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나그네

검색결과 25건 처리시간 0.021초

'지적 무협지' 겨냥한 복거일의 과학소설 "역사속의 나그네"

  • 대한출판문화협회
    • 출판저널
    • /
    • 통권96호
    • /
    • pp.27-27
    • /
    • 1991
  • 첫소설의 "비명을 찾아서"로 '대체역사소설'이라는 독특한 작품세계를 펼쳐보였던 복거일씨의 새장편 "역사속의 나그네"는 과거에 불시착한 미래인의 삶과 생각을 그려 보이고 있다. 이 소설은 미래의 지식을 가진 주인공의 그 우월한 지식이 과거의 열등한 지식과 부딪칠 때 일어나는 일을 보여준다.

  • PDF

분석심리학적 견지에서 본 한국민담 '나그네와 여우'의 해석 (An Interpretation of a Korean Fairy Tale "The Traveller and the Fox" from the Perspective of Analytical Psychology)

  • 이상익
    • 심성연구
    • /
    • 제25권2호
    • /
    • pp.123-162
    • /
    • 2010
  • 저자는 한국민담 "나그네와 여우"의 분석을 시도하였다. 이야기의 요점은 다음과 같다. 산속을 헤매던 나그네가 불빛이 있는 집을 찾는다. 그곳에는 아름다운 여인이 있어 친절히 음식과 잠자리를 제공한다. 그러나 그녀는 칼로 그를 죽이려는 여우였다. 그는 한 동이의 물을 가져다 달라고 하고는 그것으로 벽을 허물고 도망친다. 여우가 쫓아오고 그는 절벽에서 뛰어내려 호랑이 등에 타게 된다. 호랑이는 호랑이굴로 뛰어가 그를 새끼에게 먹이로 준다. 그는 새끼들을 돌을 던져 죽이고 굴 밖으로 나와 나무에 올라간다. 여우들과 호랑이가 돌아와 서로 죽인다. 나그네는 여우와 호랑이의 가죽을 벗겨서 마을로 돌아간다. 저자는 이 이야기의 내용을 상징적으로 이해하고 분석심리학의 견지에서 해석하고자 하였고, 결론적으로 다음과 같이 해석하였다. 나그네는 개성화과정 중에서 여우와 호랑이로 상징된 부정적 아니마와 부정적 모성원형을 대면하게 되고 그 부수적인 부정적 속성에 해당하는 호랑이 새끼들을 처치하는 것을 시작으로 부정적 아니마와 모성의 극복을 경험하게 되었다. 그는 의식적인 각성상태를 유지하고 지속적인 주의를 기울이고자 노력했기에, 그 상태를 벗어나 새로운 인식에 도달할 수 있었다. 이 과정에 각각 물과 나무로 상징된 긍정적 모성원형과 자기의 적절한 도움을 능동적으로 얻을 수 있었던 것이 의미가 있었다.

납량건강

  • 한국건강관리협회
    • 건강소식
    • /
    • 제9권7호통권80호
    • /
    • pp.42-46
    • /
    • 1985
  • 올 여름은 몹시 더운 여름이 되리라고 생각한다. 마음은 벌써 바닷가나 계곡으로 달려가고 있건만 현실은 그렇지가 못하다. 그러나 계획을 알뜰하게 짜고 친구들과 혹은 연인끼리, 가족, 친지끼리 나선다면 즐거운 여름 휴가가 될것이다. 여행은 언제나 즐겁다. 목적지에 도착해서보다는 가고 오고하는 과정의 즐거움, 동행자와의 많은 대화는 인생을 더욱 살찌게 해준다. 내 인생 자체가 여행길의 나그네가 아닌가? 아무쪼록 건강소식 독자 여러분의 보람차고 멋진 여름이 되길바란다.

  • PDF

한국의 전통 - 전통주의 건강기능성

  • 김재호
    • 식품문화 한맛한얼
    • /
    • 제2권1호
    • /
    • pp.38-41
    • /
    • 2009
  • 우리 선조들은 예로부터 음식에 관한 독특한 생각을 가지고 있었다. 이것을 '약식동원(藥食同原)'이라고 한다. 즉 음식과 약은 결코 다른 것이 아니라 같은 것이라는 생각이다. 음식을 알맞게 골고루 먹는 것이 가장 좋은 약이고 병을 예방하는 방법이며, 병은 음식을 잘못 먹는 데서 생겨난 다고 믿는 것이다. 선조들은 또한 술을 하나의 음식으로 간주하여 마신다고 하지 않고 먹는다고 하였다. 술을 '먹으면' 몸에서 소화되어 살과 피와 정기를 이룸으로써 사람을 살게 하는 것, 즉 '먹는 음식'으로 인식한 것이다. "옛날 세 나그네가 밤길을 떠나게 되었다. 한 사람은 죽을 먹고 떠나고, 한 사람은 밥을 먹고 떠나고, 한 사람은 술을 먹고 떠났다. 다음 날 아침 목적지에 도착한 세 사람 중 죽을 먹고 떠난 이는 쇠약해져 기침을 했고, 밥을 먹고 떠난 이는 중병에 걸렸으나 술을 먹고 떠난 이만은 건강하였다." 이 이야기는 옛사람들이 술에 대해 어떠한 생각을 가지고 있었는지를 잘 보여준다. 그들에게 술은 곧 약이었던 것이다. 다만 현대인이 생각하는 의미의 약이 아니라 음식으로서의 약을 의미했다.

