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난소암

검색결과 157건 처리시간 0.027초

함초 추출물의 세포사멸 유도에 의한 난소암세포에서 항암 효과 (Anti-cancer effects of Salicornia herbacea extract in OVCAR-3 cells by induction of apoptosis pathway)

  • 라유리;이유림;이동석;김수환;이형선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53권1호
    • /
    • pp.34-39
    • /
    • 2021
  • 본 연구에서는 천연유래 물질로부터 apoptosis를 유도하여 항암 활성이 있는지에 관한 실험으로 사람 난소암 세포주인 OVCAR-3 세포에 함초의 유기용매별 추출물을 처리하여 결과를 확인하였다. MTS 측정으로 세포 생존율을 확인한 결과 DCM 분획물에서 농도별로 유의적인 세포수의 감소를 보였으며, annexin V/FITC-PI 염색에 의해 apoptosis 유도로 세포가 사멸함을 확인하였다. DCM 분획물 처리는 세포주기에서 Sub-G1기의 증가로 세포증식이 억제됨을 보여준다. 세포의 내인성 경로에 관여하는 Bcl-2 family에 속하는 Bax, Bak, Bcl-2, Bcl-xL의 상호작용을 mRNA 수준에서 확인한 결과, DCM 분획물처리에서 Bax, Bak가 증가하고, Bcl-2의 감소를 동반하여 세포사멸의 신호전달 경로가 진행됨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함초를 이용하여 여성의 난소암에 예방적 기능성 식품을 개발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되며, 함초의 DCM 분획물에 대해 깊이 있는 심층적 연구가 요구된다.

쏘가리 (Siniperca scherzeri)의 초기 생식소 형성 및 성분화 (Early Gonadogenesis and Sex Differentiation of the Mandarin Fish Siniperca scherzeri)

  • 이윤아;이병민;최경철;박상용;방인철
    • 한국양식학회지
    • /
    • 제18권2호
    • /
    • pp.76-80
    • /
    • 2005
  • 쏘가리의 생리학적 성전환을 위한 기초적인 연구로 부화 직후(평균전장: 5.10 mm)부터 부화 후 130일째(평균전장: 103.16 mm)를 대상으로 초기 생식소 발달과 성분화를 조직학적으로 조사하였다. 초기 생식소 형성시기는 부화 직후에 중신관과 장사이의 장간막에 원시생식세포가 나타났으며, 부화 후 8일째(평균전장: 10.77 mm) 초기 생식소에서는 genital ridge를 형성하는 원시 생식소 구조를 나타내었다. 부화 후 40일째(평균전장: 29.75 mm)의 생식소는 암, 수로 분화가 이루어졌다. 부화 후 50일째 (평균전장: 35.36 mm) 난소에서는 초기난모세포들이 나타나기 시작하였으며, 또한 난소에는 난소를 특징지을 수 있는 entovarian sac의 구조가 난소 중앙부분에 나타났다. 부화 후 50일째 정소에서는 정소 소관의 수도 증가하고 정원세포의 수가 점진적으로 증가하였으며, 130일째 정소에서는 정원세포의 양적 증가를 확인할 수 있었다. 이상의 결과 본 종은 초기 성분화 과정에 자성 단계를 거치지 않고 정소와 난소로 분리되는 분화형 자웅이체였다.

새싹 잔대 잎과 뿌리의 항산화 및 항암 효과 (Antioxidant and anticancer activities of Adenophora triphylla leaf and root extracts)

  • 윤선영;김기현;현태경
    • Journal of Plant Biotechnology
    • /
    • 제50권
    • /
    • pp.137-141
    • /
    • 2023
  • 잔대(Adenophora triphylla var. japonica)의 뿌리는 비만, 암, 염증을 예방하는 데 사용되는 귀중한 약용 자원으로 사용되지만, 어린잎이나 순은 식재료로 사용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A. triphylla 뿌리와 잎에서 얻은 70% 에탄올 추출물의 항산화 및 항암 효과를 비교 평가하였다. 잎 추출물이 뿌리 추출물보다 강력한 DPPH-radical 소거 활성, 환원력 및 ORAC 값을 나타냈다. 또한, 인체 암세포주에서 잔대 추출물의 세포독성 사멸 효과를 조사한 결과, 잎 추출물이 A549 (폐암), LNcaP (전립선암), SKOV3 (난소암) 및 Caco-2 (대장암) 세포에서 강력한 항암 성분의 공급원임을 보여주었다. 이러한 결과는 뿌리뿐만 아니라 잎도 제약 산업에서 기능성 소재의 귀중한 공급원이 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

재발 난소암에서 자음강화탕 투여를 통한 Liposomal Doxorubicin, Carboplatin병합요법 부작용 경감 효과 (Reduction of Adverse Effects from Jayeumganghwa-tang for Pegylated Liposomal Doxorubicin and Carboplatin in Recurrent Ovarian Cancer)

