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낙동강 합류부

Search Result 69, Processing Time 0.029 seconds

Construction of Flood Routing Model in Milyang River using HEC-RAS Model (HEC-RAS 모형을 이용한 밀양강 홍수추적모형 구축)

  • Kim, Sang Ho;Kim, Ji Sung;Kim, Won;Choi, Kyu Hyu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5.05a
    • /
    • pp.340-340
    • /
    • 2015
  • 기상이변에 따른 강우강도의 증가는 국지성 집중호우로 나타나게 되고, 이러한 강우양상은 하천에서의 홍수위 증가로 나타나 여러 가지 하천재해가 발생하게 된다. 본 연구에서는 대하천으로 유입되는 지류 합류부에서의 수리학적 특성을 살펴보기 위한 사전 연구로 비교적 규모가 큰 지류하천에 대한 부정류 모의를 수행할 수 있는 홍수추적모형을 구축하였다. 대상 하천은 지류 내 하도가 루프의 형태를 띠고 있는 밀양강을 대상으로 선정하였다. 낙동강의 제1지류인 밀양강에서 낙동강 합류부로부터 30.74 km 상류에 위치한 밀양강의 상동수위관측소를 상류단으로 선정하고 낙동강과 합류하는 밀양강 하류단을 대상구간으로 선정하였다. 상류 경계단인 상동수위관측소에서 측정된 수위자료는 유량자료로 환산하여 상류단 경계조건으로 사용하였으며, 하류단 경계조건은 낙동강 본류의 수산교 수위관측소와 삼랑진 수위관측소에서 측정된 수위자료를 밀양강 합류부까지의 거리 보정을 통해 밀양강 하류단의 수위자료로 사용하였다. 그림 1은 밀양강의 상동수위관측소에서부터 낙동강 합류부까지 구간에 대한 모식도를 나타내고 있으며, 그림 2는 밀양1 지점에 대한 모의결과를 나타내고 있다. 단장천 유입 이후 밀양강 본류가 두 개의 루프형으로 분류되었다가 다시 합류하는 하도의 형태를 가지고 있어 보다 복잡한 검증과정이 요구되었다. 본 연구에서 구축된 밀양강에 대한 수리학적 해석모형은 지류 합류부에서의 배수영향에 의한 수리특성을 분석하는데 활용될 것이다.

  • PDF

Analysis on Mixing Behavior using Tracer at River Confluence (남강합류부에서의 추적자를 이용한 혼합거동 분석)

  • Han, Eun Jin;Kim, Young Do;Lyu, Siwan;Kim, Dong Su;Cho, Kwang Seok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8.05a
    • /
    • pp.46-46
    • /
    • 2018
  • 남강은 낙동강 유역의 중하류에 위치하고 있으며, 낙동강에 우안으로 합류되는 제 1지류이다. 낙동강 본류 하천의 지류하천이지만 국가하천이며, 비교적 큰 유량을 가지고 있다. 낙동강은 본류를 취수원을 이용하고 있어, 남강과 같이 지류 하천유입 이후의 낙동강 본류에 거동이 중요하다. 취수 원수는 정수처리과정에서도 우선적으로 고려해야 하는 인자이다. 따라서 남강이 합류되는 합류에서의 혼합거동은 중요하다. 혼합거동을 보고자 추적자 실험을 수행하였다. 추적자 실험은 공간적으로는 남강과 낙동강의 합류점 부근을 선택하였고, 시간적으로는 계절별, 보 운영 시기별로 실험하였다. 또한 합류부 주변에서의 유량측정과 자연추적자의 농도 측정으로 수행하였다. 낙동강과 남강은 대하천이므로 유량측정을 ADCP(Acoustic Doppler current profiler)을 활용하였으며, 추적자의 농도 추적은 센서를 통해 현장 측정하였다. 또한 영상분석을 하고자 드론도 활용하였다. 추적자 실험 분석을 유량과 추적자 농도 분산 정도를 분석하였다. 이를 활용하여 지류하천인 남강의 합류이후 낙동강 본류의 거동을 분석하였다. 분석한 결과를 바탕으로 남강의 유량시기별 혼합거동은 달라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드론을 활용한 분석도 혼합거동에서 적용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추적자 실험을 통해 취수 원수의 특성을 분석할 수 있었다. 향후 유량 변화의 따른 남강합류후 낙동강의 혼합거동의 기초자료 자료 활용 될 것으로 판단된다. 또한 취수원수의 특성을 위한 유량별 다기능보 운영 시기별 혼합거동 분석을 위한 추가 실험이 필요할 것 판단된다.

