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난황색

검색결과 145건 처리시간 0.028초

고선량 감마선 조사가 신선란의 저장 중 이화학적 특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High Dose ${\gamma}-irradiation$ on the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Shell Eggs during Storage)

  • 문선애;송경빈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43권4호
    • /
    • pp.260-265
    • /
    • 2000
  • 고선량 감마선 조사에 의한 계란의 저장 중 품질 변화를 측정하기 위해 신선란을 $^{60}Co$를 이용하여 조사선량을 0, 1, 5, 10, 30 kGy로 하여 조사한 후 30일간 저장 실험을 수행하였다. 조사된 계란의 품질 변화는 난황계수, 난황 색깔, 난백 pH, 난백 점도, 계란 중량, 난백 단백질의 SDS-PAGE 패턴, circular dichroism(CD), fluorescence spectroscopy 등을 측정함으로써 살펴보았다. 저장기간 중 난황계수는 감마선 조사된 계란과 대조구 모두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는데 선량이 증가할수록 난황계수는 감소하였고 10 kGy와 30 kGy 등 고선량으로 조사된 계란에서 난황계수가 일시적으로 증가하는 현상을 보였다. 난황 색깔은 선량이 증가함에 따라 밝은 노란색을 나타냈으나 저장 기간 동안 큰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난백 점도는 선량이 증가할수록 감소하였고 저장 중 점도가 감소하는 현상을 보였으며 조사된 계란의 난백 pH가 대조구에 비해 높았고 저장 중 pH는 증가를 보였다. 저장 중 난중 감소율은 증가하였고 선량별 뚜렷한 차이는 보이지 않았다. 난백 단백질의 SDS-PAGE 패턴은 조사 선량이 증가할수록 단백질의 변화가 켰는데 10 kGy 이상 고선량 조사에서는 저분자화 뿐만 아니라 고분자화 패턴도 보였다. CD와 fluorescence spectroscopy 결과 또한 감마선조사에 의한 단백질의 2차, 3차구조 변화를 보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계란의 감마선조사에 있어 품질 유지를 위해서는 선량 범위에 있어 보다 신중을 기해야 한다는 것을 시사한다.

  • PDF

Correlation between Internal and External Egg Quality Indicators in the Early Phase of Hy-Line Brown Laying Hens

  • Jang, Eunhye
    • 한국가금학회지
    • /
    • 제49권2호
    • /
    • pp.53-60
    • /
    • 2022
  • 계란의 내부 및 외부의 품질을 나타내는 요소들 사이의 상관 관계를 분석하여, 할란 검사를 통하지 않고도 계란 품질을 예측하는데 적합한 지표가 있는지 알아보기 위한 실험을 수행하였다. 케이지 계사에서 사육 중인 27주령의 하이라인 브라운 산란계 동일 계군이 같은 날에 산란한 180개의 계란을 수집하였다. 분석 항목으로는 호우유닛, 농후난백높이, 파각 강도, 난각 두께, 난각 색(CIE L*, CIE a*, CIE b*, 반사율), 계란의 중량, 계란의 장경, 계란의 폭, 난형 지수 및 난황색 등 총 13가지의 지표를 조사하였다. 피어슨 상관 계수(r)를 이용하여, 각 품질 지표 사이의 선형 관계성을 평가하였다. 호우유닛과 농후난백높이, 난각색 CIE L*값과 반사율, 그리고 계란 중량과 계란의 폭 사이에서 매우 강한 정의 상관 관계가 분석되었다(r=0.975, r=0.973, r=0.814, P<0.001). 계란의 중량과 계란의 장경, 난각색 CIE L*값과 난각색 CIE a*값, 난각색 CIE a*값와 반사율, 그리고 난형 지수와 계란의 장경 사이에는 높은 상관 관계가 나타났다(r=0.703, r=-0.726, r=-0.681, r=-0.681, P<0.001). 난각의 파각 강도와 난각의 두께, 난각색 CIE a*값과 난각색 CIE b*, 난형 지수와 계란의 폭 사이에는 중간 정도의 상관 관계가 나타났다(r = 0.417, r = 0.590, r = 0.405, P<0.001). 난각색 CIE a*값은 호우유닛, 농후난백높이와 약한 정의 상관 관계가 있었으며(r=0.217, r=0.202, P<0.01), 난각색 CIE L*값과 파각 강도 사이에는 약한 부의 상관 관계가 나타났다(r=-0.236, P<0.01). 난각색 CIE b*값은 난각 두께와 약한 부의 상관 관계를 보였고, 난각색 반사율은 파각 강도 및 난각 두께와 약한 부의 상관 관계에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r=-0.225, r=-0.249, r=-0.222, P<0.01). 그 외 나머지 품질 지표들 간의 상관성은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거나 관계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갈색란의 난각색은 반사율만으로 표현하는 것 보다, CIE L*값, CIE a*값과 CIE b*값을 함께 적용했을 때 갈색의 정도를 더 구체적으로 표현한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를 바탕으로 갈색란의 난각색 CIE L*a*b*값은 계란의 품질 지표인 호우유닛, 농후난백높이, 난각의 파각 강도와 두께를 간접적으로 예측하는데 사용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되었다.

