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난연화

Search Result 145, Processing Time 0.03 seconds

A Study on the Synthesis of Organic/Inorganic Flame Retardant and Its Application (유.무기계 난연제의 합성 및 그 응용에 관한 연구)

  • 조승현;하진욱
    • Proceedings of the KAIS Fall Conference
    • /
    • 2003.06a
    • /
    • pp.340-342
    • /
    • 2003
  • 본 연구의 목표는 난연화를 위한 기존 공법의 단점 보완과 환경 친화적인 난연제를 사용한 비 난연 XLPE 케이블의 난연화 방법과 최적의 난연 코팅액 배합에 있다. 전력용, 통신용 등과 같이 고난연성이 요구되는 경우 기존 컴파운드 방법으로는 난연제를 다량으로 첨가하여 사용하며, base polymer와의 혼합성, 기계적인 물성에도 영향을 끼쳐서는 안되는 등 여러 가지 요구 조건을 만족시켜야 하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각 난연 코팅액에 따른 코팅 표면을 고찰한 결과 모든 코팅의 표면은 깨끗하였으며, 코팅층의 두께는 약 10~20 ㎛로 일정하게 코팅이 되었다. Mg(OH)₂/Zinc Borate의 경우는 무게비(wt%)가 1 : 0.5, 1: 0.6에서 난연 효과를 보였으나. 1 : 0.7이상에서는 유연성이 떨어져 코팅층의 균일이 발생하여 연소 테스트시 난연 효과가 떨어지는 현상을 볼 수 있었다. Mg(OH)₂/AF100 S/Zinc Borate의 경우는 AF100 S의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탄화막 형성되어 난연성이 향상되었다.

  • PDF

경량 난연성 성형체의 특성에 관한 연구

  • 강영구;강정식;조명호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Industrial Safety Conference
    • /
    • 1999.06a
    • /
    • pp.265-268
    • /
    • 1999
  • 경량 건축소재는 협소공간의 고도 이용과 건설 분야의 양적, 질적인 측면에서 급속한 성장으로 건축자재의 경량화, 고급화 및 다양화를 요구하고 있으며 이에 PE, PP, PS, PVC 등의 플리스틱 foam 및 저밀도 콘크리트 등의 경량 건축 소재에 대한 연구가 지속되고 있다. 경량 건축소재로 사용되는 플라스틱류는 대부분 난연화 및 강도유지를 위해 난연제, 섬유 및 무기충진제 등를 첨가하거나 고밀도화하여 사용하며 경량화를 위해 foaming agent를 사용하여 기포를 발생시켜 경량화하여 성형된다. (중략)

  • PDF

A Study on the Synthesis of Organic/Inorganic Flame Retardant and Its Application (유ㆍ무기계 난연제의 합성 및 그 응용에 관한 연구)

  • 조승현;하진욱
    •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 /
    • v.4 no.3
    • /
    • pp.218-222
    • /
    • 2003
  • 본 연구의 목표는 난연화를 위한 기존 공법의 단점 보완과 환경 친화적인 난연제를 사용한 비 난연 XLPE 케이블의 난연화 방법과 최적의 난연 코팅액 배합에 있다. 전력용, 통신용 둥과 같이 고난연성이 요구되는 경우 기존 컴파운드 방법으로는 난연제를 다량으로 첨가하여 사용하며, base polymer와의 혼합성, 기계적인 물성에도 영향을 끼쳐서는 안 되는 등 여러 가지 요구 조건을 만족시켜야 하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각 난연 코팅액에 따른 코팅 표면을 고찰한 결과 모든 코팅의 표면은 깨끗하였으며, 코팅층의 두께는 약 10-20㎛로 일정하게 코팅이 되었다. TBBA/Sb₂O₃, TBBA/Zinc Borate의 무게비(wt%)가 1:0.7 이상부터 난연 효과를 보였다. 또한 Mg(OH)₂/Zinc Borate의 경우는 무게비(wt%)가 1:0.5, 1:0.6에서 난연효과를 보였으나, 1:0.7 이상에서는 난연 효과가 떨어지는 현상을 보였다. Mg(OH)₂/AF100 S/Zinc Borate의 경우는 AF100 S의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난연성이 향상되었다. 난연 코팅액의 열 분해 거동을 비교한 결과, Mg(OH)₂/Zinc Borate의 경우 초기 분해 온도가 유기계 난연제를 사용하였을 경우보다 늦어졌으며, 최종 잔류 탄화물 양도 많이 생성되었다. Mg(OH)₂/AF100 S/Zinc Borate의 경우 난연 효과를 상승을 위해 인계 난연제(AF100 S)를 첨가하였으나. 오히려 초기 분해온도가 빨라졌으며 잔류 탄화물의 양도 적게 나타났다. 그러나 연소 테스트 결과 가장 우수한 난연 효과를 보였다.

