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김지혜

검색결과 1,147건 처리시간 0.03초

임플란트와 상부구조물 사이의 micromotion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micromotion between the dental implant and superstructure)

  • 김지혜;송광엽;장태엽;박주미
    • 구강회복응용과학지
    • /
    • 제19권1호
    • /
    • pp.17-25
    • /
    • 2003
  • Treatment with implants of single tooth missing cases is both functional and esthetic. Although the success rate of single-tooth implant treatments is increasing, sometimes it makes some problems. Problems with single-tooth implant treatments include soft tissue complications, abutment screw fracture, and most commonly, abutment screw loosening, and these involve the instability of the dental implant-superstructure interface. This study investigated and compared dental implant screw joint micromotion of various implant system with external connection or internal connection when tested under simulated clinical loading, Six groups (N=5) were assessed: (1) Branemark AurAdapt (Nobel Biocare, Goteborg, Sweden), (2) Branemark EsthetiCone (Nobel Biocare, Goteborg, Sweden), (3) Neoplant Conical (Neobiotec, Korea), (4) Neoplant UCLA (Neobiotec, Korea), (5) Neoplant 5.5mm Solid (Neobiotec, Korea), and (6) ITI SynOcta (Institute Straumann, Waldenburg, Switzerland). Six identical frameworks were fabricated. Abutment screws were tightened to 32-35 Ncm and occlusal screw were tightened to 15-20 Ncm with an electronic torque controller. A mechanical testing machine applied a compressive cyclic load of 20kg at 10Hz to a contact point on each implant crown. Strain gauge recorded the micromotion of the screw joint interface once a second. Data were selected at 1, 500, 5,000, 10,000, 20,000, 30,000, 40,000 and 50,000 cycle and 2-way ANOVA test was performed to assess the statistical significance.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The micromotion of the implant-superstructure in the interface increased gradually through 50,000 cycles for all implant systems. In the case of the micromotion according to cycle increase, Neoplant Conical and Neoplant UCLA system exhibited significantly increasing micromotion at the implant-superstructure interface (p<0.05), but others not significant. In the case of the micromotion of the implant-superstructure interface at 50,000 cycle, the largest micromotion were recorded in the Branemark EsthetiCone, sequently followed by Neoplant Conical, Neoplant UCLA, Branemark AurAdapt, ITI SynOcta and Neplant Solid. Internal connection system showed smaller micromotion than external connection system. Specially, Neoplant Solid with internal connection system exhibited significantly smaller micromotion than other implant systems except ITI SynOcta with same internal connection system (p<0.05). In the case of external connection, Branemark EsthetiCone and Neoplant Conical system with abutment showed significantly larger micromotion than Branemark AurAdapt without abutment (p<0.05).

TGF-${\beta}1$으로 자극한 사람중피세포주에서 조직플라스미노겐 활성제가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Tissue Plasminogen Activator on TGF-${\beta}1$ Pre-Treated Human Mesothelial Cell Line)

  • 이정림;전수진;유영춘;김지혜;이유미;권선중;손지웅;최유진;나문준
    •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 /
    • 제70권5호
    • /
    • pp.405-415
    • /
    • 2011
  • Background: In an effort to find alternative therapeutic agents to prevent excessive fibrosis as a sequela to complicated parapneumonic effusion or empyema, we examined the effect of tissue plasminogen activator (tPA) as a fibrinolytic agent combined with talc or transforming growth factor (TGF)-${\beta}1$ in a human pleural mesothelial cell line, MeT-5A. Methods: MeT-5A cells were stimulated with various doses of talc, doxycycline or TGF-${\beta}1$ for 24 h and then were treated with tPA for an additional 24 h. Cell viability was measured by MTT assay. The production of interleukin (IL)-8 and vascular endothelial growth factor (VEGF) in the culture supernatants was measured by ELISA. Real-time PCR was carried out for measurement of type I collagen mRNA. Results: MeT-5A cells treated with talc showed a dose-dependent increase in production of IL-8. Talc also increased production of type I collagen mRNA at low doses, but talc did not influence the induction of VEGF. Addition of tPA to talc-stimulated cells showed further increases in the production of IL-8, but tPA did not influence the production of VEGF or type I collagen mRNA. TGF-${\beta}1$ increased the production of both VEGF and collagen type I mRNA, both of which were effectively inhibited by additional tPA treatment in MeT-5A cells. Conclusion: TGF-${\beta}1$ is a potent inducer of collagen synthesis without induction of IL-8 in MeT-5A cells. Addition of tPA after TGF-${\beta}1$ stimulation inhibited further fibrosis by direct inhibition of collagen mRNA synthesis as well as by inhibition of VEGF production.

