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나무성

Search Result 2,404, Processing Time 0.025 seconds

Pairing of Woody Landscape Plants between Eastern Asian and North American species (동아시아와 북미 분포 조경수목쌍 비교)

  • 서병기
    • Asian Journal of Turfgrass Science
    • /
    • v.12 no.2
    • /
    • pp.93-98
    • /
    • 1998
  • 동아시아와 북미에 분포하는 조경수목을 형태적 특성 및 분자생물학적 특성에 따른 연구 결과를 토대로 분류한 결과 8종에서 밀접한 관련성을 갖고 있었다. 자주받침꽃, 능소화, 산딸나무, 보리밥나무, 가래나무, 튤립나무, 일본목련, 잣나무는 동아시아와 북미에서 각각 밀접한 유연성을 가진 종들이 있어 이들을 조경수목쌍으로 분류할 수 있었다. 그리고, 형태적 특성이 매우 흡사한 종으로는 중국단풍나무, 고로쇠, 들메나무, 야광나무, 소나무와 곰솔, 상수리나무, 갈참나무, 떡갈나무, 신갈나무, 굴참나무, 피나무, 참느릅나무 등에서 동아시아와 북미 조경수목쌍이 존재하는 것으로 판단되었다.

  • PDF

Analysis and evaluation of morphological and molecular polymorphism in the hybridization of Elaeagnus ×maritima and E. ×submacrophylla (잡종 기원 녹보리똥나무와 큰보리장나무의 형태학적 및 분자적 다양성 분석 및 평가)

  • Young-Jong JANG;Dong Chan SON;Kang-Hyup LEE;Jung-Hyun LEE;Boem Kyun PARK
    • Korean Journal of Plant Taxonomy
    • /
    • v.53 no.2
    • /
    • pp.126-147
    • /
    • 2023
  • The taxonomic identity of Elaeagnus ×maritima and E. ×submacrophylla (Elaeagnaceae) in Korea is unclear, yet they are presumed to be hybrid taxa based on their morphology. To determine their hybrid origins, a morphological analysis (field surveys and specimen examinations) and a molecular analysis involving two nuclear ribosomal DNA (nrDNA) regions (internal transcribed spacer and 5S non-transcribed spacer) and one chloroplast DNA (cpDNA) region (matK) were conducted. The morphological analysis revealed that E. ×maritima showed certain morphological similarities to E. glabra, whereas E. ×submacrophylla showed certain morphological similarities to E. pungens. However, the molecular analysis indicated that E. ×maritima exhibited additive species-specific sites of E. glabra and E. macrophylla in the nrDNA regions. Notably, E. ×submacrophylla showed various aspects, with some individuals exhibiting additive species-specific sites of E. pungens and E. macrophylla in the nrDNA and E. macrophylla sequences in the cpDNA regions, some individuals exhibiting E. macrophylla sequences in the nrDNA and E. pungens sequences in the cpDNA regions, and some individuals displaying E. macrophylla sequences in both the nrDNA and cpDNA regions, despite an intermediate morphology between E. pungens and E. macrophylla. These results indicate that these two species are of hybrid origin and frequently cross between parental and hybrid individuals.

On the Tree Model grown by esse-sided purity (단측 순수성에 의한 나무모형의 성장에 대하여)

  • 김용대;최대우
    • Proceedings of the Korea Inteligent Information System Society Conference
    • /
    • 2000.11a
    • /
    • pp.341-348
    • /
    • 2000
  • 의사결정 나무라고 불리우기도 하는 나무모형은 결과 해석의 용이성으로 데이터마이닝의 분류예측 모형으로써 큰 각광을 받고 있다. 현재 나무모형으로 가장 많이 사용되는 Breiman et. al의 CART나 Quinlan의 C4.5 모두 생성된 노드들의 자료 구성이 목표변수를 기준으로 수준 구성비 측면에서 순수해지도록 진행된다. 그러나 CRM에 있어 가장 흔한 주제인 해지예측을 위한 모델링을 실시하는 경우 관심의 대상인 해지자가 전체 자료에 극히 일부를 차지하여, 기존의 분할 방법에서와 같이 모든 노드의 순수성을 고려하기란 불가능하다. Buja와 Lee는 이와 같이 소수의 관심에 대상이 되는 부류를 찾아내기 위한 나무모형 생성방법을 소개하였다 즉, 해지자 관리가 중요한 경우 해지자와 비해지자 구분을 진행하는 기존의 방법과는 달리 전체 자료 중 해지자를 집중적으로 찾아가는 탐색적 분할 기준인 단측 순수성(one-sided purity)을 제안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단측 순수성에 의한 나무모델링을 모 PC통신 회사의 해지자 자료에 적용하며 기존의 방법과 비교하였고 몇 가지 시뮬레이션 자료를 통해 단측 순수성의 문제점과 앞으로 해결하여야 할 과제에 대하여 살펴보았다.

