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나노공학

Search Result 1,613, Processing Time 0.027 seconds

Nanobio Colloidal Materials for Dermatological Applications (피부과학 나노바이오 콜로이드 개발 동향)

  • Kim, Ji Eun;Park, Daehwan;Lee, Jin Yong;Seo, Hyemin;Choi, Sang Koo;Kim, Jin Woong
    • Prospectives of Industrial Chemistry
    • /
    • v.20 no.6
    • /
    • pp.2-12
    • /
    • 2017
  • 최근 피부산업은 미용적인 관점뿐만 아니라 피부질환치료에 대한 관심까지 폭넓게 성장하고 있어 피부의 건강을 개선하고 치료할 수 있는 새로운 신기술 개발이 다각적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특히 기술의 고도화와 체계화를 통한 피부과학기술의 진보가 화학, 화학공학, 재료공학을 기반으로 하는 전통학문분야와 조직공학, 바이오나노공학, 감성공학 등을 기반으로 하는 신학문분야가 융복합되어 이루어지고 있다. 따라서, 본 고에서는 피부산업에서 전략적인 응용이 가능한 피부 나노바이오 콜로이드의 연구개발에 대한 최근 현황을 소개하고자 한다.

Defect Engineering of Metal Halide Perovskite Nanocrystals and Photovolatic Applciations (페로브스카이트 나노결정의 결점 엔지니어링 및 태양전지 응용 기술)

  • Jin, Haedam;Kim, Mi Kyong;Cha, Jeongbeom;Kim, Min
    • Prospectives of Industrial Chemistry
    • /
    • v.24 no.5
    • /
    • pp.30-46
    • /
    • 2021
  • 페로브스카이트 나노결정의 뛰어난 광전기적 특성과 표면 개질 용이성, 그리고 다양한 용액 공정 응용 가능성을 바탕으로 나노결정을 활용한 태양전지 응용 기술에 대한 연구가 폭넓게 진행되고 있다. 나노결정의 표면 및 결점 제어에 대한 화학적 이해와 공학적 제어 기술을 적용하여 다양한 광전소자의 효율을 향상시켜 왔으며, 최근 16.6% 광전효율의 페로브스카이트 나노결정 태양전지가 발표되었다. 나노결정을 태양전지에 활용하기 위해서는 광전특성 뿐만 아니라 연속적인 구동 안정성이 확보되어야 하며, 이를 위해서는 나노결정의 반응성이 높은 표면을 효율적으로 개질해야 한다. 이 총설에서는 페로브스카이트 나노결정의 표면 화학에 대한 기본 이해와 이를 제어하기 위한 리간드 치환 방법, 그리고 나노결정을 태양전지에 적용하기 위한 공학적 접근법에 대한 다양한 연구를 소개하고자 한다.

나노물리개론 과목 소개

  • Kim, Gyeong-Sik
    • Journal of the KSME
    • /
    • v.53 no.12
    • /
    • pp.45-48
    • /
    • 2013
  • 이 글에서는 현재 연세대학교 기계공학과의 나노물리개론 교과목에 대해 소개하고자 한다. 최근 첨단 분야로 각광받고 있는 나노테크놀로지를 이해하기 위해서 요구되는 나노 세계의 기본 개념과 양자역학적인 현상기술들을 기계공학 전공자들이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설명하고 현재 기계공학 연구에 어떻게 적용되는지 다양한 예를 통하여 알아본다.

  • PDF

Photoluminescence Studies of ZnO Nanorods Grown by Vapor Phase Transport (기상이동법으로 성장한 산화아연 나노막대의 포토루미네슨스 분석)