근골격계 통증을 호소하는 과체중 환자 28례에 대한 가미월비가출탕의 효과 및 부작용에 관한 임상적 관찰 (The Effects and Adverse Events of Gamiwolbigachultang on the Changes of Body Composition and Musculoskeletal Pain in 28 Overweight Patients: A Retrospective Observational Study)

  • 곽현영;김지혜;선종인;임성근;권유정;김동혁;이웅인;강중원;이재동;최도영
    • Journal of Acupuncture Research
    • /
    • 제28권5호
    • /
    • pp.103-110
    • /
    • 2011
  • Objectives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 and adverse events of Gamiwolbigachul-tang on the changes of body composition and musculoskeletal pain in overweight patients. Methods : A total of 28 patients with overweight patients who were complaining musculoskeletal pain were treated with Gamiwolbigachul-tang more than 4 weeks between January 2011 and August 2011 in Kyung Hee University Oriental Medical Hospital were observed. We have evaluated the efficacy of treatments by measuring the changes of body composition (Body weight, Body mass index, Skeletal muscle mass, Body fat mass and Waist hip ratio) and musculoskeletal pain. The 28 patients were analyzed according to the distribution of sex, age, body compostition and musculoskeletal pain. Results : 1.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changes on Body weight and BMI in 28 patients after 4 weeks of treatment. 2. Gamiwolbigachul-tang had effect on reducing Body fat mass rather than Fat free mass. 3.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changes on musculoskeletal pains such as lower back pain, knee pain after treatment. 4. There were few side effects except those common complications such as insomnia(3 patients), palpitation(2 patients) and indigestion(1 patients), which did not have effects on everyday living. Conclusions : These results suggest that Gamiwolbigachul-tang will be beneficial for overweight patients with musculoskeletal pain, having both effectiveness and safety.

자폐증 환자의 형제 및 자매의 정서적 특성에 대한 예비연구 (A PILOT STUDY FOR THE EMOTIONAL CHARACTERISTICS OF THE SIBLINGS OF CHILDREN WITH AUTISM)

  • 홍성도;김지혜;심세훈;오창근
    • Journal of the Korean Academy of Child and Adolescent Psychiatry
    • /
    • 제15권1호
    • /
    • pp.75-81
    • /
    • 2004
  • 연구목적:본 연구는 자폐증 아동과 정상인 아동의 형제 자매간의 정서적/행동적 특성을 비교하기 위해 시행 되어졌다. 연구방법:DSM-IV에 의거하여 소아정신과 전문의의 진단, 종합적인 심리평가, 부모와의 면담을 통해 진단받은 만 $10{\sim}16$세 연령범위의 자폐증 환자의 형제군 17명과 정상대조군 17명, 총 34명에게 한국형 소아우울척도, 한국형 소아불안척도, 자기개념척도, 자아존중감 척도를 시행하였으며 한국판 아동청소년 행동평가척도를 부모가 작성한 결과를 t-test로 분석하였다. 결 과:자폐증 형제의 사회성, 총사회능력이 정상군 형제보다 유의하게 작았으나 내현화, 외현화 증상, 우울, 불안, 자기개념 및 자아존중감에서는 두 군사이에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결 론:자폐증 환자의 형제나 자매에게 가정 내 자폐증의 존재는 형제나 자매의 사회성, 총사회능력이 낮추었으나 우울, 불안, 자기개념, 자아존중감 등에는 별영향을 주지 않는 것으로 보인다. 향후 보다 많은 환자군을 대상으로 한 추가 연구가 요구된다.

  • PDF

가출 청소년의 비행 경험에 대한 해석적 연구 (An Interpretive Study on Delinquency Experiences of Runway Youths)

  • 김지혜
    • 한국사회복지학
    • /
    • 제54권
    • /
    • pp.99-121
    • /
    • 2003
  • 본 연구는 가출 청소년의 비행화 과정을 해석적으로 연구함으로써 청소년이 가출 후 비행 행동을 하게 되는 과정을 단계적으로 구성하고 그 사회적 맥락을 밝혀내려 하였다. 청소년이 가출 후 경험하는 상황과 비행 행동이 나타나는 사회적 과정에 대하여 깊이 있는 이해를 얻으며, 이러한 이해를 토대로 이들의 비행 문제를 예방하고 대처하기 위한 서비스 방향을 제시하려 하였다. 연구를 위해 가출 경험이 있는 청소년 11명을 심층인터뷰 하였으며, Denzin(1989)이 제시한 해석적 상호작용주의의 분석 절차에 따라 자료를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가출 청소년의 비행화 과정은 다섯 단계로 출연하였다. 즉, 청소년은 가출 직후 아는 사람을 통하여 생존의 문제를 해결하다가, 새로운 관계를 형성하여 도움을 받고, 점차 독립적으로 생계의 대안을 탐색하는 과정을 거쳐, 비행적 생계 방식을 배우고, 결국 비행으로 홀로 서는 과정을 경험하고 있었다. 이 비행화의 과정은, 청소년이 생존의 방법을 찾는 행위이고, 거리라는 환경에서 성장하는 의미를 가지며, 소통이 단절된 사회 속에서, 그러면서도 사람과의 관계 속에서 진행되는 과정으로 해석되었다. 그러므로 가출 청소년의 문제는 개인이나 가정의 책임으로 국한하여 대처할 것이 아니라, 청소년이 사죄 안에서 생존을 위한 대안을 발견하고 자신의 어려움을 소통하며 안전하게 성장할 수 있도록 사회적 서비스가 구축되어야 함이 제언되었다.