  • PDF

An investigation of effect of density difference on mixing at confluence channel in the Nakdong River (낙동강 합류부에서 밀도차가 수체 혼합에 미치는 영향 분석)

  • Lee, Minjae;Park, Yong Sung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2.05a
    • /
    • pp.94-94
    • /
    • 2022
  • 본류와 지류가 만나는 하천 합류부에서 발생하는 복잡한 흐름 구조는 하상변동에 영향을 주며, 본류와 다른 특성을 보이는 지류의 유입은 수질과 수생태계에도 영향을 준다. 합류부는 하천 변화의 다양성을 보이기 때문에 하천 관리 측면에서 중요한 구간으로, 흐름 및 혼합 특성 이해가 중요하다. 합류부에서의 흐름 및 혼합은 본류와 지류의 유량비, 밀도차, 단차, 합류각, 하도형상 등의 영향으로 그 양상이 달라지며, 흐름장 및 두 수체에 의한 이송물질의 혼합이 이루어졌다고 간주하는 혼합거리는 지류가 본류에 미치는 영향 범위 분석을 위한 중요한 매개변수이다. 본 연구에서는 합류부 흐름에 미치는 주요 인자 중 유량비와 밀도차가 합류부 흐름 및 혼합에 미치는 영향을 수치해석을 통해 분석하고, 조건의 변화에 따른 혼합거리를 예측해 보고자 한다. 본 연구의 대상 지역인 낙동강-황강 합류부는 다기능보와 댐의 운영에 따라 유입 유량 및 유량비가 조절되며, 여름철에는 황강의 수온이 낙동강보다 평균 4℃ 이상 낮으며, 9℃(지류 20℃; 본류 29℃) 이상의 수온차가 발생하기도 한다. 이 경우 밀도비는 0.998로 밀도류가 발생할 수 있는데, 밀도류가 발생할 경우 수표면과 저층이 분리되어 흐르기 때문에 동일 유량 조건에서도 혼합 양상은 달라진다. 밀도류가 발생하기 위해서는 수표면과 저층이 분리되는 성층이 발달해야 하는데, 이는 유속 또는 유량의 범위에 따라 성층의 발달 여부가 달라질 수 있다. 이러한 현장 조건을 반영한 수치해석을 통해 다양한 유량 조건(유량비)에서 밀도의 차이(수온차)가 합류부의 흐름 및 혼합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해 보고자 하며, 합류부에서 밀도차에 의한 흐름의 변화 조건을 무차원수(Richardson number, Densimetric Froude number 등)를 통해 정량화해보고자 한다. 이는 지류가 본류에 미치는 영향의 정도와 범위를 파악함으로써 하천 관리를 위한 관측망 및 현장 조사의 범위 선정의 기초자료 마련뿐 아니라 본류의 수온 변화가 발생할 수 있는 범위의 파악을 통해 수생태계에 미치는 영향 파악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PDF

Dynamic Equilibrium Position Prediction Model for the Confluence Area of Nakdong River (낙동강 합류부 삼각주의 동적 평형 위치 예측 모델: 감천-낙동강 합류점 중심 분석 연구)

