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나노 particle

Search Result 1,061, Processing Time 0.036 seconds

Effect of Silver Nano-particle Concentration on the Optical and Electrical Characteristics of Organic-based Nano-composite Electrodes (금속 나노입자 함량에 따른 유기나노복합체의 광학 및 전기전도성 특성변화)

  • Kim, Y.H.;Park, S.K.;Han, J.I.
    • Proceedings of the KIEE Conference
    • /
    • 2008.10a
    • /
    • pp.125-126
    • /
    • 2008
  • 본 연구에서는 금속 나노입자 함량에 따른 유기나노복합체에서의 광학 및 전기전도도 특성변화를 분석하였다. 유기나노복합체 전극은 전기전도성을 가리고 있는 PEDOT : PSS(poly(3,4-ethylenedioxythio- phone):poly(styrenesulfonate))나노 입자를 기반으로 하며 이 복합제에 미량의 Ag nano-particle을 첨가하여 전기전도도 특성을 향상시키는 연구를 진행하였다. Ag nano-particle은 전체 중량 대비 01 - 0.4%의 범위에서 첨가하였으며 실험결과 0.1%의 첨가 비율에서 약 5% 정도의 전기전도도 특성 향상이 확인되었다. 또한 광투과도 변화를 분석해본 결과 0.4%까지의 Ag nano-particle 첨가 비율에서는 광투과도의 비율이 크게 감소되지 않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 PDF

Combustion Modeling of Nano/Micro Aluminum Particle Mixture (나노-마이크로 알루미늄 혼합 입자의 공기와의 연소 모델링)

  • Yoon, Shi-Kyung;Shin, Jun-Su;Sung, Hong-Gye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Propulsion Engineers
    • /
    • v.15 no.6
    • /
    • pp.15-25
    • /
    • 2011
  • One dimensional combustion modeling of aluminum combustion behavior is proposed. Combustion model is assumed that region consists as follows ; preheat, reaction, post reaction region. Flame speed as a function of particle size, equivalence ratio for unitary particles and fraction ratio of micro to nano particle size for binary particles were investigated for lean burn condition at 1 atm. Results were compared with experimental data. For unitary particles, flame speed increase as particle size decreases, but opposite trend with equivalence ratio. For binary particles, flame speed increases proportionally as nano particle fraction increases. For flame structure, separated or overlapping flames are observed, depending on the fraction of nano sized particles.

DC 열 플라즈마를 이용한 Cu, Fe 나노 입자 합성 연구

  • An, Gyeong-Seok;Son, Byeong-Gu;Lee, Mun-Won;Kim, Seong-In;Jo, Gwang-Seop
    • Proceedings of the Korean Vacuum Society Conference
    • /
    • 2016.02a
    • /
    • pp.223-223
    • /
    • 2016
  • 산업 및 기술의 발전에 의해 많은 신소재들이 개발되고 있다. 그 중에서 금속 나노 분말의 경우, 자성소재, 차세대 MLCC, 전도성 페이스트, 살균 등 여러 산업분야에서 관심을 보이면서, 다양한 재료들이 개발되고 있는 추세이다. 그 중에서 금속 나노 분말은 입자 미세화에 따른 경도, 인성, 연성들의 기계적 특성 향상, 전자기적 기능의 향상 등 기존재료에 비해 우수한 물성, 새로운 기능의 발현이 입증되면서 차세대 소재로서 많은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또한 최근에는 단순한 나노입자의 제조단계를 뛰어넘어 입경 및 입도의 제어 형상제어를 통한 입자 균일성이 요구되고 있다 DC 열 플라즈마를 이용한 나노입자 합성 방법은 초고온의 온도의 달성이 가능하여, 모든 금속원소에 대한 나노화 및 고순도화가 용이할 뿐만 아니라, 제조공정이 단순한 친환경 공법으로 저비용으로 나노입자를 제조할 수 있는 장점을 갖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이송식 DC 열 플라즈마를 이용한 Cu 나노분말 제조, 비이송식 DC 열 플라즈마를 이용한 Fe 나노분말 합성 연구를 통해 반응기의 압력과 플라즈마 파워, Gas 유량등의 공정 변수가 나노입자 생성 특성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 하였다. 또한 DC 열플라즈마 나노입자 합성 시스템에 대한 장비와 기술도 소개한다.