  • 정창운;전선우;김한겸
    • 대한한방내과학회지
    • /
    • 제40권6호
    • /
    • pp.1278-1287
    • /
    • 2019
  • Objective: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report the effects of herbal medicine Jayeumganghwa-tang on reducing the major side effects of doxorubicin and carboplatin in the treatment of ovarian cancer. Methods: The clinical outcomes for a 61-year-old patient treated with Jayeumganghwa-tang for the side effects of doxorubicin and carboplatin combination were recorded by self-evaluation. Results: In the treatment of adverse events caused by chemotherapy, the administration of Jayeumganghwa-tang showed a tendency to reduce their incidence and severity. Conclusions: This study suggests that Jayeumganghwa-tang may be a promising treatment for reducing the side effects of chemotherapy in patients with ovarian cancer.

미세유동시스템 내에서의 입자의 위치제어 연구 (Control of the Motions of Particles in Microfluidic System)

  • 허윤석
    • 한국정밀공학회지
    • /
    • 제31권6호
    • /
    • pp.521-525
    • /
    • 2014
  • Circulating tumor cells (CTCs) in the bloodstream of cancer patients provide an accessible source for detection, characterization, and monitoring of nonhematological cancers. The effectiveness of the CTC-Chip for the isolation of ovarian cancer cells was demonstrated by adapting the herringbone-chip (HB-Chip). The motions of the particles on the HB chip were simulated by a unique combination of buoyant, gravitational forces, and helical flows with a computational modeling. The motions of cells are demonstrated by applying polystylene bead and ovarian cancer cells into the microfabricated HB-Chip. The experimental results from beads and cells are well accordance with the simulated ones, as previously reported by Toner group. Thus, I expect that these modeling and experimental skills will play key roles in the clinical applications on CTC isolation as well as the basic research on characterization of CTCs under flow.

바이오 마커와 질병 용어의 단어 표현 분석 (Word Representation Analysis of Bio-marker and Disease Word)

  • 윤영신;남경민;김유섭
    • 한국정보과학회 언어공학연구회:학술대회논문집(한글 및 한국어 정보처리)
    • /
    • 한국정보과학회언어공학연구회 2015년도 제27회 한글 및 한국어 정보처리 학술대회
    • /
    • pp.165-168
    • /
    • 2015
  • 기계학습 기반의 자연어처리 모듈에서 중요한 단계 중 하나는 모듈의 입력으로 단어를 표현하는 것이다. 벡터의 사이즈가 크고, 단어 간의 유사성의 개념이 존재하지 않는 One-hot 형태와 대조적으로 유사성을 표현하기 위해서 단어를 벡터로 표현하는 단어 표현 (word representation/embedding) 생성 작업은 자연어 처리 작업의 기계학습 모델의 성능을 개선하고, 몇몇 자연어 처리 분야의 모델에서 성능 향상을 보여 주어 많은 관심을 받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Word2Vec, CCA, 그리고 GloVe를 사용하여 106,552개의 PubMed의 바이오메디컬 논문의 요약으로 구축된 말뭉치 카테고리의 각 단어 표현 모델의 카테고리 분류 능력을 확인한다. 세부적으로 나눈 카테고리에는 질병의 이름, 질병 증상, 그리고 난소암 마커가 있다. 분류 능력을 확인하기 위해 t-SNE를 이용하여 2차원으로 단어 표현 결과를 맵핑하여 가시화 한다.

  • PDF

당귀 추출성분의 세포독성 효과와 Quinone Reductase 유도활성 효과 (Effects of Quinone Reductase Induction and Cytotoxicity of the Angelica radix Extracts)

