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난지도 매립지

검색결과 38건 처리시간 0.023초

부정류 상태에서의 난지도 매립지 침출수 거동 예측 (The Behavior of Leachate on The Transient Condition in The Nanji Waste Landfill)

  • 강동희;조원철;이재영
    • 한국지하수토양환경학회지:지하수토양환경
    • /
    • 제6권2호
    • /
    • pp.57-67
    • /
    • 2001
  • 본 연구는 난지도 매립지에서 기반암 및 풍화대층을 통해서 거동하는 침출수의 속도와 침출수량을 부정류 상태에서 예측하기 위해 실시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3차원 지하수 거동 모델인 MODFLOW와 지하수에 용해되어 있는 오염물질의 확산, 분산, 화학반응 등을 해석할 수 있는 MT3D를 이용하여 안정화 공사 이후 부정류 상태에서 침출수 거동을 해석하였다. 침출수 발생량은 최근 10년간의 기상자료를 이용해서 HELP모델로 산출하였다. 침출수 거동은 차수벽, 차수층 설치 전,후의 침출수위 변화에 의해 예측되었다.

  • PDF

미기상학적 기법을 이용한 난지도 매립지에서 VOCs의 Air/Soil 교환량 측정 (Micrometeorological measurements of VOC fluxes from Nan-Ji-Do landfill area during Spring 2000)

  • 김민영;김기현;이강웅
    • 한국대기환경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대기환경학회 2000년도 추계학술대회 논문집
    • /
    • pp.76-77
    • /
    • 2000
  • 최근 들어 대도시와 그 주변지역을 중심으로 빈번하게 발생하는 광화학적 오염에 VOCs가 기여하는 바가 크다는 것은 주지의 사실이다. VOCs가 이와 같은 국지적인 광화학적 오염에 지대한 영향을 줄뿐만 아니라 지역 규모에서도 대기 중의 화학적인 조성과 산화력을 결정하고 있어서 이들의 발생, 화학적 변환, 소멸에 따른 기작과 동태를 규명하는 것이 대기 화학에서 중요한 부분으로 생각되고 있다. (중략)

  • PDF

난지도 하수슬러지 매립지반의 공학적 특성 (Engineering Properties of Sewage Sludge Landfill Ground in Nanji-Do)

  • 송영석;윤중만
    • 지질공학
    • /
    • 제17권1호
    • /
    • pp.125-133
    • /
    • 2007
  • 본 연구에서는 난지도 매립지내 하수슬러지만으로 이루어진 8호 매립장에 대하여 환경 및 지반공학적 특성을 조사한다. 이를 위하여 대상현장에 대하여 시료를 채취하고, 용출시험, 중금속 총량시험 등을 실시하여 환경적인 특성을 조사하였다. 중금속 총량시험결과 Pb, Zn, Cu, Ni, Cd, Cr 등의 성분이 검출되었으며, Cu의 경우 캘리포니아주 규제기준을 초과하므로 하수슬러지 재활용시 함량을 낮추어야 할 것이다 한편, 하수슬러지의 비중, 입도분석, 액소성한계, 다짐, 투수, 전단시험을 실시하여 지반공학적 특성을 조사하였다. 하수슬러지는 모래, 실트 및 점토로 구성되어 있으며, 소성지수는 42.3%로서 압축성이 큰 무기질 실트 혹은 유기질 점토인 것으로 분류된다. 다짐시험결과 건조단위중량이 낮고 다짐곡선이 비교적 평탄한 형태를 보이고 있으므로 함수비 변화에 따른 다짐효과가 비교적 적을 것으로 예상된다. 그리고 직접전단시험결과 점착력은 $0.058kg/cm^2$이고, 내부마찰각은 $14^{\circ}$ 것으로 나타났다. 대상현장의 하수슬러지는 다짐이 잘 되지 않으며, 전단강도도 비교적 낮으므로 매립지의 복토층 등으로 재활용할 경우 여러 가지 문제가 발생될 것으로 예상된다. 그리고 하수슬러지에 포함되어 있는 중금속의 용출에 따른 지하수 오염문제도 예상된다. 따라서 대상현장의 하수슬러지를 재활용하기 위해서는 이에 대한 보완 및 처리방안이 마련되어야 할 것이다.