  • PDF

제주시험림 한남 지역의 조류 군집 특성 (The Characteristics of Bird Community at Hannam Area of Jeju Experimental Forests)

  • 박찬열;김은미;강창완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25권6호
    • /
    • pp.828-835
    • /
    • 2011
  • 본 연구는 제주시험림 한남지역에서 2006년 11월부터 2007년 9월까지 매월 3일 연속으로 11개월 동안 선조사법에 의한 2개 지역과 정점조사법에 의한 5개 지역을 정하여 이동성, 둥지 길드, 출현비율의 군집 분석을 통하여 조류 군집의 특성을 살펴보았다. 총 58종의 조류를 확인하였으며, 조류를 이동성(migration habit)에 따라 나누면, 텃새 24종, 여름철새 8종, 겨울철새 10종, 나그네새 16종이었다. 대개 육지에서는 여름철새의 종 수가 높지만, 조사지역에서 나그네새 종수가 더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월별 출현종의 관찰비율을 군집 분석한 결과, 11월부터 2월의 모둠, 3월~7월의 모둠으로 나누어져 계절성을 보였으나, 월별 종 수 변화는 육지에서 나타나는 계절 변동이 없었다. 번식기와 비번식기에 종 구성은 변화하지만, 전체 종수는 계절 변동을 나타내지 않았다. 이는 나그네새 등 이동성 조류가 제주시 험림을 다수 방문하는 것을 나타낸다. 산림성 조류에게 둥지를 제공하는 딱따구리류는 본 조사지에서는 큰오색딱다구리 1종으로 육지의 5종과 차이를 나타낸다. 둥지 길드는 덤불 및 지면에서 둥지를 튼 새는 9종, 숲지붕층 8종, 나무구멍 7종, 인가에서 번식하는 1종이 기록되었다. 조사지에서 큰오색딱다구리는 박새류, 흰눈썹황금새, 호반새의 둥지를 제공하는 핵심종(keystone species)으로서 이 종을 보호하기 위한 산림시업을 고려해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팔달산 조류 군집의 특성 (Characteristics of Bird Community in Mt. Paldal)

  • 박찬열;이우신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15권3호
    • /
    • pp.267-275
    • /
    • 2001
  • 본 연구는 수원시 중심부에 위치한 팔달산의 조류 군집을 파악하고 적절한 관리 방안을 마련하기 위하여 선조사법에 의해 1992년 3월부터 1993년 2월까지 매달 1회. 1998년 10월부터 1999년 8월가지 계절별로 1회에 걸쳐 실시되었다 1992년에 27종의 조류가 기록되었으며 텃새 74종, 여름철새 8종. 겨울철새 4종 그리고 나그네새 1종이었다. 종 수와 개체수는 5월과 10월에 각각 최대를 나타냈다. 1999년에 21종의 조류가 기록되었으며 텃새 16종, 여름철새 2종. 겨울철새 2종 등 그리고 나그네새 1종이었다. 1992년에 조류 종 수 및 밀도의 계절적 변화는 온대 낙엽활엽수림의 전형적인 패턴을 나타냈으나, 1999년의 계절적 변화는 다른 패턴을 나타냈다. 1999년에 텃새의 비율은 1992년의 동일한 시기의 수치보다 높았고, 여름철새의 비율은 낮았다. 1983년 이후 팔달산 번식기 조류 군집의 길드 분석에서 관목층을 둥지자원으로 이용하는 관목층 영소 및 채이 길드의 조류는 종 수 및 개체수의 감소를 나타냈고. 여름철새의 종 수 및 개체수도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냈다. 그러므로 관목층 영소 및 태이 길드에 속하는 조류와 여름철새의 서식을 위하여 하층식생의 보호가 필요하며, 수원시에 위치한 도시림인 광교산, 칠보산. 여기산, 숙지산, 팔달산으로 이어지는 녹지 네트워크가 구축되어야 할 것이다.

  • PDF

계룡산국립공원의 조류상 (Avian fauna in Kyeryongsan National Park)

  • 이준우;이도한;백운기;백인환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14권4호
    • /
    • pp.268-279
    • /
    • 2001
  • 본 연구는 계룡산국립공원을 대상으로 계절별 야생조류의 서식 분포현황을 밝히고, 야생조류의 보호 관리를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기 위하여 실시되었다. 조사를 위하여 5개 지역을 조사지로 설정하여 2000년 4월부터 2001년 1월까지 4회에 걸쳐 야생조류 및 서식환경을 조사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계룡산국립공원지역에서 조사기간동안 관찰된 야생조류는 텃새 30종, 여름철새 26종, 겨울철새 9종, 나그네새 4종으로 총 10목 29과 69종 2950개체이며, 이 중 천연기념물은 참매, 새매, 붉은배새매, 소쩍새 등 4종이 관찰되었다. 서식 종 수는 봄철 46종, 여름철 39종, 가을철 40종, 겨울철 40종이었다. 서식밀도는 봄철 7.36마리/ha,여름철 5.17마리/ha, 가을철 15.61마리/ha, 겨울철 7.4마리/ha이며, 주요 우점종은 붉은머리오목눈이, 직박구리, 박새, 쇠박새, 곤줄박이 등의 순이었다. 특히, 봄철 종 수는 이용강도가 높은 동학사 지역이 이용강도가 낮은 다른지역들 보다 낮게 나타났다. 갑사 지역은 봄에 최대 종 수를 나타내어 조류의 번식지로 유리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겨울철새의 종 수가 가장 적게 관찰된 갑사와 신원사 지역은 겨울철새가 서식하기에 불리한 것으로 판단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