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난연화

검색결과 145건 처리시간 0.024초

유.무기계 난연제의 합성 및 그 응용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Synthesis of Organic/Inorganic Flame Retardant and Its Application)

  • 조승현;하진욱
    • 한국산학기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산학기술학회 2003년도 춘계학술발표논문집
    • /
    • pp.340-342
    • /
    • 2003
  • 본 연구의 목표는 난연화를 위한 기존 공법의 단점 보완과 환경 친화적인 난연제를 사용한 비 난연 XLPE 케이블의 난연화 방법과 최적의 난연 코팅액 배합에 있다. 전력용, 통신용 등과 같이 고난연성이 요구되는 경우 기존 컴파운드 방법으로는 난연제를 다량으로 첨가하여 사용하며, base polymer와의 혼합성, 기계적인 물성에도 영향을 끼쳐서는 안되는 등 여러 가지 요구 조건을 만족시켜야 하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각 난연 코팅액에 따른 코팅 표면을 고찰한 결과 모든 코팅의 표면은 깨끗하였으며, 코팅층의 두께는 약 10~20 ㎛로 일정하게 코팅이 되었다. Mg(OH)₂/Zinc Borate의 경우는 무게비(wt%)가 1 : 0.5, 1: 0.6에서 난연 효과를 보였으나. 1 : 0.7이상에서는 유연성이 떨어져 코팅층의 균일이 발생하여 연소 테스트시 난연 효과가 떨어지는 현상을 볼 수 있었다. Mg(OH)₂/AF100 S/Zinc Borate의 경우는 AF100 S의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탄화막 형성되어 난연성이 향상되었다.

  • PDF

경량 난연성 성형체의 특성에 관한 연구

  • 강영구;강정식;조명호
    • 한국산업안전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안전학회 1999년도 춘계 학술논문발표회 논문집
    • /
    • pp.265-268
    • /
    • 1999
  • 경량 건축소재는 협소공간의 고도 이용과 건설 분야의 양적, 질적인 측면에서 급속한 성장으로 건축자재의 경량화, 고급화 및 다양화를 요구하고 있으며 이에 PE, PP, PS, PVC 등의 플리스틱 foam 및 저밀도 콘크리트 등의 경량 건축 소재에 대한 연구가 지속되고 있다. 경량 건축소재로 사용되는 플라스틱류는 대부분 난연화 및 강도유지를 위해 난연제, 섬유 및 무기충진제 등를 첨가하거나 고밀도화하여 사용하며 경량화를 위해 foaming agent를 사용하여 기포를 발생시켜 경량화하여 성형된다. (중략)

  • PDF

유ㆍ무기계 난연제의 합성 및 그 응용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Synthesis of Organic/Inorganic Flame Retardant and Its Application)

  • 조승현;하진욱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4권3호
    • /
    • pp.218-222
    • /
    • 2003
  • 본 연구의 목표는 난연화를 위한 기존 공법의 단점 보완과 환경 친화적인 난연제를 사용한 비 난연 XLPE 케이블의 난연화 방법과 최적의 난연 코팅액 배합에 있다. 전력용, 통신용 둥과 같이 고난연성이 요구되는 경우 기존 컴파운드 방법으로는 난연제를 다량으로 첨가하여 사용하며, base polymer와의 혼합성, 기계적인 물성에도 영향을 끼쳐서는 안 되는 등 여러 가지 요구 조건을 만족시켜야 하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각 난연 코팅액에 따른 코팅 표면을 고찰한 결과 모든 코팅의 표면은 깨끗하였으며, 코팅층의 두께는 약 10-20㎛로 일정하게 코팅이 되었다. TBBA/Sb₂O₃, TBBA/Zinc Borate의 무게비(wt%)가 1:0.7 이상부터 난연 효과를 보였다. 또한 Mg(OH)₂/Zinc Borate의 경우는 무게비(wt%)가 1:0.5, 1:0.6에서 난연효과를 보였으나, 1:0.7 이상에서는 난연 효과가 떨어지는 현상을 보였다. Mg(OH)₂/AF100 S/Zinc Borate의 경우는 AF100 S의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난연성이 향상되었다. 난연 코팅액의 열 분해 거동을 비교한 결과, Mg(OH)₂/Zinc Borate의 경우 초기 분해 온도가 유기계 난연제를 사용하였을 경우보다 늦어졌으며, 최종 잔류 탄화물 양도 많이 생성되었다. Mg(OH)₂/AF100 S/Zinc Borate의 경우 난연 효과를 상승을 위해 인계 난연제(AF100 S)를 첨가하였으나. 오히려 초기 분해온도가 빨라졌으며 잔류 탄화물의 양도 적게 나타났다. 그러나 연소 테스트 결과 가장 우수한 난연 효과를 보였다.