  • PDF

Study on the Improvement of Flame Retardancy of Bamboo Fiber Using Eco-Friendly Liquid Flame Retardant (친환경 액상 난연제를 이용한 대나무섬유의 난연화 연구)

  • Dong-Woo, Lee;Maksym, Li;Jung-il, Song
    • Composites Research
    • /
    • v.35 no.6
    • /
    • pp.456-462
    • /
    • 2022
  • Since natural fibers are highly flammable, it is not easy to make them flame retardant. In this study, a liquid flame retardant based on phytic acid, APTES, and Thiourea, which are flame retardant candidates derived from nature, was prepared and its performance was verified through flame retardant treatment and flame retardancy evaluation of bamboo fibers. When a liquid flame retardant is used, it is possible to treat a large amount of natural fibers with flame retardant treatment. Nine types of flame-retardant treated bamboo fibers were prepared according to the Taguchi design of experiment method. Thereafter, vertical burning test and microcalorimeter test were performed for flame retardancy evaluation, and the surface of natural fibers before and after flame-retardant treatment was compared using scanning electron microscope. The results show that phytic acid has a significant effect on improving the flame retardancy of natural fibers. Through microstructure analysis, it was assumed that the phytic acid helps flame retardant to uniformly adhere to the surface of natural fibers. If such research results are utilized, it is possible to make a large amount of natural fibers high flammability in an eco-friendly way, which is expected to be advantageous for the application of prototypes.

Flame Retardancy and Mechanical Property of Polypropylene/ Nylon Nanocomposite Reinforced with Montmorillonite (몬모릴로나이트로 강화된 폴리프로필렌/ 나일론 나노복합재료의 난연특성 및 기계적 특성)

  • 이종훈;박호식;안인구;이윤희;김연수;이영관;남재도
    • Polymer(Korea)
    • /
    • v.27 no.6
    • /
    • pp.576-582
    • /
    • 2003
  • When the halogenated flame retardant, decabromodiphenyl oxide, was added to the polypropylene/nylon blend, and was compounded with montmorillonite and compatibilizer, maleic anhydride polypropylene, the improvement of flame retardancy and mechanical properties was investigated. The degree of dispersion between polymer resin and inorganic nanoparticles was investigated, and the flame retardancy and mechanical properties was measured quantitatively. XRD results showed that the montrnorillonite was com-pletely exfoliated after polypropylen/nylon nanocomposites was mixed above twice. By compounding with montmorillonite, polypropylene/nylon blend system was overcome the deterioration of flame retardancy. The tensile strength and impact strength were slightly increased, and by compounding with montmorillonite, the additional increase in mechanical properties was obtained. Therefore, the flame retardancy of polypropylene / nylon blend was decreased by adding nylon, but by compounding with inorganic nanoparticle, improvement of the flame retardancy and mechanical properties was obtained.

Flame Retardancy of Polypropylene/Montmorillonite Nanocomposites with Halogenated Flame Retardants (할로젠 계열의 난연제가 첨가된 폴리프로필렌/몬모릴로나이트 나노복합재료의 난연특성)

  • 이종훈;나중현;이대회;김명덕;공정호;이영관;남재도
    • Polymer(Korea)
    • /
    • v.27 no.6
    • /
    • pp.569-575
    • /
    • 2003
  • The flame retardancy was investigated when the halogenated flame retardant, decabromodiphenyl oxide (DBDPO) and chlorinated paraffin wax (CPW), was added to the polypropylene (PP) / montmorillonite (MMT) nanocomposites. The flame retardancy of polymer resin could be improved not only by addition of flame retardant but also with nanoparticles compositions. The effect of the contents of flame retardant and nanoparticles on the flame retardancy of polypropylene/ montmorillonite nanocomposite systems was thoroughly examined in terms of limited oxygen index (LOI) and cone calorimetry. As a results of cone calorimetry, the heat release rate (HRR) was reduced by the flame retardant DBDPO and CPW, and CPW was a little better than DBDPO. The LOI increased from flammable region (LOI<19) to nonflammable region (LOI>20) for all the flame retardants used in this study. Especially, the improvement in flame retardancy by compounding with PP and MMT was better than that by adding flame retardant to polypropylene. So, the addition of flame retardant after compounding with montmorillonite was more efficient than simple addition of flame retardant.