  • Kim, Soaram;Cho, Min Young;Nam, Giwoong;Kim, Min Su;Kim, Do Yeob;Yim, Kwang Gug;Leem, Jae-Young
    • Korean Journal of Metals and Materials
    • /
    • v.49 no.10
    • /
    • pp.818-822
    • /
    • 2011
  • ZnO nanorods were grown on Au-coated Si substrates by vapor phase transport (VPT) at the growth temperature of $600^{\circ}C$ using a mixture of zinc oxide and graphite powders as source material. Au thin films with the thickness of 5 nm were deposited by ion sputtering. Temperature-dependent photoluminescence (PL)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ZnO nanorods. Five peaks at 3.363, 3.327, 3.296, 3.228, and 3.143 eV, corresponding to the free exciton (FX), neutral donor bound exciton ($D^{\circ}X$), first order longitudinal optical phonon replica of free exciton (FX-1LO), FX-2LO, and FX-3LO emissions, were obtained at low-temperature (10 K). The intensity of these peaks decreased and their position was red shifted with the increase in the temperature. The FX emission peak energy of the ZnO nanorods exhibited an anomalous behavior (red-blue-red shift) with the increase in temperature. This is also known as an "S-shaped" emission shift. The thermal activation energy for the exciton with increasing temperature in the ZnO nanorods is found to be about 26.6 meV; the values of Varshni's empirical equation fitting parameters are = $5{\times}10^{-4}eV/K$, ${\beta}=350K$, and $E_g(0)=3.364eV$.

Review of Recent Advances in the Electrical/Mechanical Characteristics of Nanocomposites and Multi-scale Modeling of Nanocomposites (나노복합재료의 전기/역학적 특성과 예측을 위한 멀티스케일 모델링의 최신 연구 분석)

  • Taegeon Kil;Jin-Ho Bae;Hyun-No Yoon;Haeng-Ki Lee
    • Journal of the Computational Structural Engineering Institute of Korea
    • /
    • v.36 no.2
    • /
    • pp.131-136
    • /
    • 2023
  • Nanocomposites have been considered innovative composite materials that have multi-functionality and high performance. Because the incorporation of nanoscale fillers may significantly improve the electrical, mechanical, and thermal properties of composites, numerous extensive studies on the characterization of nanocomposites with nanoscale fillers have been performed. In particular, the development of nanocomposites using carbon-based nanoscale fillers (e.g., carbon nanotubes, carbon black, graphene nanoplates) have attracted much interest in the composite field. This paper provides a review of recent advances in the electrical/mechanical characteristics of nanocomposites, which are essential for their practical applications. Furthermore, this paper revisits the recent research on multi-scale modeling, which is a promising approach for predicting the characteristics of nanocomposites. The current challenges and future development potentials for multi-scale modeling are also discussed.

Biomimetic Nano Delivery Carrier and Surface Chemistry (생체모사 나노전달체 연구와 계면화학)

  • Oh, Seung-joo;Kim, Hee-Jin;Han, Sara;Jeong, Jae Hyun
    • Prospectives of Industrial Chemistry
    • /
    • v.20 no.6
    • /
    • pp.40-53
    • /
    • 2017
  • 나노전달체 관련 기술은 다양한 질병 치료에 사용되어 단위세포 수준의 치료를 가능하게 할 뿐 아니라 영상 진단과 접목되어 질병의 진단 및 치료가 동시에 가능한 기술로 진화하고 있다. 본지에서는 이러한 연구 중 하나로 생체모사 나노전달체에 대해 다룬다. 다양한 면역세포 및 백혈구, 적혈구 등의 살아있는 세포의 기능을 나노전달체에 부여하여 전달효율 및 치료효과를 높이고자 하는 기술이다. 지금까지의 나노전달체 연구 및 개발 동향에 대하여 간략하게 살펴보고 특별히 최근 주목 받고 있는 생체모사 나노전달체의 개념, 제조 방법, 응용 및 앞으로의 전망에 대하여 논하였다.

Design of a Reflector for LED Light Sources with Asymmetric Light Distribution (비대칭 배광을 갖는 LED 스포츠 조명 반사경 설계)

  • Seo, Jin-Hee;Jo, Ye-Ji;Lee, Hyun-Hwa;Seo, Jae-Yeong;Jun, Won-Kyoun;Lee, Han-Yul;Kang, Dong-Hwa;Jung, Mee-Suk
    • Korean Journal of Optics and Photonics
    • /
    • v.29 no.6
    • /
    • pp.253-261
    • /
    • 2018
  • In this paper, we study a method of designing a reflector for LED light sources with an asymmetric light distribution. In a sports game, lighting with a symmetric distribution makes the athlete and spectators look directly at the light source, so it can cause glare. We derive the optimal tilt angle and design a reflector with asymmetric light distribution to solve these problems. Afterward, performance is analyzed according to the tennis-court lighting standard, and is confirmed to meet the class 1 European standar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