  • PDF

Studies on the Structure of Abies koreana Forest Community at Subalpine Zone Area (지리산국립공원 아고산지대의 구상나무림 산림군집구조에 관한 연구)

  • 김갑태
    •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 and Ecology
    • /
    • v.14 no.1
    • /
    • pp.28-37
    • /
    • 2000
  • 지리산국립공원의 아고산지대를 중심으로 분포하고 있는 한국특산종 구상나무의 생육현화과 구상나무림의 군집구조를 파악하여 앞으로의 구사나무림 관리의 기초자료를 마련하고자 구상나무가 생육하고 있는 지역에 42개의 방형구(20m$\times$20m)를 설치하여 식생을 조사하였다 분석한 결과 조사대상지는 세 개의 군집인 신갈나무-당단풍군집 구상나무-신갈나무군집 구상나무군집으로 분류되었다 수종간의 상관관계에서는 물들메나무와 함박꽃나무 함박꽃나무와 층층나무 구상나무와 잣나무 거제수나무와 노각나무 물들메나무와 말발도리 거제수나무와 물들메나무 거제수나무와 물갬나무 거제수나무와 함박꽃나무 철쭉과 회나무 주목과 미역줄나무 물갬나무와 노각나무, 잣나무와 마가목, 진달래와 명자순 명자순과 시닥나무, 가문비나무와 마가목 등의 수종들간에는 높은 정의 상관관계가 인정되었고 당단풍과 미역줄나무 등의 수종들간에는 높은 부의 상관관계가 인정되었다 본 조사지의 종다야도는 1.2389-1.2552으로 높게 나타났다 구상나무의 활력은 저조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12.92%가 고사목이었다 생육현황표의 점수 평균은 13.88이었다.

  • PDF

Analysis of Genetic Diversity and Structure of Prunus salicina Lindl. Populations in Adjacent Area (자두나무(Prunus salicina Lindl.) 접경지역 집단의 유전 다양성 및 구조 분석)

  • Jaesang Chung;Young-Min Choi;Hee-Young Gil;Young-Ho Ha;Kae-Sun Chang
    • Proceedings of the Plant Resources Society of Korea Conference
    • /
    • 2022.09a
    • /
    • pp.72-72
    • /
    • 2022
  • 자두나무(Prunus salicina Lindl.)는 세계에서 5번째로 많이 생산되는 과실로, 한국에서 재배하는 자두나무의 기본종은 중국 양쯔강 유역에서 기원했다. 2016년 과수용 자두나무와는 다른 자두나무가 양구에서 발견되었다. 양구군, 인제군, 고성군 일대의 자두나무 개체군의 유전다양성 및 집단 구조 분석을 통해 본 자두나무 개체군의 유전다양성 및 개체군 구조를 확인하고자 했다. 과수용 재배종을 포함한 시료를 채취하여 GBS 분석을 진행했고 주성분 분석과 STRUCTURE 분석을 통해 개체군간 유전적 구조를 확인했다. 재배종의 유전형이 다른 개체군에서도 나타나는 것으로 보아 유의한 유전적 분화가 일어났다고 보기 힘들었다. 하지만 고성군 고진동계곡 등 DMZ에 인접한 집단이 분계도에서 재배종 개체군과 가장 유전적 거리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본 분석으로는 야생집단으로 발견도니 자두나무의 실체와 기원을 단정짓기에는 부족한 것으로 보이며 외군 추가 및 더 많은 시료를 확보하는 등 추가 조사와 분석이 필요하다.