ECO Characteristic of ATH - Filled XLPE Compound Composites (환경친화적 ATH - FILLED XLPE COMPOUND 특성 연구)

  • Jung, Young-Seub;Kim, Kyung-Yong;Han, Sien-Ho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Electrical and Electronic Material Engineers Conference
    • /
    • 2003.05e
    • /
    • pp.44-48
    • /
    • 2003
  • 할로겐 난연재료 및 고분자의 연소시 Dioxine의 문제점이 대두되고 있어 유럽국가를 중심으로 할로겐 난연제 사용을 규제하고 있다. 환경과 인체에 대한 안정성을 고려해서 저 유해 가스화, 저 발연화, 저 부식성, 리사이클링 등을 겸비한 제품의 개발로 관심이 모아지고 있는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환경친화적인 금속화합(수산화 알루미늄)을 사용하여 연소시 발생할 수 있는 난연성, 무독성, 소연성 등을 함량별로 확인하고 난연재가 증가할수록 취약한 기계적 물성 보완을 위해 moisture cure crosslikable 기술로 케이블절연 및 자켓 피복층 특성을 증가 시켰다. 그러나 수산화알루미늄 함량이 증가할수록 기계적 물성과 기타 특성도 감소하는 경향을 보이고 있어 최적의 난연제 조성함량이 약 130~150 phr정도에서 우수한 결과를 확인하였다. 또한 moisture cure agent는 전선압출 시 표면에 scorch 및 장기 압출에 영향을 주므로 약 1.5~2phr 범위에서 처방하는 것이 우수하다. 원료투입 후 mixing 공정 중에서는 온도관리가 매우 중요하므로 되도록 믹싱 온도를 $130^{\circ}C$ 이하를 유지해야한다. 온도는 수산화알루미늄의 분산성과 케이블 피복압출 시 표면에도 영향을 주기 때문이다 본 연구는 이런 작업방법을 통해 친환경 가교 난연콤파운드가 비(比) 가교된 제품에 비해 특성이 증가되는 것을 입증할 수 있었다.

  • PDF

페암면 재생패널의 제조 및 특성

  • 조명호;강영구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Industrial Safety Conference
    • /
    • 2001.11a
    • /
    • pp.343-346
    • /
    • 2001
  • 경량 건축소재는 건축자재의 경량화, 고급화 및 다양화 등의 기능성 건축소재로의 역할을 요구하고 있으며 그 중 대표적인 것으로는 polyurethane foam이 있다. 일반적인 플라스틱 foam의 경량 건축소재는 난연성에 대한 문제점과 첨가제에 의한 중량 증가, 화재발생시 과다연기발생 등의 문제점이 있으며 저밀도 콘크리트 등의 무기소재는 flexibility가 떨어져 충격과 휭강도가 매우 낮은 단점을 가지고 있다./sup 1.2)/ 열경화성 수지인 polyurethane도 난연성과 강도에 대한 단점을 가지고 있어 sodium silicate 혼합에 의한 난연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나/sup 3)/ 국내 난연 3급의 규격에도 미치지 못하는 특성을 가지고 있다.(중략)

  • PDF

A Case Study on the Introduction to Fire Retardative Plastic Pallet (난연 플라스틱 파렛트의 도입에 관한 사례 연구)

  • Jeong, Ui-Su;Gang, Seong-U;Gang, Gyeong-Sik
    • Proceedings of the Safety Management and Science Conference
    • /
    • 2009.11a
    • /
    • pp.169-176
    • /
    • 2009
  • 2008년 1월과 12월의 경기도 이천시에서의 창고화재는 재산상의 피해보다도 방재대책이 허술함과 인명피해에 대하여 사회적인 문제가 제기되었으나 건축자재, 입고 화물이외에 화재하중 등을 가중시키는 플라스틱 파렛트에 대한 거론은 없었다. 그러나 일본의 소방청 소방연구소에서는 1995년의 자동화창고의 전소화재시 화재조사를 실시한 후 방재대책으로서 플라스틱 파렛트의 화재하중 경감, 발연량 및 유해가스감축을 위한 후속대책으로 난연 파렛트에 대한 연구를 수행하였다. 그 결과 수산화마그네슘 또는 적린과 수산화마그네슘을 난연제로 사용한 플라스틱 파렛트 난연화에 성공하였다. 본고에서는 시험시설 등의 연구환경의 한계로 일본의 연구사례를 조사하고 우리나라의 난연 플라스틱 파렛트 도입방안에 대해 살펴보기로 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