  • PDF

Preparation of Cellulose Nanoparticles Loaded with Vitamin E Acetate (비타민 E 아세테이트가 봉입된 셀룰로오스 나노입자의 제조)

  • 남다은;정택규;김승수;신채호;신병철
    • Polymer(Korea)
    • /
    • v.28 no.2
    • /
    • pp.128-134
    • /
    • 2004
  • Cellulose nanoparticles loaded with vitamin I acetate were prepared by modified spantaneous emulsification solvent diffusion method. After cellulose derivatives were dissolved in mixed acetone/ethanol organic solvent with vitamin E acetate, cellulose nanoparticle suspensions were dispersed in poly(oxyethylene sorbitane monooleate) solution using ultrasonicator. Particle size and loading amount of vitamin I acetate were measured by particle size analyser and UV-spectrometer, respectively. The stability of nanoparticle was determined by measuring the change of the particle size at room temperature for 30 days and the morphology was observed by SEM. Morphology of cellulose nanoparticles was spherical and particle size was not changed at room temperature for 30 days. The optimum condition for the preparation of cellulose nanoparticles was 1% w/v cellulose nitrate with 8% w/v poly(oxyethylene sorbitane monooleate) solution. It showed that particle size and loading amount of vitamin E acetate was 65nm and 71%, respectively.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Multiscale Bridging Method Considering the Particle Size and Concentration Effect of Nanocomposites (나노입자의 크기효과와 체적분율 효과를 동시 고려한 나노복합재의 멀티스케일 브리징 해석기법에 관한 연구)

  • Yang, Seung-Hwa;Yu, Su-Young;Cho, Maeng-Hyo
    • Journal of the Computational Structural Engineering Institute of Korea
    • /
    • v.22 no.4
    • /
    • pp.343-348
    • /
    • 2009
  • In this study, an efficient sequential bridging method to characterize both the particle size effect and concentration effect on the mechanical properties of nanocomposites at high volume fraction is suggested through a molecular dynamics(MD) simulations and micromechanics of composites materials. The Young's modulus and the shear modulus of the nanocomposites at various particle radius and at 12% volume fraction were obtained from MD simulations and multi-inclusion model was adopted to describe both modulus in continuum model. In order to describe the particle size effect, an additional phase, effective interface, was adopted as characteristic phase and the non-dilute concentration effect which appears at 12% volume fraction was describe via the variation of the elastic modulus of the infinite medium. Both the elastic modulus of the interface and infinite medium were fitted into functions of particle radius for the applicability of the present bridging method at various particle radii. Using the present bridging method the elastic modulus of the nanocomposites was efficiently obtained with accuracy. In addition, the effect of the interface thickness and modulus on the elastic modulus of the nanocomposite was investigated.

Theoretical Analysis of Heat Pipe Thermal Performance According to Nanofluid Properties (나노유체 특성에 따른 히트파이프 성능해석)

  • Lim, Seung Min
    • Transactions of the Korean Society of Mechanical Engineers B
    • /
    • v.39 no.7
    • /
    • pp.599-607
    • /
    • 2015
  • In this study, we theoretically investigate the thermal performances of heat pipes that have different nano-fluid properties. Two different types of nano-particles have been used: $Al_2O_3$ and CuO. The thermal performances of the heat pipes are observed for varying nano-particle aggregations and volume fractions. Both the viscosity and the conductivity increase as the volume fraction and the aggregation increase, respectively. Increasing the volume fraction helps increase the capillary limit in the well-dispersed condition. Whereas, the capillary limit is decreased under the aggregate condition, when the volume fraction increases. The dependence of the heat pipe thermal resistance on the volume fraction, aggregation, and conductivity of the nano-particles is analyzed. The maximum thermal transfer of the heat pipe is highly dependent on the volume fraction because of the high permeability of the heat pipe. For the proposed heat pipe, the optimum volume fraction of the nano-particle can be seen through 3D graphics.