  • PDF

친환경 액상 난연제를 이용한 대나무섬유의 난연화 연구 (Study on the Improvement of Flame Retardancy of Bamboo Fiber Using Eco-Friendly Liquid Flame Retardant)

  • 이동우;리막심;송정일
    • Composites Research
    • /
    • 제35권6호
    • /
    • pp.456-462
    • /
    • 2022
  • 천연섬유는 가연성이 높아 난연화가 쉽지않으며, 친환경적인 특성을 활용하기 위해서는 친환경적으로 난연화시키는 것이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자연으로부터 유래한 난연 후보물질인 Phytic acid, APTES, Thiourea를 기반으로 하는 액상 난연제를 제조하고 대나무 섬유의 난연처리 및 난연성 평가를 통하여 그 성능을 입증하고자 하였다. 액상 난연제를 사용할 경우 대량의 천연섬유에 대한 난연처리가 가능하다. 다구찌 시험계획법에 따라 9종류의 난연처리된 대나무 섬유를 준비하였다. 그후 난연성 평가를 위하여 수직 연소시험 및 마이크로칼로리미터 시험을 수행하였으며, SEM을 이용하여 난연처리 전후의 천연섬유 표면을 비교하였다. 시험결과 Phytic acid가 천연섬유의 난연성 향상에 매우 큰 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었으며 미세구조 분석을 통하여 난연제가 천연섬유 표면에 균일하게 부착되는데 도움을 주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와 같은 연구성과를 활용할 경우 대량의 천연섬유를 친환경적인 방법으로 고난연화 하는 것이 가능하여 시제품 적용에 유리할 것으로 기대된다.

몬모릴로나이트로 강화된 폴리프로필렌/ 나일론 나노복합재료의 난연특성 및 기계적 특성 (Flame Retardancy and Mechanical Property of Polypropylene/ Nylon Nanocomposite Reinforced with Montmorillonite)

  • 이종훈;박호식;안인구;이윤희;김연수;이영관;남재도
    • 폴리머
    • /
    • 제27권6호
    • /
    • pp.576-582
    • /
    • 2003
  • 열가소성 수지인 폴리프로필렌과 나일론 블렌드를 무기나노입자인 몬모릴로나이트와 상용화제 말레산 무수물 폴리프로필렌을 사용하여 복합화한 나노복합재료에 할로젠 계열의 난연제 데카브로모다이페닐옥사이드를 첨가하였을 때의 분산성과 난연특성 및 기계적 특성의 향상에 대해 실험하였다. 고분자 수지의 난연특성과 기계적 특성은 난연제의 첨가뿐만 아니라 나노복합화를 통해서도 향상될 수 있으며, 고분자 수지 내의 나노입자의 분산정도에 따라 매우 큰 차이가 생긴다. 고분자 수지와 무기나노입자 사이의 분산성과 그에 따른 난연특성 및 기계적 특성을 난연제와 무기나노입자의 함량에 .따라 정량적으로 측정하였다 폴리프로필렌/나일론 블렌드를 몬모릴로나이트로 복합화할 때 2회 이상 컴파운딩하면 완전히 분산되는 것을 XRD 결과로 확인하였다. 폴리프로필렌/나일론 블렌드를 복합화하면 나일론의 첨가로 인한 난연성의 저하를 극복할 수 있었으며, 무기나노입자가 완전히 분산되어 있을 때에는 추가적인 난연특성의 향상을 얻었다. 그리고 폴리프로필렌은 나일론의 첨가로 인하여 인장강도와 충격강도가 약간 증가하였으며, 무기나노입자와의 복합화를 통해서 추가적인 기계적 물성의 증가를 관찰하였다. 이로부터 폴리프로필렌의 기계적 물성의 향상을 위해 첨가한 나일론은 난연특성의 저하를 초래하지만 무기나노입자와의 복합화를 통해 난연특성의 향상과 추가적인 기계적 물성의 향상을 동시에 얻을 수 있었다.

할로젠 계열의 난연제가 첨가된 폴리프로필렌/몬모릴로나이트 나노복합재료의 난연특성 (Flame Retardancy of Polypropylene/Montmorillonite Nanocomposites with Halogenated Flame Retardants)

  • 이종훈;나중현;이대회;김명덕;공정호;이영관;남재도
    • 폴리머
    • /
    • 제27권6호
    • /
    • pp.569-575
    • /
    • 2003
  • 열가소성 수지인 폴리프로필렌 (PP)과 무기나노입자인 몬모릴로나이트 (MMT)의 나노복합재료에 할로젠 계열의 난연제 데카브로모다이페닐옥사이드 (DBDPO)와 클로로파라핀 왁스 (CPW)를 철가하였을 때의 난연특성 향상에 대해 실험하였다. 고분자 수지의 난연특성은 난연제의 첨가뿐만 아니라 나노복합화를 통해서도 향상될 수 있는데, 콘 칼로리미터와 한계산소지수 (LOI)의 측정을 통하여 난연제와 무기나노입자의 함량에 따른 폴리프로필렌/몬모릴로나이트 나노복합재료의 난연특성을 정량적으로 측정하였다. 폴리프로필렌에 난연제 DBDPO와 CPW를 첨가하였을 때, 난연특성이 2배 이상 향상되는 것을 관찰하였으며, CPW가 DBDPO보다 약간 우수한 난연특성을 보였다. 한계산소지수 측정결과 폴리프로필렌에 난연제를 첨가하면 폴리프로필렌의 연소특성이 가연성 영역 (LOI<19)에서 난연성 영역 (LOI>20)으로 전이됨을 확인하였다. 특히, 폴리프로필렌에 몬모릴로나이트를 첨가하여 나노복합화를 하였을 때의 난연특성이 3배 이상 향상되었는데, 이로부터 난연제를 단순히 혼합하는 것보다 몬모릴로나이트를 나노복합화한 후 난연제를 첨가하는 것이 난연특성의 향상에 휠씬 유리하였다.

