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낙동층

Search Result 151, Processing Time 0.041 seconds

Evaluating groundwater-surface water interaction in riverside alluviums of the middle and low Nakdong River basin (낙동강 중.하류지역 하성충적층내의 지하수-지표수 연관성 평가)

  • Lee, Jeong-Hwan;Hamm, Se-Yeong;Cheong, Jae-Yeol;Kim, Gyoo-Bum;Ok, Soon-Il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0.05a
    • /
    • pp.179-183
    • /
    • 2010
  • 본 연구는 낙동강 중류 지역의 경북 구미시, 경북 왜관읍, 경북 성주군과 하류 지역의 경남 함안군, 창원시 북면과 대산면, 김해시 생림면의 하성충적층 내 지하수와 낙동강물의 연관성을 파악하였다. 중류와 하류지역에서 하성충적층의 주 대수층(모래자갈층)의 두께는 10m 내외로서 공간적으로 큰 차이를 보이지는 않는다. 하성충적층의 수리전도도는 $10^{-5}{\sim}10^{-3}$m/sec를 나타낸다. 하성충적층의 지하수위는 지역에 따라 해수면 기준으로 1.40~11.5m에서 변동하며, 지하수위와 낙동강 수위는 높은 상관성을 보인다. 지하수와 낙동강물의 화학분석 결과, 칼슘, 마그네슘, 나트륨, 칼륨, 염소, 규산, 중탄산, 망간, 철과 같은 무기성분의 농도는 지하수에서 더 높게 나타나고 있으나, 질산염의 농도는 낙동강물에서 더 높게 나타난다. 지하수내의 유기물질의 농도는 계절에 관계없이 비교적 일정하나, 낙동강물의 유기물질 농도는 우기보다 건기에 더 높은 경향성을 보이고 있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4대강 살리기 사업이나 하천주변지역의 수자원 개발에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 PDF

부산점토의 특성 : 조간대 퇴적층의 전기비저항

  • 김성욱;이현재;원지훈;류춘길;정성교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Soil and Groundwater Environment Conference
    • /
    • 2002.04a
    • /
    • pp.295-298
    • /
    • 2002
  • 낙동강 하구 제4기 홀로세 퇴적층에 대한 연구의 하나로 김해평야에 분포하는 점토퇴적층 (부산점토)을 대상으로 지구물리탐사를 실시하였다. 연구는 제한적인 몇 개의 지역에 대해 예비연구로 시행되었다. 그 결과 수직탐사에 의한 누적 전기비저항이 지층의 특성을 가장 잘 반영해 주었다. 점토층은 2.0~3.0$\Omega$ㆍm 이하의 전기비저항을 가지며 낙동강에 인접할수록 비저항의 크기는 다소 증가하였다. 이러한 방법은 상대적인 지층의 대비에 효과적으로 이용될 수 있을 것이며 객관성을 가지기 위해서는 지속적인 연구가 요구된다.

  • PDF

Study on Behavior of Salinity Wedge at Nakdong River Barrage (낙동강 하구둑 염수쐐기의 거동에 관한 연구)

  • Park, Sang-Kil;Kim, Do-Hun;Han, Chong-Soo;Jung, Sang-Woo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1.05a
    • /
    • pp.63-67
    • /
    • 2011
  • 본 연구에서는 낙동강 하구둑의 수문을 완전히 개방한 경우로 상정하여 외해로부터 염수가 하천의 상류방향으로 침입해 가는 과정을 수치모의하였다. 본 연구의 목적은 염분 침투현상에 대해 모델링 및 과거 관측한 자료를 이용하여 낙동강 하구둑 상류로 침투되는 염수쐐기의 거동을 규명함으로써 낙동강 하구둑 상류지역의 기수역을 확보하고자 하는 것이다. 수치모의를 수행한 결과, 대상 영역 내에서 염수가 하구부를 시작으로 낙동강 상류방향으로 활발하게 침입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각 경우의 결과로부터 밀도차에 의한 담수와 염수의 층 분할현상은 유입유량이 작을수록 더욱 강하게 나타나고 유입 유량이 클 경우 층분할 현상이 작아지며 좁은 영역에서 담수와 염수의 혼합이 이루어지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 PDF

