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나이추정

Search Result 149, Processing Time 0.048 seconds

Automatic Bone Age Estimation Based on Carpal-bone Image (Carpal Bone 영상을 이용한 자동 뼈 나이 측정)

  • 박성미;김진철;임옥현;이배호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04.10b
    • /
    • pp.808-810
    • /
    • 2004
  • 왜소증 조기진단을 위한 왼쪽 손의 방사선 영상을 통한 방법은 일반적으로 나이와 성별에 따른 방사선 영상들과 비교하여 의사가 직접 눈으로 비슷한 영상을 찾아 뼈 나이를 추정한다. 하지만 나이, 성별, 민족 등 여러 요인에 따라서 측정결과가 달라질 수 있고 각 나라별로 독자적인 기준이 필요하므로 본 논문에서는 한국인의 Carpal bone 분석과 이에 따른 Computerized Bone Age System을 제안한다. 뼈 나이 측정을 위해 6개의 연골을 측정하고, 분석할 6개의 연골 ROI(Region of Interest)를 찾기 위하여 연골들의 에지를 검출하였다. 영상의 에지를 검출하기 위하여 DoG (Difference of Gaussian) Filtering을 사용하였으며, Carpal Bone을 분석한 뒤 2차원 특징들로 ㅂW 나이 추정에 대한 진단의 정확도를 확인 할 수 있었다.

  • PDF

Age and Radial Growth Patterns of a Lace-bark Pine (Pinus bungeana), the Natural Monument NO. 4 of Korea (천연기념물 제4호 통의동 백송의 나이와 직경생장 유형)

  • 김은식
    • The Korean Journal of Ecology
    • /
    • v.26 no.1
    • /
    • pp.34-38
    • /
    • 2003
  • An analysis of tree ring series of a lace-bark pine (Pinus bungeana Zuccarini) was carried out to find out the exact age of the tree, to describe life history of the tree affected by the change of past environmental factors, and to explain the relationships between the growth fluctuation of the tree and the change of environmental factors of the past. This study explicitly showed that the tree was about 300 years old in 1992 and that the previous estimate of the age to be about 630 years old has no ground to be justified. This was also ascertained by the close correspondence of the tree growth fluctuation to the fluctuation of soil moisture related environmental factors for the last 80 years in Seoul. Although it is clear that the tree suffered from slow growth for about 30 years initiating from the 1910s, it is not sure whether the soil moisture deficits or droughts during the years of 1910-1913 played a major role in causing the decline of the trees afterwards. Discussion was further extended for defining active roles for the Cultural Properties Administration of Korea in management and research to effectively protect the Old and Big Trees under the category of Natural Monument of Korea.

Analysis of deep learning-based gender and age estimation techniques and services (딥러닝 기반 성별 및 나이 추정 기법과 서비스 분석)

  • Yang-Eun Kim;Yoo-joo Choi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23.05a
    • /
    • pp.711-713
    • /
    • 2023
  • 딥러닝 기반 성별 및 연령 추정은 현재 다양한 응용분야에 적용하기 위하여 활발히 연구되어 왔다. 최근 몇몇 기업에서는 개인정보 보호의 문제로 성별 추정 서비스를 중단하고 있기는 하나, 사용자 및 관람객의 특성 분석등을 위하여 그 필요성이 계속하여 대두되고 있는 상황이다. 본 논문은 기존에 성별 및 나이 추정을 위한 유료서비스에 대한 특성과 사용 문제점 등을 세분화하여 조사하고 성별 및 연령 추정 기반 기존 연구들의 특성을 분석한다. 추후 이 서비스를 기반으로 전시 · 컨벤션 산업에서의 관심도 분석 및 재방문 의사를 파악하는데 활용하고자 한다.

Analysis of Prework Trip-Making and Modal Choice (통근통행 이전의 비통근통행 발생여부와 교통수단 선택행태 분석)