  • PDF

A Phytosociological Comparison of Forest Vegetation between Igneous and Sedimentary Rock Areas in Kyungpook Province, South Korea (경북 일원의 화성암 산지와 퇴적암 산지의 삼림식생에 대한 식생학적 비교)

  • 제갈재철;김종원
    • The Korean Journal of Ecology
    • /
    • v.26 no.1
    • /
    • pp.23-28
    • /
    • 2003
  • In order to identify plant species and communities characteristic of lithospheric condition, forest vegetations of igneous(mainly granite) and sedimentary(mainly sandstone) areas in Kyungpook province were compared. We collected 108 phytosociological releves from the older forests over 20 years old. 444 vascular plant species and 25 plant communities were identified. Results of Principal Coordinates Analysis (PCA) indicated that lithospheric conditions and human impacts were the most important factors related to the plant community diversity and species richness. In the igneous rock areas net contribution degree (rNCD) of 139 species including Quercus serrata, Q. mongolica, Lindera obtusiloba and Fraxinus sieboldiana increased and those of Carpinus laxiflora and Styrax japonica decreased. In the sedimentary rock areas, to a lesser extent, 96 species including Q. aliena, Zanthoxylum schinifolium, Potentilla fragarioides var. major, Rhus javanica, and Plectranthus japonicus increased, whereas character species of Lindero-Quercion mongolicae such as Q. mongolica, Q. serrata, Rhododendron schlippenbachii, Acer mono and Styrax obassia decreased, and particularily the species Sasa borealis, the Alangium-Zelkova serrata community and the Philadelphus-Fraxinus mandshurica community were absent. The vegetation of sedimentary rock area is characterized as a regional type shaping dwarf pine forests and sparse and light broad-leaved forests.

조경수의 병해충-산딸나무에 피해를 주는 해충

  • Choe, Gwang-Sik
    • Landscaping Tree
    • /
    • s.101
    • /
    • pp.23-26
    • /
    • 2007
  • 가을이면 막대사탕처럼 현재 40~50대 중.장년층의 어린 시절을 영상하게 하는 열매는 진분홍색으로 달콤한 맛과 함께 향수를 자극한다. 또한 6월에 십자 모양의 백색으로 피는 꽃은 예수님이 이 나무에서 운명하였다하여 성스러운 나무로 취급되어 기독교인들의 사랑을 받고 있는 나무이기도 하다. 또한 나무의 수관, 열매, 꽃 모든 것들이 아담하면서 화사하고, 청초하기 때문에 현대인들의 조경수, 정원수, 가로수로 매우 사랑받고 있는 나무이다. 늦가을 겨울을 재촉하는 바람 소리에 새벽잠을 설쳐도 우리의 마음을 한결 부드럽게 어루만져 주는 산딸나무는 화원의 대장 노릇을 하고도 남음이 있을 것 같다. 또한 각종 약용, 식용으로 사용되어 버릴 것 하나 없는 우리에게 즐거움만 주는 나무이다. 하지만 이러한 나무에 해충이 피해를 주니 이들의 종류 및 생태 그리고 방제에 대하여 소개하고자 한다.

  • PDF

The Comparative Assessment of Cold Tolerance of Broad-leaved Evergreen Trees by Low Temperature Treatment (저온처리에 따른 국내 상록활엽수종의 내한성 비교 평가)