난지도 폐기물 매립장과 그 주변 지역에서의 연간 비저항구조 변화 (Annual Variation of Resistivity Structure in and around the Nanjido Waste Landfill)

  • Lee, Kiehwa;Yoon, Jong-Ryeol
    • 대한지하수환경학회지
    • /
    • 제5권1호
    • /
    • pp.1-9
    • /
    • 1998
  • 난지도 매립지 주변지역과 매립지내에서 1995년 8월과 12월에 걸쳐 슐럼버져 수직비저항탐사와 쌍극자 전기비저항탐사를 실시하였다. 탐사지점은 1994년 8월과 1995년 2월에 실시했던 비저항탐사 지점과 가능한 한 동일하도록 노력하였으며, 모두 50점의 수직탐사와 2측선의 쌍극자탐사를 실시하여 매립지내와 그 주변지역의 연간 비저항구조 변화를 규명하고자 하였다. 자료의 해석결과 1년전에 비하여 매립지 내부와 주변지역의 평균비저항이 낮아지고, 침출수에 의해 오염되거나 포화된 층의 두께도 전반적으로 두꺼워진 경향을 보였다. 특히 좌지도 내부와 그 주변지역은 침출수에 의해 포화된 층의 평균두께가 3∼6 m 정도 증가했으며 기반암의 비저항도 낮아진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저비저항대의 평균두께 증가폭은 현실적인 수리전도도를 고려할 때 다소 큰 것이어서, 자료측정시나 해석시 오차의 영향도 생각할 수 있으나 비저항값의 변화를 볼 때, 침출수에 의한 지층오염이 진행되고 있다는 것만은 분명하다고 판단된다 한편, 매립지뒤쪽에서의 수직탐사 자료는 이전의 자료와 커다란 차이를 보여주고 있지 앓는 것으로 보아 침출수에 의한 풍화대와 기반암의 오염은 주로 매립지 내부와 전방 주변지역에서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고 생각된다.

  • PDF

난지도 매립지 일대의 지하수위 분포 추정을 위한 복합 크리깅의 응용 (Application of Cokriging for the Estimation of Groundwater Level Distribution at the Nanjido Waste Landfill Area)

  • 정상용;이강근
    • 대한지하수환경학회지
    • /
    • 제2권2호
    • /
    • pp.58-63
    • /
    • 1995
  • 난지도 매립장의 기저침출수위 분포와 그 주변지역의 지하수위 분포를 추정하기 위해 복합크리깅을 이용하였다. 지하수위 분포는 지형의 변화와 밀접한 관련을 갖고 있어서 지형의 변화가 큰 지역에서 지하수위 분포를 추정할 때에는 지형의 표고 자료도 함께 사용하는 것이 더 좋은 결과를 만들어 낸다. 본 연구에서는 87개의 지하수위 자료와 144개의 표고자료에 대한 반베리오그램을 구하고, 그것의 적합한 모델을 교차타당성 조사에 의해 선정한 후 복합크리깅과 정규크리깅을 이용하여 지하수위 분포도 만들었다. 2개의 지하수위 등고선도를 비교해보면 지하수위 자료가 많이 확보된 매립장내에서는 큰 차이가 없으나, 지하수위 표본자료가 부족하고 지형의 변화가 큰 지역(등고선도의 좌상단 구역)과 지하수위 표본자료가 부족한 한강 인접지역에서 끈 차이를 보인다. 이 구역들에서 지형의 표고를 고려해볼 때,복합크리깅에 의한 지하수위 등고선도가 정규크리깅에 의한 지하수위 등고선보다 더 실제에 가까운 것으로 사료된다.

  • PDF

폐기물 매립지에서의 가스 거동에 관한 모델 개발과 적용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a Landfill Gas Migration Model)

  • 박유철;이강근;박철휘;김용우
    • 자원환경지질
    • /
    • 제29권3호
    • /
    • pp.325-333
    • /
    • 1996
  • 폐기물 매립지 내에셔 가스 흐름을 추정하기 위하여 수치 모델을 개발하였다. 가스 흐름은 밀도에 영향 받는 밀도류이고 매립지 내의 매체는 매우 불균질하므로 단순한 수학적 해법으로 가스 흐름을 추정하기 어렵다. Darcy 방정식과 절량 보존의 법칙을 결합하고 이상 기체 방정식을 도입하여 지배방정식을 만들어지고, 이 지배방정식을 유한요소법으로 풀이하였다. 정류상태 모의의 결과는 AIRFLOW 모델에 의한 모의 결과와 일치한다. 부정류 상태 모의 결과는 질량 보존 평가와 일정 시간 후의 결과를 정류상태의 결과와 비교하여 간접적으로 결과의 신뢰성을 평가하였다. 대우건설에서 1993년에 실시한 난지도 매립지 가스 추출 시험 결과를 모델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개발된 모델은 1994년 재단법인 한국컴퓨터 프로그램 보호회에 등록되었다.