Flow Forecasting using Neural Networks Model in Nakdong River Basin (신경망 모형을 이용한 낙동강 유역에서의 유량 예측)

  • Han, Kun-Yeun;Kim, Dong-Il;Son, Ah-Long;Kim, Ji-Eu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9.05a
    • /
    • pp.314-318
    • /
    • 2009
  • 본 연구의 목적은 강우-유출자료 및 댐 방류량 자료의 비선형적인 특정을 가장 잘 반영할 수 있는 신경망모형을 적용하여 수질정책의 기초자료를 제공하기 위하여 신뢰성 있는 유량자료를 산정하는 모형을 개발하였고 이를 낙동강 유역에 적용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서 낙동강물환경연구소의 8일 측정 유량이 가지는 정확성을 이용하면서 상류 댐의 일 방류량자료와 유역별 강우자료 및 국토해양부 수위관측소의 수위자료를 연계하여 유량을 보간할 수 있는 유량 보간 신경망 모형을 개발하였다. 신경망 모형의 출력값은 낙동강물환경 연구소에서 측정하지 않은 기간에 대하여 유량을 보간할 수 있도록 구성하였으며 신경망 모형의 구조는 입력층과 출력층 사이에 하나의 은닉층이 존재하는 다층 신경망으로 구성하였으며, 학습단계에서는 오류 역전파 알고리듬 학습방법 중 모멘텀법을 사용하였다. 본 연구를 통하여 낙동강 전 유역에 대하여 유량 보간 모형을 적용한 결과 댐 방류량과 강우자료 및 상류 수위 관측소의 유량 자료를 이용한 유량 보간 신경망모형의 일 유량결과의 적용가능성을 검증할 수 있으며, 제시된 모형은 지속적인 수문자료의 질적 향상과 유출패턴의 축적으로 그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을 것이며 또한 홍수기의 더 정확한 유량예측을 위한 적용사례의 확장 및 SWAT을 이용한 모형의 적용에 대한 연구가 병행되어야 할 것이다.

  • PDF

낙동강 함안군 칠서 강변여과 개발 예정지역의 수리지구화학적 특성조사

  • 김주환;백건하;김형수;김진삼;윤성택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Soil and Groundwater Environment Conference
    • /
    • 2003.09a
    • /
    • pp.561-564
    • /
    • 2003
  • 강변여과수 개발 예정지역인 함안군 칠서지역의 수질특성을 알아보기 위해 2003년 4월과 2003년 8월 2회에 걸쳐 강변여과수 양수정, 관측정, 주변지역 지하수 및 낙동강 원수 등 총 38개의 물시료를 채수하여 분석하였다. 용존 이온 분석 결과 연구 지역 지하수의 경우는 Ca-HCO$_3$ 유형 또는 Ca-Cl 유형에 속하며, 조사 지점에 따라 충적층 및 암반 지하수의 특징이 확연히 구분되었다. 조사된 지하수의 경우, 질산성질소와 철, 망간의 농도가 다른 성분에 비해 상대적으로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그 외의 중금속의 오염은 미미한 것으로 나타난다. 낙동강 원수의 경우 질산성 질소, 철, 망간은 지하수에 비해 낮은 것으로 나타났으나, 조류의 영향으로 매우 높은 pH 값을 보여주었다. 채수된 전체 시료의 분석 결과, 질산성질소(39.1%), 철(13%), 망간(39.1%)이 주로 먹는 물 수질기준을 초과하는 항목으로 나타났다.

