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난포 자극호르몬

검색결과 67건 처리시간 0.026초

조기 난소 부전증(Premature Ovarian Failure, POF) 환자에서 난포 자극 호르몬 수용체 유전자 변이 및 발현 양상에 대한 분석 (Analysis of Gene Mutation and Expression Level of Follicle Stimulating Hormone Receptor in Premature Ovarian Failure(POE) Patients)

  • 김정욱;염혜원;이형송;송견지;천강우;박용석;김계현
    • 한국발생생물학회지:발생과생식
    • /
    • 제4권1호
    • /
    • pp.61-66
    • /
    • 2000
  • 본 연구에서는 조기 난소 부전증 환자를 대상으로 난포 자극 호르몬 수용체 유전자의 돌연변이와 발현 양상을 분석하였다. 돌연변이 분석을 위해 환자의 말초혈액에서 genomic DNA를 분리하고 nucleotide 566을 포함하고 있는 exon 7에 특이적인 primer쌍을 이용하여 중합효소 연쇄 반응을 시행하였다. 전기 영동으로 반응산물을 확인한 다음, 돌연변이 여부를 조사하기 위하여 제한효소 절단분석 (Restriction Fragment Length Polymorphism, RFLP)을 시행한 결과, 대조군과 조기 난소 부전증 환자군 모두에서 돌연변이를 관찰할 수 없었다. 난포 자극 호르몬 수용체의 발현양상을 확인하기 위해 시험관아기 시술과정 중 난자 채취과정에서 얻어진 황체화 과립세포에서 total RNA를 추출하여 역전사 중합효소 연쇄 반응을 시행하였다. 반응 산물을 전기 영동하여 발현양상을 비교해 본 결과, 대조군에 비해 조기 난소 부전증 환자군에서 난포 자극 호르몬 수용체 유전자의 발현이 다소 낮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상의 결과로 보아 조기 난소 부전증 환자에서 난포 자극 호르몬 수용체 유전자의 돌연변이는 발견할 수 없었으며 난포 자극 호르몬 수용체 유전자의 발현이 대조군에 비해 낮아 과배란 유도시에 생식소 자극 호르몬에 대해 저적응증을 보이며 난포형성과정에도 장애를 받는 것으로 사료된다.

  • PDF

FSH 활성 특정부위 분석을 위한 eCG 돌연변이체의 기능 분석

  • 박종주;정윤희;김민수;이유연;;윤종택;민관식
    • 한국동물번식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동물번식학회 2004년도 춘계학술발표대회
    • /
    • pp.208-208
    • /
    • 2004
  • 임신초기 말의 태반으로부터 분비되는 융모성 성선자극 호르몬(eCG)은 황체형성(LH), 난포자극(FSH) 및 갑상선자극(TSH)호르몬과 같이 알파 및 베타 단체의 비공유결합으로 구성되어져 있는 당단백질 호르몬이다. 말의 융모성 성선자극 호르몬은 모체의 자궁내막에 침입한 태아 유래의 융모조직(자궁내막배)에서 합성ㆍ분비되어진다. 알파단체의 아미노산 배열은 동물종내에서 동일하지만, 베타단체는 호르몬에 따라 작용의 특이성을 가지고 있다고 알려져 있다. (중략)

  • PDF

백서 난소에서 성선자극호르몬에 의한 RGS-2의 발현 조절 (Gonadotropin Regulation of Regulator of G Protein Signaling 2 (RGS-2) Expression in the Rat Ovary)