PBMS (Particle Beam Mass Spectrometer)를 이용한 실리콘 나노입자 합성 특성의 실시간 분석에 관한 연구

  • Choe, Hu-Mi;Kim, Dong-Bin;An, Chi-Seong;Kim, Tae-Seong
    • Proceedings of the Korean Vacuum Society Conference
    • /
    • 2012.02a
    • /
    • pp.233-233
    • /
    • 2012
  • 나노입자가 가지는 고유한 특성이 부각되면서 이를 소자 특성 향상에 응용하고자 하는 연구가 집중적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박막에 포함된 나노입자는 메모리, 고효율 박막형 태양전지 등에 이용될 수 있는 가능성을 보여주었으며, 나노입자에 기반 하는 소자 제조에 관한 연구가 이루어지면서 플라즈마 내 발생하는 나노입자를 이용하여 패터닝 등에 적용하고자 하는 연구가 국내외에서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다. 특히 플라즈마에서 발생하는 나노입자는 플라즈마 내 전기적 및 화학적 특징으로 인해 다른 입자 제조 공정과 달리 응집이 없는 균일한 입자를 제조할 수 있다. 이러한 플라즈마 내 발생 입자를 응용하기 위해서는 각각의 응용 분야에 적합한 입경 분포 제어가 요구된다. 하지만 입자 합성 시 크기분포 특성에 관한 연구는 기존의 포집 및 전자현미경을 이용한 방법으로 실시간으로 분석하기에는 한계가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저압에서 실시간으로 나노입자 분포를 측정할 수 있는 PBMS (particle beam mass spectrometer)를 이용하여, PECVD (plasma enhanced chemical vapor deposition)의 입자 생성 조건에 따라 continuous, pulse, dual pulse로 분류되는 공정 조건에서 생성되는 입자의 크기 분포를 측정하였다. 또한 그 결과를 기존의 동일한 조건에서 포집 후 SMPS (scanning mobility particle sizer)와 전자 현미경을 이용하여 분석한 결과와 비교하였다. 실리콘 나노 입자의 측정은 PBMS 장비의 전단 부분을 PECVD 장치 내부에 연결하여 진행하였다. PECVD를 이용한 실리콘 나노입자 형성의 주요 변수는 RF pulse, 가스(Ar, SiH4, H2)의 유량, Plasma power, 공정 압력 등이 있으며 각 변수를 조절하여 공정 환경을 구성하였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를 통하여 PECVD를 이용해 각각의 공정 환경에서 생성되는 실리콘 나노입자의 실시간 입경 분포 분석을 PBMS로 수행하는 것에 신뢰성이 있음을 알 수 있었으며, 그 경향을 확인할 수 있었다. 추후 지속적 연구에 의해 변수에 따른 나노입자 생성을 데이터베이스화 하여 요구되는 응용분야에 적합한 특성을 가지는 나노입자를 형성하는 조건을 정립 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할 것을 기대할 수 있다.

  • PDF

Film Coating and Micro - Pattering Process of Nano-particle Conductive Ink System by Using ESD Method

  • Yang, Jong-Won;Jo, Sang-Hyeon;Sin, Na-Ri;Kim, Jin-Yeol
    • Proceedings of the Materials Research Society of Korea Conference
    • /
    • 2011.05a
    • /
    • pp.238.1-238.1
    • /
    • 2011
  • 본 연구에서는 non-contact deposition method의 일환인 ESD (electroctatic deposition)의 박막공정을 이용하여 Conductive layer 위에 Gold nanoparticles 및 Silver nanoparticles 등 organic/inorganic nano particle conductive ink system의 단분산 2D 박막을 제조를 연구하였다. ESD head를 통해 여러가지 organic / inorganic nano particle conductive ink system을 Deposition하였으며 분산도가 높고 균일한 단분산의 2차원 박막 구조를 얻을 수 있었으며, 전도성 PEDOT과의 Hybridization을 통해 균일상의 표면 Morphology를 갖는 고 전도성 투명 필름을 제작하였다. ESD technique를 이용하는 박막공정 기술은 나노입자 및 나노구조물의 박막화 패턴화를 포함하는 새로운 Deposition 기술로써 이를 응용하여 금속 나노입자의 2차원의 패턴화된 박막 구현을 통해 유기반도체 및 전자소자에의 응용성을 증거할 수 있었다.

  • PDF

Suggestion of separation and recollection method of nano particles from suspension by using ultrasonic atomization (초음파 무화효과를 이용한 현탁액으로부터 나노입자의 분리포집법 제안)

  • Kim, Jihyang;Kim, Jungsoon;Yeom, Jiyeong;Ha, Kanglyeol;Kim, Moojoon
    • The Journal of the Acoustical Society of Korea
    • /
    • v.35 no.6
    • /
    • pp.445-451
    • /
    • 2016
  • It is very important to obtain non-agglomerated nano particle state for practical application of nano technology. In order to improve the functionality of products using nano particles, more precise control of particle size distribution is required in their synthesis process. However, synthesized nano particles are agglomerated easily due to physical and chemical reasons, and it then veils unique properties of the nano particles and causes some troubles in their practical application. In this study, a separation method for nano particles from suspension by using the droplets as the separation space was proposed. Using the suspension of 0.002 wt. % with $TiO_2$ powder, the particle size distribution of nano particles in the recollected suspension was measured. From the results, it was confirmed that it is possible to separate and to recollect the nano particles monodispersed by using the suggested metho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