  • PDF

Field experiments on a subsurface reservoir (지하 저수지 실증 연구)

  • Park, Namsik;Nam, Byunghee;Jung, Euntae;Kim, Hyejung;Lee, Seung-hwi;Ahn, Yeonghee;Park, Sung Hyuk;Lee, Seunghak;Yang, Jeong-Seok;Jeong, Woochang;Lee, Sang-Il;Hong, Seongho;Chung, Sang Yong;Lee, Chang Sup;Lee, Yeong Dong;Choi, Jin-O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9.05a
    • /
    • pp.8-8
    • /
    • 2019
  • 전 세계적으로 ASR, ASTR과 같은 인공함양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수자원을 확보하고 생산수의 수질 개선을 꾀할 수 있는 지하 저수지 기술을 개발하고 낙동강 하구의 염 대수층에 설치한 시험시설에서 검증하였다. 국내외 대 하천의 하구에는 상부에는 점토층이 발달해 있고 하부에는 대수층이 대규모로 발달해 있으나 염 지하수로 포화되어 있는 경우가 많다. 점토층은 오염된 지표수나 지표면에서 발생한 오염사고로부터 하부의 피압 대수층을 분리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따라서 피압 대수층은 기존의 지표수 수자원 또는 대체 수자원의 한계를 극복할 수 있는 좋은 수자원 확보 공간이 될 수 있다. 지하 저수지 실증 연구를 위하여 낙동강 하구의 피압 대수층에 주입정, 양수정과 관측정 등을 포함한 시험 시설을 설치하였다. 낙동강에서 취수한 지표수의 부유물을 제거하고 대수층에 주입하여 기존의 염 지하수를 밀어내고 렌즈 형태의 담수체 (지하 저수지)를 조성하였다. 양수정과 관측정을 통하여 조사된 지하 저수지는 원 지하수가 배제되었고, 하천수보다 수질이 개선되었음을 보였다. 본 고에서는 실증 연구에서 도출된 수자원 확보 및 수질 개선 성과를 제시하고자 한다. 지하 저수지는 공사 규모가 작고, 수몰지가 발생하지 않으며, 수요지 인근에 위치해 있어 지역 내 수자원 자급이 가능하고, 토지 이용도 자유롭다. 또한 평상 시에 연중 균일한 양질의 수자원 공급이 가능하고 가뭄, 지표수 오염 등 비상 시에도 장기간 안정적으로 청정 수자원 공급이 가능하다. 지하 저수지는 물 안보도 제고를 위한 취수원 다변화 차원에서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 PDF

Thermal Maturation and Diagenesis of the Gyeongsang Supergroup, Euiseong Area, SE Korea (의성지역 경상누층군의 열적진화와 속성작용)

  • Son Byeong-Kook;Cheong Tae-Jin;Oh lae-Ho;Kwak Young-Hoon
    • The Korean Journal of Petroleum Geology
    • /
    • v.2 no.2 s.3
    • /
    • pp.83-90
    • /
    • 1994
  • Thermal maturation and diagenesis of the Gyeongsang Supergroup in the Euiseong area are studied by means of organic geochemical techniques and illite crystallinity. Black mudrocks of the Singdong Group contain organic matter of $0.5{\~}2{\%}$ derived from higher plants, being compared to type Ⅲ. Thermal maturity of organic matter reached dry gas generation phase. Tmax by Rock Eval pyrolysis varies between $578^{\circ}C$ and $593^{\circ}C$ regardless of stratigraphic position and localities, and vitrinite reflectance is about 2.9 and $3{\~}4{\%}Ro$ in the Jinju and the Nagdong Formations, respectively. Vitrinite reflectance measurements indicate that the maturation is mainly due to burial and partly to be affected by post-depositional intrusions. Illite crystallinity values from the Nagdong, Hasandong, Jiniu Formations and part of the Iljig Formation are plotted around the boundary between diagenesis and anchizone, indicating dry gas generation stage. However, the values are not dependent on stratigraphic position. The values from the Iljig, Hupyeongdong, Geomgog, and Sagog Formations fall into the range of anchizone, probably resulted from the post-depositional intrusions which occur locally. Both organic geochemical and illite crystallinity data indicate thermal maturation stage of dry gas generation. Diagenesis of the Gyeongsang strata is mostly controlled by burial, and partly affected by post-depositional intrusions. Paleotemperature of the Sindong Group is estimated at around $200^{\circ}C$ on the basis of illite crystallinity.