  • 이여일;이은숙;김선애;김미영;조문경;전상영
    • Clinical and Experimental Reproductive Medicine
    • /
    • 제35권2호
    • /
    • pp.111-118
    • /
    • 2008
  • 연구방법: 미성숙 백서 난소의 과배란 유도를 위해 PMSG를 주사하고, 배란을 위해서 hCG를 주입하였다. RGS-2의 유전자 발현양상을 조사하기 위하여는 Northern blot 분석과 in situ hybridization 분석을 시행하였다. 결 과: 미성숙 백서에 성선자극호르몬인 PMSG를 복강내 주사했을 때 RGS-2 mRNA 발현에 영향을 미치지 않음을 Northern blot analysis로 확인할 수 있었으나, hCG를 주입했을 때는 1시간에서 3시간 내에 발현이 증가됨을 알 수 있었다. In situ hybridization으로 살펴본 RGS-2 mRNA의 발현세포는 난포의 크기에 관계없이 난자였으나, hCG로 처리한 후에는 배란 전 난포와 성장중인 난포의 과립막 세포이었다. 그러나, RGS-2 단백의 발현은 hCG 처치와 관계없이 난포막 세포이었다. 상기 생체 실험과 마찬가지로 시험관에서도 배란 전 난포의 과립막 세포에 대한 LH 처리는 RGS-2 유전자 발현을 1시간 내에 촉진하였다. 또한, 성선자극호르몬 분비호르몬 2 길항제도 이러한 LH의 촉진작용을 증진시켰다. 결 론: 본 연구로 배란 전 과립막 세포에서 성선자극호르몬인 LH/hCG와 성선자극호르몬 분비호르몬 길항제에 의해 RGS-2의 발현이 증진되는 양상으로 보아 RGS-2가 배란과정 동안에 Gq protein 신호전달을 조절할 것으로 추정된다.

난포자극호르몬과 Pituitary Adenylate Cyclase-activating Polypeptide에 의한 난소의 난포성장 (Control Mechanisms of Ovarian Follicle Development by Follicle Stimulating Hormone and Pituitary Adenylate Cyclase-activating Polypeptide)

  • 이여일;신진옥;김미영;전상영
    • Clinical and Experimental Reproductive Medicine
    • /
    • 제33권1호
    • /
    • pp.15-23
    • /
    • 2006
  • 목 적: 본 연구는 흰쥐 난소를 실험모델로 하여 미성숙 전동 난포의 성장에 대한 pituitary adenylate cyclase-activating polypeptide (PACAP)의 영향을 얄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미성숙 전동 난포를 생후 21일된 흰쥐로부터 분리하여 PACAP을 첨가하거나 첨가하지 않은 무혈청 배양액에서 3일 동안 배양하고, 푸로게스테론 호르몬의 생성, 난포의 성장, 과립막세포의 증식 및 유전자의 동태 등을 관찰하였다. 증식의 정도는 thymidine incorporation 방법으로 검색하고 유전자의 변동은 Northern 분석을 이용하였다. 결 과: PACAP으로 처리한 군은 난포의 직경이 75% 증가한 반면 난포자극호르몬인 FSH로 처리한 군은 65% 증가하였고, PACAP 처리는 과립막 세포의 증식을 강화시켰다. FSH와 PACAP 공히 배양된 흰쥐 난포의 과립막 세포와 FSH에 반응하는 세포주인 GFSHR-17에서의 프로게스테론 생성을 촉진시켰고, PACAP이 FSH의 작용을 증진시켜 SF-1과 아로마타제 유전자 발현을 촉진시켰다. 결 론: 본 연구는 PACAP이 과립막증식과 스테로이드합성을 통하여 전동 난포의 성장을 촉진함을 시사하였고, 또한, SF-1, 아로마타제 등에 대한 FSH의 작용을 도와주는 역할을 PACAP이 담당하므로 PACAP은 초기 난포성장에 필요한 난소국소인자임을 유추할 수 있었다.

난포자극호르몬의 방사면역측정을 위한 방사성 요오드 표지 (Preparation of Radioiodine Labelled Human Follicle Stimulating Hormone for Radioimmunoassay Use)

  • 김재록;김태호;김유선
    • 대한핵의학회지
    • /
    • 제9권2호
    • /
    • pp.47-54
    • /
    • 1975
  • 난포자극호르몬(HFSH)을 클로라민 티를 사용하여 방사성요오드로 표지하였으며 평균 표지수율은 대략 65%이었다. 표지호르몬을 방사면역측정용으로 사용하기 위하여 전분젤 전기영동과 젤여과법으로 분리정제하고 그 분리정제효과를 분석한 결과 젤 여과법이 분리시간, 간편성, 항체와의 결합력 등으로 보아 우수함을 알 수 있었다. 한편 유리표지호르몬과 항체와 결합한 표지호르몬의 비율를 결정하기 위하여 이중항체법을 크로마토전기영동법과 비교하여 본 결과 이중항체법에 의해서만 효과적 비율결정이 가능하였다.

