown 갈색계 144수를 공시하였으며, 처리구로는 옥수수-대두박 위주의 사료(Con; 기초사료), 기초사료에 한방부산물을 1.0% 첨가한 구(KMHR1.0; 기초사료+1.0% 한방부산물), 기초사료에 한방부산물을 2.0% 첨가한 구(KMHR2.0; 기초사료+2.0% 한방부산물)로 3개 처리로 구성되었다. 총 28일간의 사양시험기간 동안, 산란율에 있어 KMHR1.0 처리구가 다른 처리구와 비교하여 유의적으로 높게 평가되었다. (quadratic effect, p<0.01). 산란계 사료내 한방부산물을 첨가할 경우 난중 및 난각강도에는 영향을 미치지 못하는 것으로 평가되었다 (P>0.05). 난각두께는 둔단부, 예단부 그리고 중앙부에서 한방부산물 첨가구가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으나 처리구간에 통계적으로 유의적인 차이는 보이지 않았다 (P>0.05). 난황색은 대조구와 비교하여 한방부산물의 첨가 수준이 증가함에 따라 높아지는 경향을 보였으나 통계적으로 유의적인 차이는 보이지 않았다 (P>0.05). 또한, 난황계수에 있어서도 대조구와 처리구간에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P>0.05). 혈청내 총 콜레스테롤, 중성지질, HDL-콜레스테롤과 LDL+VLDL-콜레스테롤 함량에 있어서는 대조구와 비교하여 한방부산물의 첨가 수준이 증가함에 높아지는 경 향을 보였으나 유의적인 차이는 보이지 않았다(P>0.05). 결론적으로, 고온 스트레스에 노출된 산란계에 있어 1.0% 수준의 한방부산물 첨가는 산란율을 증가시키는 것으로 사료된다.

  • PDF

산란계 사료에 뽕잎 분말 첨가 급여가 산란율, 계란 품질 및 혈액 성상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Dietary Supplementation of Powdered Mulberry Leaves on Egg Production, Egg Quality and Blood Characteristics in Laying Hens)

  • 박창일;김영직
    • 한국가금학회지
    • /
    • 제39권3호
    • /
    • pp.215-222
    • /
    • 2012
  • 본 시험은 산란계에 뽕잎 분말의 급여량(0, 1, 2 및 5%)과 급여 기간에 따라 사육한 산란계의 계란 품질, 혈액 생화화적 분석 및 혈액학적 지표 분석를 조사하였다. 실험구는 뽕잎 분말을 첨가 급여하지 않은 처리구를 대조구, 뽕잎 분말 1% 급여구는 T1, 뽕잎 분말 2% 급여구는 T2 그리고 뽕잎 분말 5% 급여구를 T3 등 4개 처리구로 나누어 실시하였다. 산란계의 산란율과 계란의 난황, 난각 무게는 뽕잎 분말의 급여량과 급여 기간에 의한 유의적인 변화는 없었다. 그러나 난백 무게는 뽕잎 분말의 급여량과 급여 기간이 지남에 따라 감소하였다(P<0.05). 그리고 난백 높이, 난황 색, 난각 두께 및 난각 강도는 뽕잎 분말의 급여에 의한 차이는 없었다. 산란계의 혈액 콜레스테롤 성상 중 HDL-cholesterol은 뽕잎 급여량이 많고 급여기간이 길어질수록 증가하였고, 총콜레스테롤과 triglyceride는 낮아지는 결과였으며(P<0.05), 뽕잎분말을 5% 급여할 경우 유의한 변화를 보였다. 또한, 혈액 내 WBC 함량이 뽕잎 분말 급여구에서 높아지는 결과이었다. 결론적으로 뽕잎 분말 5%를 급여하면 총콜레스테롤과 triglyceride는 감소하고, HDL-cholesterol, glucose 및 WBC 함량이 증가되어 혈액 성상을 개선할 가능성이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산란계 사료 내 3종류의 Bacillus subtilis의 첨가가 산란후기 계란 품질과 장내 미생물 및 경골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Three Strains of Bacillus subtilis Supplemented to Diets on Egg Quality, Intestinal Microflora and Tibia in The Late Stage of Laying Hens)

  • 이완섭;이보근;김재영;김지숙;이소연;오성택;안병기;황용배;심승규;김동건;강창원
    • Journal of Animal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52권5호
    • /
    • pp.389-398
    • /
    • 2010
  • 본 연구는 3종류의 B. subtilis 균주를 이용하여 제조한 생균제를 산란계 사료에 급여시 난 생산성, 난질, 난황 내 콜레스테롤, 장 내미생물 조성 및 경골 내 성상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76주령의 Hy-Line Variety Brown 산란계 160수를 공시하여 모두 4개 처리구에 4반복(반복당 10수)로 임의배치 후 6주간의 사양실험을 실시하였다. 산란계용 사료는 옥수수 대두박을 기초로 하여 대사에너지 2,700 kcal/kg와 조단백질 15.5%인 일반 사료 급여구를 대조구로 하였으며, (Tl) 처리구에는 B. subtilis Ch3을 0.05%, (T2) 처리구에는 B. subtilis Ch3 + B. subtilis W1 혼합제제를 0.05%, (T3) 처리구에는 시판되고 있는 B. subtilis 제품을 0.05% 수준으로 대조구 사료에 각각 혼합하여 급여하였다. 실험기간 동안의 난 생산성, 수당 사료섭취량, 난중 및 일 산란량 모두 변화가 나타나지 않았다. 난각 강도와 Haugh unit에서는 대조구와 비교하여 처리구에서 개선되었으며 (P<0.05), 간 내 GOT 및 GPT 효소는 처리구 간에 변화가 관찰되지 않았다. 맹장 내 총 균수와 lactic acid bacteria의 균수가 대조구와 비교하여 처리구에서 유의하게 개선되었다(P<0.05). 하지만 Coliforms 균수는 처리 간에 변화가 나타나지 않았다. 난황과 혈액 내 콜레스테롤 농도는 대조구와 비교하여 처리구에서 감소하였다(P<0.05). 또한 혈액 내 인지질도 대조구에 비교하여 처리구에서 감소하는 경향이 나타났다(P<0.05). 경골 파쇄강도는 처리간에 차이가 없었으나, 경골 내 회분 함량은 대조구와 비교하여 모든 실험구에서 개선시키는 결과가 관찰되었다 (P<0.05). 따라서 본 실험은 산란후기 사료 내 각각의 B. subtilis 균주를 첨가 급여 하였을 때 난각 강도와 Haugh unit를 개선시키는 효과가 관찰되었고 장내의 총 균수와 유산균 수를 증가시킴으로써 유리한 장 내 환경으로 개선시켰으며 또한 난황과 혈액 내 콜레스테롤을 감소시키는 효과가 나타났다. 또한 각각 3종류의 B. subtilis 첨가 급여 효과로 경골 내 회분 함량을 증가시킨 결과로 보아 Ca과 P과 같은 무기질 영양소의 체내 대사 이용률이 개선될 가능성이 시사되었다. 이와 같은 측면에 접근하여 B. subtilis의 수준별 첨가로 인한 혈액 및 경골의 Ca과 P의 축적률 변화와 사료 내 하향 수준의 무기질 공급 등의 추후 연구조사가 이뤄져야 할 가치가 있다고 판단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