환경친화적 ATH - FILLED XLPE COMPOUND 특성 연구 (ECO Characteristic of ATH - Filled XLPE Compound Composites)

  • 정영섭;김경룡;한신호
    • 한국전기전자재료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전기전자재료학회 2003년도 춘계학술대회 논문집 유기절연재료 방전 플라즈마연구회
    • /
    • pp.44-48
    • /
    • 2003
  • 할로겐 난연재료 및 고분자의 연소시 Dioxine의 문제점이 대두되고 있어 유럽국가를 중심으로 할로겐 난연제 사용을 규제하고 있다. 환경과 인체에 대한 안정성을 고려해서 저 유해 가스화, 저 발연화, 저 부식성, 리사이클링 등을 겸비한 제품의 개발로 관심이 모아지고 있는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환경친화적인 금속화합(수산화 알루미늄)을 사용하여 연소시 발생할 수 있는 난연성, 무독성, 소연성 등을 함량별로 확인하고 난연재가 증가할수록 취약한 기계적 물성 보완을 위해 moisture cure crosslikable 기술로 케이블절연 및 자켓 피복층 특성을 증가 시켰다. 그러나 수산화알루미늄 함량이 증가할수록 기계적 물성과 기타 특성도 감소하는 경향을 보이고 있어 최적의 난연제 조성함량이 약 130~150 phr정도에서 우수한 결과를 확인하였다. 또한 moisture cure agent는 전선압출 시 표면에 scorch 및 장기 압출에 영향을 주므로 약 1.5~2phr 범위에서 처방하는 것이 우수하다. 원료투입 후 mixing 공정 중에서는 온도관리가 매우 중요하므로 되도록 믹싱 온도를 $130^{\circ}C$ 이하를 유지해야한다. 온도는 수산화알루미늄의 분산성과 케이블 피복압출 시 표면에도 영향을 주기 때문이다 본 연구는 이런 작업방법을 통해 친환경 가교 난연콤파운드가 비(比) 가교된 제품에 비해 특성이 증가되는 것을 입증할 수 있었다.

  • PDF

페암면 재생패널의 제조 및 특성

  • 조명호;강영구
    • 한국산업안전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안전학회 2001년도 공동학술대회
    • /
    • pp.343-346
    • /
    • 2001
  • 경량 건축소재는 건축자재의 경량화, 고급화 및 다양화 등의 기능성 건축소재로의 역할을 요구하고 있으며 그 중 대표적인 것으로는 polyurethane foam이 있다. 일반적인 플라스틱 foam의 경량 건축소재는 난연성에 대한 문제점과 첨가제에 의한 중량 증가, 화재발생시 과다연기발생 등의 문제점이 있으며 저밀도 콘크리트 등의 무기소재는 flexibility가 떨어져 충격과 휭강도가 매우 낮은 단점을 가지고 있다./sup 1.2)/ 열경화성 수지인 polyurethane도 난연성과 강도에 대한 단점을 가지고 있어 sodium silicate 혼합에 의한 난연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나/sup 3)/ 국내 난연 3급의 규격에도 미치지 못하는 특성을 가지고 있다.(중략)

  • PDF

난연 플라스틱 파렛트의 도입에 관한 사례 연구 (A Case Study on the Introduction to Fire Retardative Plastic Pallet)

  • 정의수;강성우;강경식
    • 대한안전경영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안전경영과학회 2009년도 추계학술대회
    • /
    • pp.169-176
    • /
    • 2009
  • 2008년 1월과 12월의 경기도 이천시에서의 창고화재는 재산상의 피해보다도 방재대책이 허술함과 인명피해에 대하여 사회적인 문제가 제기되었으나 건축자재, 입고 화물이외에 화재하중 등을 가중시키는 플라스틱 파렛트에 대한 거론은 없었다. 그러나 일본의 소방청 소방연구소에서는 1995년의 자동화창고의 전소화재시 화재조사를 실시한 후 방재대책으로서 플라스틱 파렛트의 화재하중 경감, 발연량 및 유해가스감축을 위한 후속대책으로 난연 파렛트에 대한 연구를 수행하였다. 그 결과 수산화마그네슘 또는 적린과 수산화마그네슘을 난연제로 사용한 플라스틱 파렛트 난연화에 성공하였다. 본고에서는 시험시설 등의 연구환경의 한계로 일본의 연구사례를 조사하고 우리나라의 난연 플라스틱 파렛트 도입방안에 대해 살펴보기로 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