  • PDF

미성숙 생쥐에서 난포성숙호르몬 처리에 의한 난포의 퇴화 (Follicular Degeneration After Treatment of Follicle Stimulating Hormone in Prepubertal Mouse Ovary)

  • 이창주;고경수;김지향;김진규;윤용달
    • 한국발생생물학회지:발생과생식
    • /
    • 제4권1호
    • /
    • pp.13-17
    • /
    • 2000
  • FSH는 미성숙 설치류의 난포성장을 촉진하며, 강소형성 난포의 퇴화비율을 감소시킨다. 본 연구는 미성숙 생쥐에 난포성숙호르몬을 투여한 후 유발되는 난포의 조직학적인 변화를 규명하기 위해 시행되었다. 3주령의 ICR생쥐에 10 i.u.의 재조합 난포자극호르몬을 복강주사한 후 1일, 2일, 3일에 좌측 난소의 조직학적 변화를 관찰하였다. 강소형성전 난포의경우 FSH처리 후 시간에 따라 퇴화난포의 비율이 증가하였으나 강소형성 난포의 경우에는 유의한 변화를 보이지 않았다. 퇴화되는 양상은 난포 내 세포자연사하는 과립세포의 증가, 대식세포 및 다형다핵백혈구의 증가 등이 관찰되었다. 이상의 결과로 보아, 과량의 FSH처리 후에 유발되는 난포의 퇴화는 과립세포의 세포자연사뿐 아니라 급성 염증반응을 수반하는 것으로 생각된다.

  • PDF

과배란유도하 자궁강내 인공수정시술을 받는 환자에서 연성자극요법과 성선자극호르몬 길항제 다회투여법의 효과 비교 (Effectiveness of Soft Stimulation Protocol, Compared with Conventional GnRH Antagonist Multiple dose Protocol in Patients Undergoing Controlled Ovarian Stimulation with Intrauterine Insemination)

  • 김정훈;강혁재;김소라;전균호;이향아;김성훈;채희동;강병문
    • Clinical and Experimental Reproductive Medicine
    • /
    • 제37권2호
    • /
    • pp.135-142
    • /
    • 2010
  • 목 적: 과배란유도하 자궁강내 인공수정시술을 받는 불임 환자들을 대상으로 연성자극요법의 효과를 성선자극호르몬분비호르몬 길항제 다회투여법과 비교, 평가하고자 본 연구가 시행되었다. 연구방법: 불임 환자 80명을 연성자극요법군 (n=40)과 성선자극호르몬분비호르몬 길항제 다회투여법군 (n=40)으로 무작위로 1:1로 배정하였다. 두 군 모두에서 질식초음파상 평균 직경이 18 mm에 도달한 난포가 1개, 또는 17 mm에 도달한 난포가 2개 이상 관찰될 때, 재조합 사람융모성성선자극호르몬 250 ${\mu}g$을 1회 투여했으며, 이 후 36~40시간째에 자궁강내 인공수정이 시행되었다. 결 과: 과배란유도를 위해 사용된 재조합 사람난포자극호르몬의 총용량과 투여일수는 연성자극요법군에서 유의하게 적었다 (p<0.001, p<0.001). 두 군 모두에서 조기 황체화호르몬 급상승은 관찰되지 않았다. 시술 주기당 임상적 임신율, 자연유산율, 다태임신율, 중증 난소과자극증후군의 발생빈도는 두 군간에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결 론: 연성자극요법은 성선자극호르몬분비호르몬 길항제 다회투여법에 비하여 재조합 사람난포자극호르몬을 적은 용량, 짧은 기간 사용하면서도 유사한 임신율을 나타내므로, 과배란유도하 자궁강내 인공수정을 시행 받는 환자를 위한 환자 친화적이고 효과적인 과배란유도법이 될 수 있을 것이다.

포유류의 정자형성과정 중 생식세포의 변화 (Germ Cell Degeneration during Mammalian Spermatogenesis)

  • 김종민
    • 한국동물번식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동물번식학회 2001년도 발생공학 국제심포지움 및 학술대회 발표자료집
    • /
    • pp.11-13
    • /
    • 2001
  • 사람을 포함한 포유류의 정자형성과정은 시상하부에서 분비된 생식소자극호르몬 방출호르몬 (gonadotropin releasing hormone)의 영향 하에 뇌하수체에서 합성 분비되는 난포자극호르몬 (follicle stimulating hormone; FSH) 과 황체화호르몬 (luteinizing hormone; LH)에 의해서 조절된다. LH의 라이디히 세포 (Leydig cells) 자극으로 인한 testosterone 의 합성분비가 성체(adult)의 정자형성과정과 그 유지(maintenance)에 매우 결정적이다. 반면, FSH는 미성숙 개체의 정소에서 일어나는 예비적 정자형성과정에 있어 중요한 역할을 하며, 성체에서도 질적인 면에서의 정자형성과정에 관여하는 것으로 사려된다. 그러므로, 시상하부-뇌하수체-정소의 축(axis)을 이루는 어느 한 성분에서라도 이상이 생기면 정자의 형성과정은 치명적인 영향을 받을 수 있다. (중략)