  • PDF

Evaluation on Side Resistance of Drilled Shafts Constructed on Sandy Gravel and Gravel Layers in Nakdong River Estuary (낙동강 하구 모래 자갈 및 자갈층에 시공된 현장타설말뚝의 주면마찰력 평가)

  • Dong-Lo Choi;Tae-Hyung Kim;Byeong-Han Jeon;Jun-Seo Jeon;Chea-Min, Kim
    • Journal of the Korean Geosynthetics Society
    • /
    • v.22 no.3
    • /
    • pp.1-10
    • /
    • 2023
  • Recently, numerous structures have been constructed near the Nakdong river estuary, with pile foundations embedded in sand and gravel layers. In this study, the side resistance for six drilled shafts embedded in that region was evaluated based on the results of bi-directional and static axial compressive pile load tests. Subsequently, these results were compared with the side resistance calculated using domestic and foreign design codes such as FHWA (1999), KDS (2021), and AIJ (2004). Based on the test results, the evaluated side resistances ranged from 120 to 444kPa. However, the estimated values obtained from the design codes ranged from 69.3 to 170kPa, which were less than 50% of the evaluated values. It was observed that the empirical methods and correlations used in design codes provide a conservative estimation of the side resistance for drilled shafts embedded in sand and gravel layers. It implies that a suitable domestic approach should be developed to accurately estimate the side resistance of pile in sandy gravel and gravel layers near the Nakdong river estuary.

강변여과수 개발을 위한 낙동강 충적층 지하수의 지구화학적 특성연구

  • 김건영;고용권;배대석;김경수;김형수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Soil and Groundwater Environment Conference
    • /
    • 2002.09a
    • /
    • pp.339-342
    • /
    • 2002
  • 지하수의 인공함양특성을 해석하기 위한 기초조사로서 대구 낙동강변의 강변여과수 개발지역인 충적층내에 부존하는 자연수의 지구화학적 특성을 살펴보았다. 특히 관측공 중 한 공에는 다중패커시스템 (Multi-packer system)을 설치하여 보다 체계적인 심도별 변화를 살펴보았다. 전체적으로 시추공 및 지표수에 대한 현장측정자료는 시기별로 큰 차이를 보이지 않지만 EC값의 경우 장기양수시험이 시작된 시기부터 급격히 낮아지는 경향을 보인다. 연구지역의 자연수는 Ca-HCO$_3$형에서부터 Ca-SO$_4$형에 속하며 특히 미량원소로서 Mn의 함량이 매우 높게 나타나고 있다. 인위적 오염의 지표인 NO$_3$함량은 현재 양수정에서 ~10mg/L 정도의 함량을 보이고 있으며 이밖에 다중패커가 설치된 관측공의 경우 최상부 (6m)에서 ~40mg/L의 높은 함량을 보여준다. 다중패커시스템에 의해 채취된 시료에 대해 심도에 따른 변화를 살려보면 Na, Ca, Mg, HCO$_3$의 함량이 심도에 따라 증가하고 있고, 음이온 중 Cl과 SO$_4$의 경우는 맨 하부구간일 18m에서 채취된 시료들이 시료채취시기와 관계없이 매우 낮은 값을 보인다. 미량원소의 경우 문제가 되는 Mn은 시료채취시기와 관계없이 중간구간인 13.5m구간에서 특히 많은 함량을 보이고 있다. 따라서 강변 여과수로 개발하기 위한 장기양수시험에 있어서 높은 Mn 및 NO$_3$함량에 대한 보다 체계적인 연구와 충적층을 구성하고 있는 모래층, 자갈층, 암반층에 대한 추가 연구가 필요한 것으로 판단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