  • Minsik Kim;Haein Shin;Wook-Hyun Nahm;Wonsuck Kim
    • Economic and Environmental Geology
    • /
    • v.56 no.4
    • /
    • pp.435-445
    • /
    • 2023
  • A delta is a depositional landform that is formed when sediment transported by a river is deposited in a relatively low-energy environment, such as a lake, sea, or a main channel. Among these, a delta formed at the confluence of rivers has a great importance in river management and research because it has a significant impact on the hydraulic and sedimentological characteristics of the river. Recently, the equilibrium state of the confluence area has been disrupted by large-scale dredging and construction of levees in the Nakdong River. However, due to the natural recovery of the river, the confluence area is returning to its pre-dredging natural state through ongoing sedimentation. The time-series data show that the confluence delta has been steadily growing since the dredging, but once it reaches a certain size, it repeats growth and retreat, and the overall size does not change significantly. In this study, we developed a model to explain the sedimentation-erosion processes in the confluence area based on the assumption that the confluence delta reaches a dynamic equilibrium. The model is based on two fundamental principles: sedimentation due to supply from the tributary and erosion due to the main channel. The erosion coefficient that represents the Nakdong River confluence areas, was obtained using data from the tributaries of the Nakdong River. Sensitivity analyses were conducted using the developed model to understand how the confluence delta responds to changes in the sediment and water discharges of the tributary and the main channel, respectively. We then used annual average discharge of the Nakdong River's tributaries to predict the dynamic equilibrium positions of the confluence deltas. Finally, we conducted a simulation experiment on the development of the Gamcheon-Nakdong River delta using recorded daily discharge. The results showed that even though it is a simple model, it accurately predicted the dynamic equilibrium positions of the confluence deltas in the Nakdong River, including the areas where the delta had not formed, and those where the delta had already formed and predicted the trend of the response of the Gamcheon-Nakdong River delta. However, the actual retreat in the Gamcheon-Nakdong River delta was not captured fully due to errors and limitations in the simplification process. The insights through this study provide basic information on the sediment supply of the Nakdong River through the confluence areas, which can be implemented as a basic model for river maintenance and management.

Estimation of Transverse Dispersion Coefficients Using Experimental and Numerical Method in River (자연하천에서 추적자 실험 및 수치모의를 통한 횡분산 계수 산정)

  • Seo, Il Won;Jung, Sung Hyu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7.05a
    • /
    • pp.74-74
    • /
    • 2017
  • 자연하천에서 수자원의 원활하고 안전한 관리에 있어서 오염물의 혼합 거동에 대한 이해는 매우 중요하다. 대부분의 자연하천의 경우 만곡부 및 합류부와 같은 복잡한 지형을 갖고 있으며 이러한 경우 하천의 흐름이 복잡한 형태를 갖게 된다. 특히 수생태계에 많은 영향을 미치는 하폐수 처리장 처리수는 대부분 1차적으로 지류로 방류되어 이후 본류로 지속적으로 유입되게 된다. 이러한 오염물질이 지류로부터 본류로 혼합되는 합류부 구간의 경우 일반적인 1차원 혼합이 아닌 횡방향을 포함하는 2차원적인 혼합 거동에 대한 분석이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금호강과 진천천이 좌안으로부터 오염물질이 지속적으로 유입되는 낙동강 중류구간 합류부에서의 혼합 구간의 연구를 위하여 횡분산계수 산정을 위하여 전기전도도(electrical conductivity: EC)를 이용한 농도 추적 실험을 수행하였다. 낙동강 본류에서 정해진 측선을 따라 센서가 설치된 보트를 이용하여 실시간으로 농도, 수리량 데이터를 GPS 위치 데이터와 함께 취득하였다. 또한 실험으로부터 취득한 자료를 바탕으로 2차원 이송-확산 혼합 거동 모델인 CTM-2D 수치모형을 이용하여 모의하였다. 실험 수행 결과, 지류인 금호강과 진천천의 EC 농도가 합류 전 낙동강 본류의 EC 기저농도 보다 더 높은 값을 나타내었다. 지류의 유입으로 인하여 본류 좌안 쪽에서 전기전도도의 값의 상승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하류로 이동할수록 불균등했던 전기전도도의 분포가 횡방향 혼합을 통하여 점점 균등한 분포로 전환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2차원 혼합 거동 분석에 필요한 횡 분산계수 산정을 위해 모멘트법, 해석해를 이용한 추적법, 수치모형을 통한 역산법을 통해 산정하여 결과를 비교하였다. 그 결과 모멘트법의 경우 다른 방법들에 비하여 전반적으로 과소 산정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 PDF