  • PDF

융모성 성선자극 호르몬 및 난포 자극호르몬 수용체의 293세포에서 기능적으로 발현 (Functional Expression of Lutropin/Choriogonadotropin and Follitropin Receptor cDNAs in 293 Cells)

  • Min, K.S.
    • 한국가축번식학회지
    • /
    • 제23권4호
    • /
    • pp.347-352
    • /
    • 1999
  • 1. 유전자 재 조합 호르몬 (eCG IPMSG, hCG 및 hFSH)의 활성체크 및 세포내 signal transduction에 관한 기초연구를 위하여 rat의 융모성 성선자극 호르몬 수용체 (LH/CGR) 및 난포 자극호르몬 수용체 (FSHR)를 이미 보고되어진 염기배열에 의하여 PCR 방법으로 크로닝 하여, human embryonic kidney 유래의 293 세포에 transfection 하여 세포 표면에 LH/CGR와 FSHR를 발현하는 cell lines을 분리하였다. 2. hCG와 FSH의 signal을 전달하는 능력은 hCG와 FSH 또는 eCG의 농도증가에 따라 이들 수용체로 하여금 세포내의 cAMP 분비가 증가함을 알 수 있었다. 즉, transfection 되어진 이들 수용체를 발현하는 수용체의 대부분은 ligand binding 기능올 가지고, cAMP 반응에 의한 생리활성을 분석할 수 있으며, 또한 유전자 재조합당 단백질 호르몬 (eCG, hCG 및 hFSH)의 signal transduction, 구조 및 기능연구에 활용할 수 있다.

  • PDF

한국 불임 여성에서 난포자극호르몬 수용체 유전자형과 체외수정 및 배아이식술 임상 결과와의 관련성 (Relationship between FSH Receptor Genotype and Clinical Outcomes of IVF-ET in Infertile Korean Women)

  • 문미혜;최혜원;김민지;이형송;차선화;송인옥;궁미경;전진현
    • Clinical and Experimental Reproductive Medicine
    • /
    • 제35권1호
    • /
    • pp.69-76
    • /
    • 2008
  • 목 적: 본 연구에서는 한국 불임 여성의 난포자극호르몬 수용체 유전자형의 분포 빈도를 파악하고, 체외수정 시술에서 난포자극호르몬 수용체 유전자형에 따른 과배란 유도 과정에서의 난소 반응과 각종 임상 결과와의 관련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연구대상은 제일병원에 내원한 여성 불임 환자 1, 020명을 대상으로 난포자극호르몬 수용체의 유전자형, 즉 Thr307Ala (T/A)과 Asn680Ser (N/S)을 조사하였으며, 이들 중에서 과배란 유도와 체외수정 및 배아이식술을 시행한 302주기에서의 임상 결과를 이들의 유전자형에 따라 비교하였다. 결 과: 대상 환자에서 난포자극호르몬 수용체의 Thr307Ala와 Asn680Ser의 유전자형 빈도는 TT/NN 군이 44.80% (n=457), TA/NS 군이 41.96% (n=428) 그리고 AA/SS군이 10.49% (n=107)의 분포로 조사되었다. 과배란 유도에서의 각 유전자형에 따른 대상 환자의 나이, 난소 반응에 관련된 사용한 난포자극호르몬의 용량과 이에 따른 혈중 에스트라디올의 농도와 채취된 난자의 수 등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그러나 배아이식 후 AA/SS 유전자형 환자에서의 착상률이 TT/NN에 비해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다 (24.5% vs 15.7%, p<0.05) 결 론: 대표적인 세 가지 TT/NN, TA/NS 그리고 AA/SS 유전자형에 따른 과배란 유도에서의 난소 반응은 통계적으로 의미있는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그러나 각각의 유전자형에 따라 난소 반응과 임상 결과가 다소 차이가 나타남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이에 대한 추가적인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