양질의 계란 생산전략 II. 계란내용물의 질, 콜레스테롤 함량, 난황색, 난중조절, 유기란 (A Strategy for Quality Poultry Egg Production II. Egg Interior Quality; Cholesterol Content, Egg Yolk Pigmentation, Controlling Egg weight and Organic Eggs)

  • 남기홍
    • 한국가금학회지
    • /
    • 제27권2호
    • /
    • pp.133-153
    • /
    • 2000
  • The egg's interior quality is one of the most important criteria for commercial producers and consumers. Internal quality is complex, including aesthetic factors such as taste, freshness, nutritional and processing values, and the genetic influences upon these upon these factors ranges from none to considerable. The rate of cholesterol synthesis in the hen is very high compared to other animals and humans. Genetic selection, diet drugs and other chemicals can alter cholesterol concentration in the plasma of laying hen, but attempts to manipulate the cholesterol concentration in the egg yolk are generally unsuccessful since the cholesterol can only be changed to a small extent. Factors which may affect the degree of pigmentation of the yolk include the type of xanthophyll and its concentration in the feed, the feed composition, and the health of the hen. Several feed ingredients interact with carotenoid pigment to improve or reduce their deposition rates in yolks. Egg weight is determined by genetics, body size prior to first egg housing density, environmental temperature, lighting program, total feed consumption, calcium, phosphorus, niacin, water, methionine, total sulfur amino acids, energy, linoleic acid, fat and protein levels. Eggs need to be promote levels. Eggs need to be promoted a versatile commodity and new processed egg items need to be developed. Organic eggs are laid by hens which were raised in chemical and drug frdd environments. There are still difficulties in producing these eggs due to the availability of organic poultry feeds and cost of organic grains.

  • PDF

Canthaxanthin을 이용한 산란계의 피부, 근육 및 난황의 착색 효과 (Effect of Canthaxanthin Supplementation on Skin, Muscle and Egg Yolk Pigmentation of Laying Hens)