  • 윤대식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Transportation
    • /
    • v.17 no.5
    • /
    • pp.57-65
    • /
    • 1999
  • 본 연구에서는 지금가지 통근통행자의 활동참여 분석(activity Participation analysis)이 주로 일과후 활동참여(postwork activity participation)에 초점이 주어졌다는 점을 감안하여 일과전 활동참여(preworkactivity Participation)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이러한 연구배경하에서 본 연구는 통근통행자의 통근통행 이전의 비 통근통행 발생여부와 교통수단 선택의 행태를 네스티드 로짓모형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는 모형의 경험적 추정을 위해 1995년 미국 Nationwide Personal Transportation Survey (NPTS)의 일부분으로 수집된 뉴욕 대도시지역의 설문조사자료를 이용하였으며, 추정된 경험적 모형을 바탕으로 의미 있는 결과를 논의하였다. 본 연구에서 추정된 통근통행 이전의 비 통근통행 발생여부와 교통수단 선택의 네스티드 로짓모형은 통계적 측면이나 행태적 측면에서 볼 때 대체로 타당한 분석결과를 보여준다. 교통수단 선택모형(조건부 모형)의 추정결과를 보면 나이, 운전면허 소지여부, 가구내 차량보유대수, 가구내 직장인수, 연간 가구소득, 교통수단의 통행시간이 통근통행자의 교통수단 선택에 의미 있는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한편 통근통행 이전의 비통근통행 발생여부 선택모형(한계모형)의 추정결과를 보면 나이 성별, 가구내 차량보유대수, 가구의 생애주기가 통근통행자의 비 통근통행 발생여부에 의미 있는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본 연구로부터의 중요한 발견은 추정된 네스티드 로짓모형의 inclusive value의 추정계수값을 살펴봄으로써 가능한데, 모형의 경험적 추정결과는 본 연구에서 가설화된 네스티드 로짓모형구조의 타당성을 입증시켜 준다. 아울러 직장인의 교통수단 선택은 통근통행 이전의 비 통근통행 발생여부의 선택과 밀접한 관련을 가지면서 이루어진다는 사실을 확인할 수 있었다.

  • PDF

젊은 산개성단 NGC 6231의 초기질량함수와 질량분리의 양상

  • Seong, Hwan-Gyeong
    • The Bulletin of The Korean Astronomical Society
    • /
    • v.37 no.1
    • /
    • pp.60.2-60.2
    • /
    • 2012
  • Sco OB1의 핵심성단 NGC 6231를 호주 Siding Spring 천문대 1m 망원경을 사용하여 -40'${\times}$40' 영역을 관측하였다. 측광자료를 바탕으로 성단의 반경, 성간소광 법칙, 나이 및 초기질량함수를 결정하였다. 성단의 반지름은 구성원의 질량에 상관없이 거의 10' ($R{\approx}4.6pc$)으로 동일한 값을 보였다. 전체적으로는 정상적인 성간소광 법칙을 따르지만, 성단의 중심으로 갈수로 큰 $R_V$를 보여주며, 이는 과거에 있었을 것으로 추정되는 초신성의 효과로 추정된다. 질량이 큰 별과 X-선으로 선택된 성단의 전주계열성은 비슷한 평균나이를 보이지만 전주계열성은 훨씬 큰 나이분산을 보였다. 성단전체 초기질량함수의 기울기는 Salpeter 초기질량함수의 기울기와 매우 유사한 ${\Gamma}$=-1.1${\pm}$0.1을 보였으며, 성단 중심거리에 따른 초기질량함수의 기울기는 -1.0${\pm}$0.2에서 -1.8${\pm}$0.5까지 체계적으로 변화를 하였다. 질량이 큰 O형 별의 쌍성비율이 중심거리에 따른 변화를 보이지 않음에 비추어 볼 때, NGC 6231의 질량분리 양상은 역학적 진화의 결과가 아니라 원초적 질량분리현상으로 결론을 내릴 수 있다.

  • PDF

구상성단 M53과 M92의 상대 나이 비교

  • Jo, Dong-Hwan;Seong, Hyeon-Il;Lee, Sang-Gak
    • The Bulletin of The Korean Astronomical Society
    • /
    • v.36 no.2
    • /
    • pp.143.2-143.2
    • /
    • 2011
  • 보현산천문대 1.8 m 망원경과 2K CCD를 이용하여 2002년 4월과 2003년 5월에 중원소 함량이 아주 적은 구상성단 M53(NGC 5024)과 M92(NGC 6341)에 대하여 BVI CCD 측광관측을 수행하였다. 구상성단 M53과 M92의 정밀한 상대 나이 측정을 위하여 M53의 측광관측 자료에 대해 조동환과 이상각이 2007년 출간한 구상성단 M15(NGC 7078)와 M92를 대상으로 수행한 측광연구 논문에서 M92의 측광관측 자료를 분석할 때 적용한 꼭 같은 방식으로 전처리, PSF 측광, 표준화 등의 자료 분석을 수행하였다. 그리고 구상성단 M53의 V 대 BV, V 대 V-I, 그리고 V 대 B-I 색-등급도를 제시하였다. 구상성단 M53과 M92의 상대 나 이는 ${\Delta}$(B-V) 방법을 이용하여 도출하였다. 구상성단 M53과 M92 사이의 상대 나이 비교에서 M92의 절대 나이를 14 Gyr로 취할 경우 M53의 상대 나이가 M92의 상대 나이보다 $1.1-2.6{\pm}0.9$ Gyr 적은 것으로 유도하였다. 구상성단 M53과 M92의 이 상대 나이 차이는 M53과 M92의 약간 다른 수평계열 형태 차이를 유발했을 것으로 추정한다.