  • 배송자;한은주;노승배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29권1호
    • /
    • pp.147-152
    • /
    • 2000
  • 예로부터 여러 가지 질병 치료를 위하여 민간 의약용으로 많이 쓰이고 또한 식품보존제로도 사용되어 온 우리 나라 전역에서 생산되는 약초류의 하나인 당귀를, 인간 간암 세포주 HepG2, 자궁경부암 세포주 HeLa, 유방암 세포주 MCF7 및 난소암 세포주 Sw626에 대한 당귀의 에탄올 추출물과 메탄올 및 헥산 분배층에 대한 세포독성 실험을 한 결과 HepG2의 경우 100\;\mu\textrm{g}/mL$의 농도를 첨가하였을 때 메탄올 및 헥산 분배층은 각각 99.8%, 에탄올 추출물은 72.1%의 암세포 성장 억제 효과를 나타내었다. 또한 자궁경부암 세포주인 HeLa에서는 각 추출물을 각 100\;\mu\textrm{g}/mL$첨가시 헥산 분배층에서 99.4%, 메탄올 분배층에서 99.3%, 에탄올 추출물의 경우 75.9%의 암세포 성장 억제 효과를 나타내었고, 유방암 세포인 MCF7에 대해서는 메탄올 분배층이 93.7%, 헥산 분배층이 81.9% 및 에탄올 추출물이 74.6%의 암세포 성장 억제 효과를 나타내었다. 난소암 세포인 SW626에 대해서는 헥산 분배층이 56.1% 및 에탄올 추출물의 경우 48.6%의 저해효과를 나타내어 상대적으로 세포독성효과가 미약하였다. 4종류의 인체 암세포주에 대한 당귀의 세포독성효과 즉 항암효과는 실험에 사용한 4종의 암세포 모두 메탄올 분배층에서 아주 강한 세포독성효과를 보여주었으며 HepG2와 HeLa 세포주에서는 헥산 분배층에서도 메탄올 분배층에서와 같이 강한 항암효과를 나타내었다. 한편 quinone reductase 효소활성을 탐색하기 위해서 HepG2 세포주를 이용하여 quinone reductase활성 유도 여부를 측정한 결과 각 추출물 시료를 50\;\mu\textrm{g}/mL$ 첨가시 당귀의 에탄올 추출물과 헥산 분배층이 QR효소활성을 유의적으로 증가시키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메탄올 추출물은 에탄올 및 헥산 분배층에 비해 비교적 그 효과가 미흡하였다. 본 실험연국려과에서 옛부터 약재, 식품 보존제로 이용되어온 당귀는 메탄올 및 헥산 분배층에서 인채암세포 4종에 대해 항암효과가 뚜렷하였고 HepG2 세포주에서는 에탄올과 헥산 분배층에서 암예방효과의 지표로 사용되는 quinone reductase 효소활성 유도효과가 아주 좋았으므로 보다 단계적인 물질의 분리 동정이 이루어져 향후 당귀를 이용한 기능성 식품 소재로서뿐 아니라 암예방 차원의 건강 천연물로서의 개발 및 응용성이 높을 것으로 기대된다.

  • PDF

유방암 세포(MCF-7) 이식 누드 마우스에서 육종용 열수 추출물의 항암 효과 평가 (Antitumor Effects of Cistanchis Herba Aqueous Extracts on MCF-7 Human Breast Cancer Cell-Xenograft Athymic Nude Mice, through Potent Immunomodulatory Activities)

  • 황현지;김동철
    • 대한한방부인과학회지
    • /
    • 제37권1호
    • /
    • pp.1-22
    • /
    • 2024
  • 목 적: 본 연구의 목적은 유방암 세포(MCF-7) 이식 누드 마우스 모델을 이용하여 육종용 열수 추출물의 면역활성 효과를 통한 항암 활성을 체계적으로 평가하는 것이다. 육종용 열수 추출물은 유방암 치료제로 자주 사용되는 대표적인 경구용 항암제인 tamoxifen 경구 투여군과 비교하여 분석 연구하였다. 방 법: 총 110마리의 6주령 암컷 누드 마우스를 준비하여, 7일간 적응 후 체중이 일정한 마우스를 선정하여 우측 둔부 피하부위에 MCF-7 세포를 이식하였다. 종양세포 이식을 한 지 20일 후, 종양 크기 및 체중을 기준으로 그룹 당 8마리씩 본 실험에 사용하였다. MCF-7 이종 이식 21일 후부터 매일 1회씩 35일간 육종용 열수 추출물을 10 ml/kg의 용량(400, 200 및 100 mg/kg)으로 경구 투여하였으며, tamoxifen 역시 10 ml/kg의 용량(20 mg/kg)으로 경구 투여하였고, 정상 및 종양 이식 매체 대조군에서는 멸균증류수만 종양 이식 21일 후부터 동일한 방법으로 35일간 경구 투여 하였다. 결 과: 본 실험의 결과, MCF-7 세포 이식을 함으로써 현저한 비장 및 하악하 림프절 무게, 혈중 IFN-γ의 함량, IL-1β 및 IL-10의 함량, 비장내 TNF-α, 비장세포 및 복강 대식구의 활성의 감소가 관찰되었고, 비장 및 하악하 림프절의 림프구 감소에 의한 조직병리학적 위축 또한 관찰되었다. 그리고 체중 및 증체량의 감소 역시 관찰되었으며, 혈중 IL-6 함량의 증가, 난소 주위의 지방 무게의 감소 및 조직병리학적으로 난소 주위의 축적 지방 조직 위축 현상이 인정되어, 종양 이식 후에 전형적인 종양과 관련된 면역억제와 악액질 현상이 유발된 것으로 판단되었다. 한편 육종용 열수 추출물 400, 200 및 100 mg/kg 경구 투여군에서는 종양 이식 대조군에 비해 유의성 있는 현저한 항암활성이 투여 용량 의존적으로 관찰되었다. 또한 tamoxifen 20 mg/kg 경구 투여군에서는 종양 관련 악액질 소견이 오히려 악화되는 반면, 육종용 열수 추출물 경구 투여군에서는 면역활성 및 악액질 억제 효과가 관찰되었다. 결 론: 본 연구 결과, 육종용 열수 추출물의 적절한 경구 투여는 심각한 부작용 없이, 종양 관련 악액질 소견을 포함하여, 효과적인 유방암 치료 수단을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녹용 추출물 투여가 콜다공증 유발 Rat 에 미치는 효과에 관한 연구 II. 녹용 추출물 투여가 골다공증 유발 Rat 의 체중, 골회분량, 대퇴 및 장기중량 및 조직상의 변화에 관한 연구 (Studies on the Effects of Antler Extract in Osteoporosis-Induced Rats II. Effect of Antler Extract on Body Weight It, Femur Weight It, Bone Ash Quantity, Organ Weight and Histological in Osteoporosis-Induced Rats)