  • 나재천;이상진;하정기;김재황;곽웅권;송재연;이봉덕;안길환
    • 한국가금학회지
    • /
    • 제31권2호
    • /
    • pp.79-84
    • /
    • 2004
  • 적색 carotenoid인 canthaxanthin의 급여가 산란계육과 난황의 착색도 변화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고자 63주령 갈색 산란계(ISA Brown) 225수를 가지고 5주 동안 사양실험을 실시하였다. Canthaxanthin을 5수준으로 사료에 첨가하여 5처리(0, 50, 100, 200, 300mg/kg)로 하였으며, 처리당 3반복, 반복당 15수를 사용하였다. 산란계에서 날개피부 및 다리피부의 적색도는 200mg/kg 이상을 급여하였을 때, 그리고 황색도의 경우 날개피부는 50mg/kg 이상, 다리피부는 200mg/kg 이상을 급여하였을 때 유의적으로 높았다(P<0.05). 그러나 명도는 날개, 가슴 및 다리피부에서 차이가 없었다. 한편, 날개육과 가슴육의 명도는 300mg/kg 이상을 사료에 첨가(canthaxanthin)시 무첨가구와 유의적인 차이를 보였으나(P<0.05), 적색도와 황색도는 첨가구간에 차이가 없었다. 난황색(Roche color fan score)은 canthaxanthin 급여 1일에는 차이가 없었으나, 첨가수준에 관계없이 2일째부터 첨가구가 무첨가구보다 유의적으로 높았다(P<0.05).

경골어류 등목어과 Three spot gourami의 난자형성과정 (The Oogenesis of Three Spot Gourami, Belontiidae, Teleostei)

  • 장병수;정한석;주경복;김동희
    • Applied Microscopy
    • /
    • 제41권3호
    • /
    • pp.155-161
    • /
    • 2011
  • 경골어류 등목어과(Belontiidae)에 속하는 three spot gourami (Trichogaster trichopterus Pallas, 1770)의 난자형성과정을 광학 현미경으로 관찰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난소는 한 쌍으로 흐린 살색의 아가미 쪽은 뾰족하고 생식공 쪽은 둥근 장타원형(장축 2 cm, 단축 1 cm)이었으며 부레와 창자 사이에 위치하고 있었다. 난원세포의 세포질은 호염기성이었고 핵 내에 다수의 인들이 분포하고 있었다. 난원세포의 세포질은 hematoxylin으로 매우 강하게 파란색으로 염색되었고 핵막을 따라서 여러 개의 인들이 분포하고 있었다. 발달함에 따라서 난원 세포의 세포질은 핵 쪽에서 세포막 쪽부터 hematoxylin의 염색 성이 낮아졌고, 제1난모세포는 난세포 세포질의 가장자리인 세포막 쪽에서 국한적으로 유구들이 형성되기 시작하였다. 제1난 모세포가 발달함에 따라서 유구들이 세포의 바깥 가장자리에서 증식되어 증가하기 시작하였고 작은 유구들이 핵막 근처에 집중 되어 형성되기 시작하였다. 제2난모세포는 발생이 진행됨에 따 라서 난막은 두꺼워져 뚜렷하게 관찰되기 시작하였고, 특히 유구 가 세포질 전체로 퍼져나갔다. 세포막 쪽의 유구 사이에 난황포 가 형성되기 시작했으며 난황포는 호산성으로 에오신에 의해서 적색으로 염색되어 관찰되었다. 성숙한 난자는 난자의 크기가 상당히 증가하였으며 난막이 뚜렷하고 핵은 염기성을 띠었다. 또한 난황포는 더욱 발달하여 적색으로 염색된 구형의 난황괴를 이루 고 있었다. 수정란을 광학현미경으로 관찰한 결과 중앙하단에 한 개의 큰 유구가 발견되었다. 이상과 같이 three spot gourami의 난자형성과정은 난세포의 크기 증가, 유구와 난황의 축적, 염기성 물질의 감소 및 큰 유구의 형성으로 요약될 수 있다.