Hydraulic mixing characteristics at a large-scale confluence of Nakdong and Nam River (낙동강 - 남강 합류부 대하천 규모 수리학적 혼합특성 연구)

  • Choi, Suin;Kim, Dongsu;Kim, Youngdo;Lyu, Siwan
    • Journal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 /
    • v.56 no.spc1
    • /
    • pp.1015-1026
    • /
    • 2023
  • The confluence of rivers, where rivers meet, is a place known for complex water mixing dynamics. Sometimes, these rivers flow downstream without mixing. While this non-mixing can pose challenges for water quality management, it also offers the potential for improved water extraction in nearby water intakes (Chilseo). In this study, we analyzed the mixing dynamics at the confluence of the Nakdong River and the Nam River using drone imagery, water quality indicators like Electrical Conductivity, and hydraulic factor Secondary Flow. We found that meandering effects hindered mixing, as shown by the comparison of Secondary Flow and Electrical Conductivity distributions. Additionally, the Chilseo Water Purification Plant downstream of the Nakdong River-Nam River confluence extracted unmixed Nam River water during certain periods.

The 2D Finite Element Analysis in Nakdong-Kumho River Junction using GIS (GIS를 이용한 낙동강-금호강 합류부의 2차원 유한요소해석)

  • Hwang, Jae-Hong;Han, Kun-Yeun;Nam, Ki-Young;Choi, Seung-Yong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Information Studies
    • /
    • v.12 no.3
    • /
    • pp.21-34
    • /
    • 2009
  • Usually in flood flow problems, one-dimensional approach does not provide the required details of complex flow phenomena such as the flow in braided rivers and river junction. In this study, two-dimensional finite element mesh is constructed using DEM and GIS tool, and applied to RMA-2model.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applicability of the two dimensional model in natural rivers and to analyze characteristics of river flow due to the change of cross section. For model calibration, the result of unsteady flow analysis was compared with the observed data. Accordingly, the SMS model in this study prove to be very effective and reliable tool for the simulation of hydrodynamic characteristics under the various flow conditions.

  • PDF

Fluvial mixing characteristics in large scale confluence between Nam and Nakdong River (남강-낙동강 합류부 대하천 규모 수리학적 혼합특성 연구)

  • Choi, Suin;Kim, Dongsu;Son, Geunsoo;Kim, Youngdo;Lyu, Siwa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2.05a
    • /
    • pp.264-264
    • /
    • 2022
  • 하천의 합류부는 두 개 이상의 하천이 하나로 합쳐지는 구간으로 서로 다른 특성으로 인해 급격한 흐름의 변화와 수리학적 지형변화가 발생하는 구간이다. 하천의 합류부에서는 유체의 물리화학적인 특성과 흐름 구조의 변화가 발생할 수 있다. 흐름 구조의 변화로 인한 유사 이송으로 세굴과 같은 지형적인 변화가 발생할 수 있다. 합류부의 혼합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류와 지류의 다양한 유입조건에 따른 공간적인 패턴을 분석하는 것이 중요하다. 그러나, 대부분의 합류부 연구들은 실측에 기반한 공간적인 패턴 분석의 어려움으로 인해 실내실험 또는 수치모형에 의존하여 연구가 수행되어, 실측자료에 기반한 공간적인 수체혼합의 분석은 매우 제한적이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하천 합류부의 혼합 현상을 규명하는 인자로 흐름 방향 유속, 2차류와 수심 등 기본적인 수리학적 인자들 외에 연직, 수평 방향으로 측정한 수질 자료와 드론 영상을 활용하여 합류부의 혼합 특성을 해석하고자 하였다. 수질 자료 중 하천의 혼합을 가장 잘 확인할 수 있는 인자로써 전기전도도와 온도를 활용하였다. SonTek ADCP를 이동식으로 횡단하여 측정해 흐름 방향 유속과 2차류, 수심을 확인하였다. ADCP를 운용함과 동시에 YSI의 수질센서를 활용하여 연직, 수평 방향으로의 전기전도도와 온도의 분포를 확인하였다. 또한, 합류부의 2차원 공간적인 분포를 확인하기 위해 드론 영상을 촬영하였다. ADCP, YSI, 드론의 계측자료는 한국의 낙동강과 남강 합류부에서 측정되었고, 분석 결과 계측장비 간의 경향성이 일치하였다. 또한, 이전에 진행된 해외의 합류부 연구 결과와 유사한 결과가 관측되었으나, 일부 부분에서는 다른 결과를 보였다.