  • Kim, S. K;Kim, S. W.;Kim, M. S.
    • 한국가축번식학회지
    • /
    • 제24권2호
    • /
    • pp.189-197
    • /
    • 2000
  • 본 연구는 골다공증유발 rat에 녹용추출물의 투여가 예방 및 치료효과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고자, 양측 난소를 적출한 후 골다공증이 유발된 rat에 암, 수녹용 추출물 525, 1,250 mg/kg을 투여했을 때 체중, 대퇴골의 중량, 장기중량, 골회분량의 측정 및 조직학적, 전자현미경적 검사 등을 실시하였다. 1. 골다공증유발 rat에 암, 수녹용 추출물을 투여했을 때 체중은 정상대조군에 비하여 유의한 증가를 나타냈다 (p<0.05). 2. 골다공증유발 rat에 암, 수녹용 추출물을 투여했을 때 우측, 좌측의 femur 중량은 정상대조군에 비하여 감소하였다. 3. 골다공증유발 rat에 암, 수녹용 추출물을 투여했을 때 골회분량은 정상대조군에 비하여 약간 감소된 치를 나타냈으나 유의성은 인정되지 않았다. 4. 골다공증유발 rat에 암, 수녹용 추출물을 투여했을 때 간과 비장 및 신장의 각각 정상대조군에 비하여 감소된 치를 나타냈다. 5. 골다공증유발 rat에 암, 수녹용 추출물을 투여했을 때 조직학적 및 전자현미경적 소견은 정상대조군에서는 소주골간의 연결이 비교적 잘 유지되어 있고 골소실을 발견할 수 없었으나 난소적출군은 정상군에 비하여 소주골이 가늘어졌거나 소주골간 연결부분의 대다수가 끊어져 골양이 많이 소실되었음이 관찰되었으며, 녹용처리군에서는 소주골의 형태가 굵고 연결부분이 잘 유지되어 정상군과 유사한 소견이 관찰되었다. 위의 결과들에서 암, 수녹용 추출액은 난소제거후의 골소설을 억제하므로 골다공증의 예방과 치료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 PDF

복강전이가 동반된 개 악성 난소암의 cisplatin 치료 (Intraperitoneal Cisplatin Chemotherapy in A Canine Ovarian Cancer with Peritoneal Metastasis)

  • 서경원;이종복;홍수지;오예인;이수형;윤화영;장구
    • 한국임상수의학회지
    • /
    • 제28권6호
    • /
    • pp.598-602
    • /
    • 2011
  • 네 살령의 암컷 시츄견이 복부 팽만으로 내원하여 조직검사 결과 cystic papillary adenocarcinoma로 진단되었으며, 복강 장간막으로의 전이도 확인되었다. 난소 자궁 적출술을 실시하고 1달 후, 복수를 제거한 후 cisplatin을 (50 $mg/m^2$)을 0.9% 생리식염수(250 $ml/m^2$)에 희석하여 복강내로 주입하였다. 치료기간 동안 3번의 재발이 있었으나, 임상증상의 개선이 매우 뚜렷하였으며, 특별한 부작용을 보이지 않고 진단 후 33개월 간 건강 상태를 유지할 수 있었다. 그러나 11번의 항암 치료 이후에 복수와 더불어 흉수가 병발하였고, 신부전증도 동반하였다. 수액요법과 대증치료의 일환으로 복강, 흉강 천자도 실시하였으나 개선을 보이지 않고 환자는 폐사하였다. 복강 내 cisplatin의 투여법은 난소종양으로 인한 악성 복수, 흉수를 치료하는데 효과적인 완화요법으로 쓰일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본 증례는 복강전이를 동반한 악성 난소 종양이 발생한 환자를 복강 내 cisplatin투여를 통해 효과적으로 치료한 한국에서의 첫 번째 보고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