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나노 제어

Search Result 677, Processing Time 0.025 seconds

Effect of Dispersion Control of Multi-walled Carbon Nanotube in High Filler Content Nano-composite Paste for the Fabrication of Counter Electrode in Dye-sensitized Solar Cell (다중벽 탄소 나노튜브 기반 고충전 나노복합 페이스트를 이용한 염료 감응 태양 전지용 상대 전극의 제조에 있어서 분산 제어의 효과)

  • Park, So Hyun;Hong, Sung Chul
    • Polymer(Korea)
    • /
    • v.37 no.4
    • /
    • pp.470-477
    • /
    • 2013
  • Multi-walled carbon nanotube (MWCNT) based nano-composite pastes having a high filler content are prepared for the facile fabrication of a counter electrode (CE) of dye-sensitized solar cell (DSSC). A polystyrene-based functional block copolymer is prepared through a controlled "living" radical polymerization technique, affording a surface modifier for the dispersion control of MWCNT in the paste. Physical dispersion through a ball-milling method additionally confirms the importance of the dispersion control, providing DSSC with enhanced processibility and improved solar-to-electricity energy conversion efficiency (${\eta}$) values. The performances of the DSSCs are further improved through the incorporation of minor amount of platinum (Pt) nanoparticles into the MWCNT pastes. The DSSC with the Pt/MWCNT hybrid CE exhibits very high ${\eta}$ values, which is superior to that of DSSC with the standard Pt CE.

전자빔 조사를 이용한 기체상 실리카 나노입자의 제조 방법에 대한 연구

  • Kim, Jin-Hyeong;Son, Yeong-Gu;Sin, Won-Gyu
    • Proceedings of the Korean Vacuum Society Conference
    • /
    • 2013.02a
    • /
    • pp.624-624
    • /
    • 2013
  • 본 연구에서는 전자빔 조사를 이용하여 대기 조건에서 실리카 나노입자를 제조하였다. 제조된 실리카 나노입자는 FT-IR을 통해 전구체가 전자빔에 의하여 분해되었음을 확인하였고 또한 XPS를 통해 Si 2P binding energy가 확인되었다. 본 연구에서 제조된 나노입자의 평균 지름은 각각 210 nm와 73 nm로 나타났고, 입자의 평균지름은 전구체 증기의 전자빔 반응기내 체류시간 조절에 따라 제어된다.

  • PDF

Crystallization and Phase Transition of TiO2Nanotubes by Heat Treatment. (열처리 조건에 따른 TiO2 나노튜브의 결정구조 및 형상 변화)

  • Lee, Ju-Yeong;Mun, Seong-Mo;Jeong, Yong-Su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Surface Engineering Conference
    • /
    • 2012.05a
    • /
    • pp.319-319
    • /
    • 2012
  • 수용액에서 양극산화법을 이용하여 티타늄 표면에 $TiO_2$ 나노튜브를 형성시켰고, XRD 및 전자현미경을 통해 열처리를 한 $TiO_2$ 나노튜브 소재표면, 계면구조를 관찰하였으며, 이는 향후 나노튜브의 결정구조를 제어할 수 있는 자료로 활용 될 것으로 기대된다.

  • PDF

Analysis of cell survival genes in human gingival fibroblasts after sequential release of trichloroacetic acid and epidermal growth factor using the nano-controlled release system (나노방출제어시스템을 이용하여 trichloroacetic acid와 epidermal growth factor의 순차적 방출을 적용한 인간치은섬유아세포의 세포생존 관련 유전자 연구분석)

  • Cho, Joon Youn;Lee, Richard sungbok;Lee, Suk Won
    • Journal of Dental Rehabilitation and Applied Science
    • /
    • v.36 no.3
    • /
    • pp.145-157
    • /
    • 2020
  • Purpose: This study was to determine the possible effects of trichloroacetic acid (TCA) and epidermal growth factor (EGF) through cell survival genes of the PI3K-AKT signaling pathway when applying an hydrophobically modified glycol chitosan (HGC)-based nanocontrolled release system to human gingival fibroblasts in oral soft tissue regeneration. Materials and Methods: An HGC-based nano-controlled release system was produced, followed by the loading of TCA and EGF. The group was divided into control (CON), TCA-loaded nano-controlled release system (EXP1), and the TCA- and EGF- individually loaded nano-controlled release system (EXP2). A total for 29 genes related to the PI3K-AKT signaling pathway were analyzed after 48h of culture in human gingival fibroblasts. Real-time PCR, 1- way ANOVA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ere performed. Results: Cell survival genes were significantly upregulated in EXP1 and EXP2. From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ITGB1 was determined to be the most influential factor for AKT1 expression. Conclusion: The application of TCA and EGF through the HGC-based nano-controlled release system can up-regulate the cell survival pathway.

MOCVD로 성장한 저온 나노막대의 추가적 케리어 가스 유속에 따른 aspect ratio 조절

  • Kim, Dong-Chan;Gong, Bo-Hyeon;Han, Won-Seok;Jo, Hyeong-Gyun;Lee, Ju-Yeong;Kim, Hong-Seung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Electrical and Electronic Material Engineers Conference
    • /
    • 2008.11a
    • /
    • pp.392-392
    • /
    • 2008
  • 나노크기의 반도체 물질은 표면적/부피 비와 그 크기에 의해 광학적, 전기적 특성이 크게 영향을 받는다. 나노크기의 반도체 재료 중 ZnO는 3.37eV의 넓은 에너지 밴드갭을 가지고 있으며, 60meV의 큰 엑시톤(exciton) 결합에너지의 특성을 가지고 있어 UV 영역의 소스로서 가장 활용도가 클것으로 예상된다. 1 차원 ZnO 나노구조는 청색과 자외선 발광소자 및 광전자 소자, 화학적 센서로 활용이 가능하다. whisker, nanowires, norods, nanonail, nanoring 등과 같은 ZnO 나노구조의 형태와 크기는 합성장비와 공정조건에 크게 영향을 받고 서로 다른 광 특성 결과를 나타낸다. ZnO 나노구조의 합성을 위해 다양한 금속 촉매를 이용한 기상-액상-고상(VLS)의 성장 메카니즘이 연구되었다. 그러나 이 방법은 촉매로 사용된 금속이 불순물로 작용하는 결점을 가지고 있다. 최근에는 기판위에 아무런 촉매도 사용하지 않은 ZnO 의 합성에 대해 많은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그러나 촉매없이 합성된 나노구조의 형태와 성장방향은 초기단계에서 불규칙한 원자배열로 인해 합성상태의 제어 (방향, 형상 등)가 매우 어렵다. MOCVD 장비 금속 촉매를 이용하지 않고도 미량의 Zn 와 $O_2$ 량을 일정하게 조절함으로써 형상 및 방향성을 제어 할 수 있다는 장점을 가지고 있다. 또한 본 연구에 사용된 MOCVD 장비의 경우 추가적인 케리어 가스 유입을 통해 나노막대의 aspect ratio 조절이 가능하다. 본 연구는 MOCVD 장비를 이용해 촉매를 사용하지 않고 1 차원 ZnO 나노막대를 합성하였고, 추가적 케리어 가스 유량을 변화시킴으로써 형태 변화 및 발광특성에 관한 영향을 연구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