산란계 사료에 Glutinicus 첨가가 산란 생산성, 난각 및 난황 색도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the Glutinicus Supplementation on Performance, Eggshell and Egg Yolk Color of Layers)

  • 정병윤;임희석;백인기
    • Journal of Animal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46권6호
    • /
    • pp.975-980
    • /
    • 2004
  • 본 연구는 사료 내 Rhodotorula glutinis(Gluti- nicus) 효모의 첨가가 계란의 생산성, 난각 및 난황 색도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고자 72주령의 갈색 산란계 ISA Brown 360수를 공시하여 control, $\beta$-carotene 25ppm, 0.5%, 1%, 2% 그리고 4% Glutinicus로 처리하여 시험하였다. 각각의 처리구는 3반복, 반복당 20수씩, 한 케이지당 2수씩 배치하여 6주간 사양시험을 실시하였다. Glutinicus 첨가구 중 0.5% 수준(p<0.05)에서 사료요구율(FCR)과 계란 생산성 개선이 유의하게 나타났으며 연파란 발생율은 Glutinicus 첨가량 수준이 증가함에 따라서 감소하였다. 난각 강도는 Glutinicus 4% 첨가 시에 가장 높았으며, 난황 색도는 Glutinicus가 증가함에 따라서 2% 첨가까지 점차적으로 증가하였지만 Glutinicus 4% 첨가구와 2% 첨가구와는 유의적으로 차이가 없었다. 결론적으로 Glutinicus 0.5% 첨가가 계란 생산성을 증진시킬 수 있고, 난황 착색을 위해서는 Glutinicus 2% 첨가가 효과적이었다.

액란과 생란의 난황으로 제조한 블루베리 쿠키의 품질특성과 항산화능 비교 (Comparison of Quality Characteristics and Antioxidative Activities of Cookies Containing Blueberry Powder and Different Types of Egg Yolk)

  • 김경옥;유아남;윤이나;박현진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3권7호
    • /
    • pp.999-1008
    • /
    • 2014
  • 본 연구에서는 블루베리 분말을 첨가한 쿠키를 생란 또는 액란 형태의 난황으로 제조한 후 쿠키의 이화학적 및 관능적 품질특성, 항산화능을 측정하여 기능성 쿠키로서의 가능성을 타진하고자 하였다. 블루베리 분말이 첨가되지 않은 쿠키의 경우 생란 제조 쿠키에 비하여 액란 제조 쿠키에서 더 높은 수분 함량을 보였다. 또한 색도 측정 결과 액란 제조 쿠키에서 적색도가 높은 반면 명도, 황색도에서는 생란 제조 쿠키에서 높은 값을 나타내었다. 항산화 물질인 총 폴리페놀, 안토시아닌, 플라보노이드의 함량 측정 결과 난황의 종류와는 상관없이 블루베리 분말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항산화 물질 함량이 증가하였다. 또한 ABTS 라디칼 소거능과 DPPH 라디칼 소거능을 통한 항산화능 측정 결과에서도 난황의 종류에 상관없이 블루베리 분말 첨가량이 높을수록 항산화능이 높게 나타났다. 15% 블루베리 분말 첨가 쿠키를 비교하였을 때 총 폴리페놀과 플라보노이드의 함량은 생란 제조 쿠키에서 높게 나타났으나 총 안토시아닌 함량에서는 액란 제조 쿠키에서 높게 나타났다. ABTS 라디칼 소거능에 따른 항산화능 측정 결과 10% 블루베리 분말 첨가 쿠키에서는 생란 제조 쿠키에서 높은 값을 보였으나, 15% 블루베리 분말 첨가 쿠키에서는 액란 제조 쿠키에서 높은 항산화능을 보였다. 쿠키의 관능적 품질특성 비교에서는 난황의 종류에 따른 유의적인 차이는 측정되지 않았다. 생란 제조 쿠키의 경우 15% 블루베리 분말 첨가 쿠키에서 향미는 높은 점수를 나타났으나, 전반적인 기호도에서는 통계적으로 유의적인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반면 액란 제조 쿠키의 경우 향미, 맛, 질감에 있어 15% 블루베리 분말 첨가 쿠키에서 기호도가 높게 나타났다. 따라서 액란 제조 쿠키에서는 전반적 기호도가 15% 블루베리 분말 첨가 쿠키에서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화학적 결과와 관능적 품질특성 결과를 보아 제품화 단계로 진행될 시 생란과 액란에 따른 제조에 있어서는 큰 차이를 나타나지 않는 것으로 사료된다. 블루베리 분말 첨가에 있어서는 항산화능과 관능적 품질특성에서 높은 값을 보인 15% 블루베리 분말 첨가 쿠키가 제품화에 가장 적합한 것으로 사료된다.