  • PDF

Analysis on Mixing Patterns in the confluence of Nakdong and Hwang River with Hydrodynamic and Water Quality Perspective (황강 합류부의 수리 및 수질 수체 혼합 패턴 분석)

  • Son, Geunsoo;Kim, Dongsu;Kim, Young Do;Lyu, Siwan;Kwak, Sunghyu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0.06a
    • /
    • pp.46-46
    • /
    • 2020
  • 하천의 합류부는 지류와 본류가 만나 수리 및 수질 특성이 변화하는 구간으로 매우 중요한 지점이다. 따라서, 최근에는 ADCP와 같은 측정장비를 활용하여 실제하천을 대상으로 합류부의 수리학적 혼합거동을 분석하는 많은 연구들이 수행되고 있다. 하지만 기존의 연구들은 대부분 중소하천 규모의 합류부를 대상으로 연구가 수행되었고, 유속이 존재하는 하천을 대상으로 연구가 수행되었다. 그리고 기존의 연구들은 대부분 수리특성을 활용하여 합류부의 지형학적 특성을 함께 고려한 연구가 대부분 수행되어 합류부의 수질적인 혼합거동을 분석한 사례는 매우 드물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낙동강과 황강합류부에서 ADCP와 YSI를 활용하여 본류의 유량이 지류에 비해 매우 크고 저유속인 대하천에 유입되는 지류를 대상으로 수리·수질 특성을 기반으로 혼합 패턴을 분석하였다. 수리특성 분석을 위해 ADCP를 활용하여 수심평균유속분포, 2차류를 분석하였고, 수질특성을 분석하기 위해 YSI의 전기전도도(EC)를 수질인자로 활용하여 합류부의 혼합 거동을 분석하였다. YSI 장비는 보트에 장착하여 단면 혹은 수심방향으로 이동식으로 적용하였고, 공간위치는 동시에 운용된 ADCP의 GPS자료와 연동하였다. 분석결과, 기존의 ADCP의 유속측정 결과로는 본 연구대상과 같은 저유속 대하천에서 공간적 혼합 거동을 포착하는데 한계가 나타났다. 반면에, 수질인자(EC)를 연계하여 합류부 수질의 공간분포를 나타낼 경우 본 대상인 황강-낙동강 합류부와 같은 평수기 저유속 대하천의 혼합거동을 포착 및 분석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대하천의 저유속인 합류부의 혼합 거동 분석은 유속분포와 같은 수리특성과 함께 수질인자(EC)를 연계한 분석을 통할 경우 혼합 거동의 분석이 용이해짐을 확인할 수 있었다.

  • PDF

Field Measurement of Suspended Material Distribution at the River Confluence (하천 합류부에서의 부유입자 분포에 대한 현장측정)

  • Kwak, Sunghyun;Lee, Kyungsu;Cho, Hanil;Seo, Yongjae;Lyu, Siwan
    • KSCE Journal of Civil and Environmental Engineering Research
    • /
    • v.37 no.2
    • /
    • pp.467-474
    • /
    • 2017
  • Each river confluence has the inherent hydraulic and mixing characteristics coming from its bathymetry and topography. It is necessary to make the measurement covering the spatial extent of studying area in order to catch these 2-dimensional intrinsic characteristics. This study focuses to investigate the hydraulic and mixing characteristics at the confluence of Nakdong and Geumho River, from field measurement of flow, water quality, and suspended particle distribution with ADCP (Riversurveyor M9), multi-parameter water quality sonde (YSI6600V2), and submersible system for in-situ observations of particle size distribution and volume concentration (LISST : Laser In-Situ Scattering & Transmissometry), respectively. From the results, it can be found that the field measurement of suspended particle and water quality distribution can be the useful approach to catch the hydraulic and mixing characteristics at a river confluenc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