  • PDF

도시폐기물 매립지 침출수의 적정처리에 관한 연구 -난지도 폐기물 매립지 침출수를 대상으로- (A Study on the Adequate Treatment of Municipal Landfill Leachate -A Case Study of Nanjido Landfill Leachate-)

  • 이병인
    • 한국환경과학회지
    • /
    • 제4권3호
    • /
    • pp.269-276
    • /
    • 1995
  • An experimental research was conducted in order to study the treatability of municipal landfill leachate using a combined physio-chemical and biological treatment. The leachate was obtained from Nanjido landfill site in Seoul. Several sets of bench-scale sequencing batch reactor(SBR) and physic-chemical reactors were used as experimental apparatus. This experiment lasted for about 2 years. The results are as follows: 1. The characteristics of Nanjido landfill leachate were pH 7.4~8.2, BOD 79~450mg/L, COD 998~1460mg/L, $NH_3-N$ 1380~3412mg/L, 7-P 2.6~7.0mg/L, color 890~1992 unit, and heavy metals are a very small amount. 2. Either physio-chemical or biological treatment of Landfill leachate alone did not work well. So for the adequate treatment of leachate, it was necessary to deal with the physio-chemical pretreatment before biological treatment. And it was found that both electrolysis and ozone treatment are better pretreatments of leachate than others. 3. In this study, landfill leachate was effectively processed by two step : first by electrolysis pretreatment, and secondly by SBR treatment. Thus, the study showed considerable substrate removal of raw leachate, even though the rate of COD removal depended on HRT.

  • PDF

도시폐기물 매립지 침출수의 적정처리에 관한 연구 -난지도 폐기물 매립지 침출수를 대상으로- (A Study on the Adequate Treatment of Municipal Landfill Leachate -A Case Study of Nanjido Landfill Leachate-)

  • 이병인
    • 한국환경과학회지
    • /
    • 제4권3호
    • /
    • pp.117-117
    • /
    • 1995
  • An experimental research was conducted in order to study the treatability of municipal landfill leachate using a combined physio-chemical and biological treatment. The leachate was obtained from Nanjido landfill site in Seoul. Several sets of bench-scale sequencing batch reactor(SBR) and physic-chemical reactors were used as experimental apparatus. This experiment lasted for about 2 years. The results are as follows: 1. The characteristics of Nanjido landfill leachate were pH 7.4~8.2, BOD 79~450mg/L, COD 998~1460mg/L, $NH_3-N$ 1380~3412mg/L, 7-P 2.6~7.0mg/L, color 890~1992 unit, and heavy metals are a very small amount. 2. Either physio-chemical or biological treatment of Landfill leachate alone did not work well. So for the adequate treatment of leachate, it was necessary to deal with the physio-chemical pretreatment before biological treatment. And it was found that both electrolysis and ozone treatment are better pretreatments of leachate than others. 3. In this study, landfill leachate was effectively processed by two step : first by electrolysis pretreatment, and secondly by SBR treatment. Thus, the study showed considerable substrate removal of raw leachate, even though the rate of COD removal depended on HRT.

LANDSAT TM 영상에 의한 난지도 매립지의 발생열 분포해석 (Analysis for the Distribution of the Heat Generated on a Nanji Waste Landfill in Using Landsat TM Image)

  • 양인태;김만덕;윤범한;김연준
    • 환경영향평가
    • /
    • 제4권2호
    • /
    • pp.59-70
    • /
    • 1995
  • The solution-state of a reclaimed waste would be known to the method in using an analysis for seepage. But it is not the best method in the huge landfill reclaimed all kinds of the waste at random. Especially in case of the landfill called the Nan Gi-do located along the Han-river, it is difficult to judge the generative seepage to be flowed in to the Han-river. So to plan the effective stabilization on a landfill, it is very useful survey method using the Landsat TM image. Operating a heat-distribution analysis with the Landsat TM image, in case of a landfill not having definite data, we would assume the reclaimed sections of the waste to judge a solution-speed late comparatively such as a industry waste or a harmful waste through the heat change.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