  • Jin, Eon-Ju;Yoon, Jun Hyuck;Bae, Eun-Ji;Choi, Myung Suk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Forest Science
    • /
    • v.108 no.4
    • /
    • pp.484-492
    • /
    • 2019
  • The aim of the present study was to compare the cold tolerance of seven different types of trees growing in southern Korea to select evergreen broad-leaved trees that can be used as street trees in large land areas experiencing climate change. The trees compared were the thorn tree, Cinnamomum camphora, Camellia japonica, Machilus thunbergii, Dendropanax morbifera, Daphniphyllum macropodum Miq., Quercus glauca Thunb., and Raphiolepis indica. When the trees were subjected to low temperature treatment, their electrolyte elution volume values appeared to increase with the decreases in the treatment temperature. The analysis of the cold tolerance of each type of tree was based on the estimated temperatures in the following order: C. japonica (-11.586℃) > R. indica (-9.348℃) > Q. glauca (-8.719℃) > M. thunbergii (-8.090℃) > D. macropodum (-7.409℃) > D. morbifera (-7.085℃) > C. camphora (-6.995℃). The relative cold tolerance difference found in the seven tree species was more than 5℃, as evaluated previously. In the Lauraceae family, the difference in cold tolerance was more than 2℃, even in the same species. The analysis showed that trees with excellent cold tolerance included Q. glauca Thunb., C. japonica, R. indica, and the thorn tree. This knowledge is required for the evaluation of the possibility of the survival of trees under cold temperature conditions in cities.

Studies on the Structure of Forest Community at Myungsunbong. Tokp'yongbong Area (지리산국립공원 명선봉, 덕평봉지역의 산림군집구조에 관한 연구 -구상나무군집-)

  • 추갑철
    •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 and Ecology
    • /
    • v.13 no.4
    • /
    • pp.299-308
    • /
    • 2000
  • 지리산국립공원의 명선봉(1.586m)에서 덕평봉(1.521m)에 이르는 아고산지대를 중심으로 분포하고 있는 한국특산종 구상나무의 생육현황과 구상나무가 분포하는 천연림의 군집구조를 정확히 파악하여 앞으로 구상나무 관리의 기초자료를 마련하고자 구상나무가 생육하고 있는 지역에 26개의 방형구(20m$\times$20m)를 설치하여 식생을 조사하였다 분석한 결과 조사대상지는 신갈나무-구상나무 군집이었다 수종간의 상관관계에서는 뽕잎피 나무와 철쭉 마가목과 산벚나무, 층층나무와 시닥나무 등의 종들간에는 높은 정의 상관관계가 인정되었고 신갈나무와 쇠물푸레나무 잣나무와 노린재나무 등의 수종들간에 높은 부의 상관관계가 인정되었다 본 조사지의종다양도는 1.0572-1.0931로 비교적 낮은 편이었다. 구상나무의 활력은 저조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8.32%가 고사목이었다 구상나무의 생육현황표에 의한 점수 평균은 9.03이었다 구상나무의 생육현황표에 의한 점수는 해발고와 낙엽퇴의 두께와 정의 상관관계가 인정되었다.

  • PDF

Structure of forest Community at Daedeoksan- Geumdaebong Nature Ecosystem Preservation Area in Baekdudaegan (백두대간 대덕산-금대봉 자연생태계 보전지역의 산림군집구조)

  • 김갑태;추갑철;백길전
    •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 and Ecology
    • /
    • v.17 no.1
    • /
    • pp.9-17
    • /
    • 2003
  • To investigate the structure and the conservation strategy of Nature Ecosystem Preservation Area, 65 plots(10m$\times$10m) set up with random sampling method were surveyed. five group -Larix leptolepis Community, Quercus mongolica-Fraxinus rhynchophylla Community, Fraxinus rhynchophylla-Quercus mongolica community. Quercus mongolica-Acer pseudo-sieboldianum community, Quercus mongolica community were classified by cluster analysis. High positive correlations was proved between Quercus mongolica and Sorbus of alnifolia, Acer Mono, Lonicera praeflorens, Sorbus commixta ; Acer mono and Lonicera praeflorens, Sorbus commixta ; Maackia amurensis and Acer triflorum ; Fraxinus rhynchophylla and Betula davurica ; Lonicera praeflorens and Cornus controversa, Sorbus commixta ; Acer triflorum and Rhamnus toshinoi ; Pyrus ussuriensis and Prunus padus ; Cornuscontroversa, and Sorbus commixta, and high negative corrlations was proved between Quercus mongolica and Larix leptolepis, Carpinus cordata ; Tilia amurensis and Larix leptolepis, Morus bombycis. Species diversity(H' ) of investigated groups were ranged 0.4443~1.203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