Conjugated Linoleic Acid (CLA) 전구체 및 정제 부산물의 첨가가 산란계의 산란율, 계란 품질 및 면역 관련 혈액학적 지표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Conjugated Linoleic Acid (CLA) Precursor and Produce Supplementation on Egg Production, Egg Quality and Blood Immunological Parameters in Laying Hens)

  • 유종상;신승오;조진호;진영걸;김효진;황염;김영준;황광연;김정우;김인호
    • 한국가금학회지
    • /
    • 제34권3호
    • /
    • pp.173-180
    • /
    • 2007
  • 본 연구는 CLA 전구체 및 정제 부산물의 급여가 산란계의 산란율, 계란 품질 및 면역 관련 혈액학적 지표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알아보기 위하여 시험을 실시하였다. 사양 시험은 32주령 ISA Brown 252수를 공시하였으며, 5주간 사양 시험을 실시하였다. 실험 설계는 1) CON(basal diet + oat 1% + soybean oil 1%), 2) WOS(basal diet + whey 0.5% + oat 0.5% + soybean oil 1%), 3) WS(basal diet+ whey 1% + soybean oil 1%), 4) WOCLA(basal diet + whey 0.5% + oat 0.5% + CLA produce 1%), 5) WCLA(basal diet + whey 1% + CLA produce 1%) 및 6) FOCLA(basal diet + Fish oil 0.5% + oat 1% + CLA produce 0.5%)로 6개 처리를 하여 처리당 7반복, 반복당 6수씩 완전 임의 배치하였다. 난각 두께는 시험 4주에서 WOS 및 FOCLA 처리구가 WOCLA 및 WCLA 처리구와 비교하여 유의적으로 높게 나타났으며(P<0.05), 난중은 시험 4주에서 WOS 및 FOCLA 처리구가 WS 및 WCLA 처리구와 비교하여 유의적으로 높게 나타났다(P<0.05). 난황고, 난황색 및 호우 유닛에 있어서 FOCLA 첨가구는 대조구와 비교하여 높게 나타났으며, 종료 시 IgG에 있어서 WOS 및 FOCLA 처리구가 대조구, WS 및 WOCLA 처리구와 비교하여 유의적으로 높게 나타났다(P<0.05). 결론적으로 어유, 정제 부산물 및 귀리의 첨가는 난각 두께, 난황고, 난황색 및 호우 유닛을 개선시키는 효과를 보여주었으며, CLA 전구체의 첨가 급여는 혈액 내 IgG의 함량을 대조구와 비교하여 증가시켰다.

유기산제와 효모배양물의 급여가 산란계의 생산성 및 계란품질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Feeding Organic Acid Mixture and Yeast Culture on Performance and Egg Quality of Laying Hens)