  • PDF

통계해석에 의한 정수 중 저항추진성능 추정

  • 김은찬
    • Bulletin of the Society of Naval Architects of Korea
    • /
    • v.31 no.4
    • /
    • pp.18-21
    • /
    • 1994
  • 시제품을 만들어 본 후 대량 생산에 들어가는 여느 공업과는 달리, 조선공업에서는 시제품을 미리 만들어 볼 수가 없으므로 실선의 성능을 미리 추정하는 것은 참으로 중요한 과제 중의 하 나이다. 그 가운데 하나인 저항추진성능을 추정하는 데에는 통계해석 방법이 널리 쓰이고 있다. 여기서 통계해석은 모형시험 결과를 표본자료로 한 통계해석을 말한다. 실선의 저항추진성능을 추정하는 것이므로 실선 속력시운전 자료를 사용하는 것이 좋겠으나, 실선 속력시운전에서 정 확한 값을 얻는다는 것이 거의 불가능하므로 대부분 모형시험 값을 이용하곤 한다. 본 고에서는 기존에 발표된 여러 가지 도표와 회귀식을 요약하여 본 후, 표본자료를 이용하여 새로운 회귀 식을 만드는 과정을 소개하고자 한다.

  • PDF

Utilization of age information for speaker verification using multi-task learning deep neural networks (멀티태스크 러닝 심층신경망을 이용한 화자인증에서의 나이 정보 활용)

  • Kim, Ju-ho;Heo, Hee-Soo;Jung, Jee-weon;Shim, Hye-jin;Kim, Seung-Bin;Yu, Ha-Jin
    • The Journal of the Acoustical Society of Korea
    • /
    • v.38 no.5
    • /
    • pp.593-600
    • /
    • 2019
  • The similarity in tones between speakers can lower the performance of speaker verification. To improve the performance of speaker verification systems, we propose a multi-task learning technique using deep neural network to learn speaker information and age information. Multi-task learning can improve generalization performances, because it helps deep neural networks to prevent hidden layers from overfitting into one task. However, we found in experiments that learning of age information does not work well in the process of learning the deep neural network. In order to improve the learning, we propose a method to dynamically change the objective function weights of speaker identification and age estimation in the learning process. Results show the equal error rate based on RSR2015 evaluation data set, 6.91 % for the speaker verification system without using age information, 6.77 % using age information only, and 4.73 % using age information when weight change technique was applied.

Study on the Face recognition, Age estimation, Gender estimation Framework using OpenBR. (OpenBR을 이용한 안면인식, 연령 산정, 성별 추정 프로그램 구현에 관한 연구)

  • Kim, Nam-woo;Kim, Jeong-Tae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Information and Commucation Sciences Conference
    • /
    • 2017.05a
    • /
    • pp.779-782
    • /
    • 2017
  • OpenBR is a framework for researching new facial recognition methods, improving existing algorithms, interacting with commercial systems, measuring perceived performance, and deploying automated biometric systems. Designed to facilitate rapid algorithm prototyping, it features a mature core framework, flexible plug-in system, and open and closed source development support. The established algorithms can be used for specific forms such as face recognition, age estimation, and gender estimation. In this paper, we describe the framework of OpenBR and implement facial recognition, gender estimation, and age estimation using supported programs.

  • PDF

세종 산개성단 탐사관측 (SOS) II. 중년 산개성단 NGC 2353의 UBVI CCD 측광

  • Im, Beom-Du;Seong, Hwan-Gyeong;Karimov, R.;Ibrahimov, M.
    • The Bulletin of The Korean Astronomical Society
    • /
    • v.35 no.2
    • /
    • pp.79.1-79.1
    • /
    • 2010
  • 세종 산개성단 탐사관측 연구의 일환으로 중년 산개성단 NGC 2353에 대한 UBVI CCD 측광을 수행하였다. 측광학적인 방법으로 성단 내의 구성원을 선정하였으며, 이로부터 이 성단의 성간소광과 거리를 각각 E(B-V)=$0.10\pm0.02mag$$d=1.17\pm0.04\;kpc$으로 얻었다. 성단 구성원의 공간적인 분포를 통해서 성단의 형태가 북서 방향에서 남동 방향을 잇는 축을 중심으로 타원의 형태를 띠고 있는 것을 발견하였다. Padova 그룹이 제시한 이론적인 등연령 곡선을 관측한 색등급도에 맞춤으로써 이 성단의 나이를 1억 3천만년으로 추정하였으며, 이는 기존 연구보다 나이가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구성원의 거리지수 분포에서 이 성단의 거리지수보다 밝은 곳에 나타나는 쌍성의 분포를 Gaussian 분포와 맞추어 $46\pm4%$ 정도의 최소 쌍성비율을 추정하였다. 마지막으로 광도함수와 질량함수를 유도하였고, 질량함수의 기울기는 $\Gamma=-1.4\pm0.2$를 얻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