  • 류경선;박재홍;박강희
    • 한국가금학회지
    • /
    • 제29권2호
    • /
    • pp.109-116
    • /
    • 2002
  • 유기산제와 효모 배양물의 급여가 산란계의 생산성 및 계란 품질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고자 19주령 이사브라운 갈색계를 이용하여 16주간 사양실험을 시행하였다. 처리구는 무침가구인 대조구, 유기산제와 효모 배양물을 각각 0.1, 0.2% 수준으로 하였고 처리구당 5반복으로 반복당 18수씩 총 450수를 체중이 비슷하게 하여 완전 임의배치하였다. 산란율과 난중, 사료섭취 량은 4주 단위로 측정하였으며, 계란의 난각 강도. 난각 두게, Haugh unit, 난황색을 처리구별로 측정하였다. 난황의 지방산 조성은 실험 개시 후 8주 간격으로 측정하였다. 본 실험의 결과, 효모 배양물 0.1%급여시 31∼34주령의 산란율은 97.1%로 대조구에 비하여 증가하였다(P<0.05). 23∼26주령에서 1일 산란량은 유기산제 0.2% 급여구가 증가하였고(P<0.05), 31∼34주령에서는 효모 배양물 0.1% 급여구가 대조구에 비하여 현저하게 증가하였다(P<0.05). 사료섭취량은 유기산제와 효모 배양물이 대조구와는 타이가 없었지만 27∼30주령에서 효모 배양물 0.1% 급여구는 유기산제 0.1% 급여구 보다 증가하였다(P<0.05). 난각 강도는 34주령에서 유기산제 0.1% 급여구가 효모배양물 0.1% 급여구에 비해서 증가하였으나(P<0.05), 대조구와 차이는 없었다. 34주령에 측정한 Haugh unit은 유기산제 급여구가 대조구보단 현저하게 높았으며(P<0.05), 난황색은 처리구간에 유의적인 차이는 없었다. 유기산제 0.1%급여구는 난황내 C20:4의 함량을 대조구에 비하여 증가시켰고(27주령)(P<0.05), 유기산제 0.1%, 0.2%급여구는 Cl6:0의 함량을 현저하게 감소시켰다 (34주령)(P<0.05).

산란계 사료에 천연 및 합성착색제 첨가가 산란성적, 난질 및 난황의 지방산 농도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Natural or Synthetic Pigment Supplementation on Egg Production, Egg Quality and Fatty Acid Contents in the Egg Yolk of Laying Hen)

  • 김창혁;이성기;이규호
    • 한국가금학회지
    • /
    • 제29권4호
    • /
    • pp.271-278
    • /
    • 2002
  • 본 시험은 시판 착색제의 형태 및 혼합 수준에 따른 산란성적, 난황 착색도 및 난황 지방산 농도에 미치는 영향을 검토하기 위하여 시험 1과 2로 나누어 실시하였다. 실험사료는 에너지와 단백질 수준이 동일하게 배합하였으며, 시험 1의 옥수수 0%사료는 xanthophylls 이 함유되지 않았으며, 시험2의 옥수수 54% 사료는 xanthophylls 수준이 19.34 ppm이었다. 시험 1에서 갈색산란계 480수는 각 처리당 60수씩 8처리로 구분하여 4주간 옥수수가 함유되지 않은 사료에 여러 수준의 천연 및 합성 착색제를 첨가하여 시험에 이용하였다. 시험 2에서는 갈색 산란계 600수를 각 처리당 60수씩 10처리로 구분하여 옥수수가 54%함유된 사료에 천연 및 합성 착색제를 혼합 첨가하여 4주간 시험하였다. 시험 1과 시험 2에서 사료섭취량, 산란율, 난중 및 사료효율은 착색제의 첨가에 따른 영향이 없었으며, 난질에 있어서도 난백고와 haugh unit은 착색제 첨가와 전혀 관련이 없는것으로 나타났다. 시험 1에서 난황 착색도가 Roche color fan 12∼13에 근접하기 위한 천연 적색착색제 첨가 수준은 25∼30 ppm이었고, 합성 red 착색제는 15∼20 ppm이었으며, 본 시험의 조건에서는 천연착색제보다 합성착색제의 착색효과가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시험 2에서 착색제 혼합에 따른 착색 효과는 천연 적색착색제를 첨가한 TM2구와 동일한 양의 합성 적색착색제를 첨가한 TM6구를 비교하였을 때, 천연 적색착색제보다 합성 적색착색제의 착색효과가 우수하였으나, 첨가 수준이 높은 TM3와 TM8를 비교하였을 때에는 천연 착색제의 착색효과가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난황내 지방산 함량은 착색제 첨가로 인한 영향이 전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