  • PDF

감나무 수령과 감꽃 기관에 따른 휘발성 향기성분 분석 (Analysis of the Volatile Organic Compounds of Persimmon Flower according to Tree Age and Floral Organ)

  • 김지혜;홍세진;신일섭;엄향란
    • 생물환경조절학회지
    • /
    • 제23권4호
    • /
    • pp.321-328
    • /
    • 2014
  • 본 연구는 감꽃의 주요 향기성분을 알아보기 위해서 감나무 수령별로 감꽃의 향기성분을 SPME를 이용하여 분석하고, 기관을 꽃과 꽃받침으로 분류하여 향기성분을 비교하였다. 감나무 수령별 감꽃의 만개율은 15년생 이상, 10-14년생, 5-9년생 순으로 수령이 오래될수록 초기 만개율이 높았다. 감나무 수령에 따른 감꽃 향기성분 분석 시 동정된 주요 향기 성분은 a-pinene, butene, caryophyllene, cubebene, lavandulol, D-limoneneylangene, ylangene 등의 성분을 얻을 수 있었다. 대부분이 green향, fruit계, floral계의 옅은 향도 포함하고 있었다. 감꽃에 존재하는 휘발성 향기성분의 수는 5-9년생은 30종, 10-14년생은 24종, 그리고 15년생 이상에서는 32종으로 수령이 5년 미만과 15년 이상에서 많은 향기성분이 조사되었다. 감꽃을 꽃받침과 나누어 향기성분을 비교하면 단감 '부유' 품종 중 꽃의 향기 성분은 10개이고 상대적인 총 함량은 26.35%이며, 꽃받침은 향기 성분은 14개이고 상대적인 총 함량은 46.28%로 꽃에 비해서 더 다양한 향기성분이 존재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반면 떫은감 '둥시' 품종은 꽃에서는 6개의 향기성분이 17.58%, 꽃받침에서는 9개의 향기 성분이 50.27%로, '부유' 품종에 좀더 다양한 향기성분이 존재하였다. 본 연구는 감꽃 향기를 이용하고자 하는 향기산업에 기초자료를 제공하는데 기여할 것이다.

두개강내 소아 수막종 16예의 자기공명영상 소견 (MR Imaging of Intracranial Pediatric Meningiomas: Manifestations in 16 Patients)

  • 어홍;김지혜
    • Investigative Magnetic Resonance Imaging
    • /
    • 제12권2호
    • /
    • pp.188-196
    • /
    • 2008
  • 목적: 이 연구의 목적은 소아 수막종의 임상적, 영상의학적, 그리고 병리학적 특징을 기술함에 있다. 대상 및 방법: 병리학적으로 진단된 수막종을 가진 16예의 소아환자를 대상으로 임상기록과 자기공명영상을 후향적으로 분석하였다. 평균연령은 14세 (3-18세)였다. 자기공명영상은 병변의 크기, 신호강도, 경계부의 특징, 내부 구조, 조영증강, 그리고 경막과 뇌실질의 변화를 검토하였고 다른 영상 방법 및 병리소견을 함께 분석하였다. 결과: 종양의 평균 크기는 5.24 cm (1.3-18.1 cm)였으며 12예는 천막상부에 4예는 천막하부에 위치하였다. T2 강조 영상에서 높은 신호강도를 보이는 종양이 9예 있었고 4예에서 동신호강도를, 3예에서 낮은 신호강도를 보였다. T1 강조 영상에서는 낮은 신호강도 11예, 동신호강도 4예, 그리고 높은 신호강도 1예가 있었다. 모든 종양의 경계가 좋았고 조영증강을 보였다. 5예에서 종양은 균질한 양상을 보였으며 나머지에는 낭종이나 괴사에 의해 비균질한 양상을 보였다. 경막 부착 소견이 11예에서, 뇌실질 부종이 10예에서 동반되었다. 컴퓨터 단층촬영 소견은 6예에서 밝은 음영을 보였으며 5예에서 석회화를 동반하였다. 혈관 조영술 상 3예는 내경동맥에서, 4예는 외경동맥으로부터 혈액 공급이 이루어졌다. 병리검사결과 종양의 아형은 이행성 (4예), 수막세포성 (4예), 척삭성 (2예), 섬유성 (2예), 투명세포성 (1예), 유리질화성 (1예), 횡문근양 유두모양 (1예), 그리고 비정형(1예) 수막종으로 진단되었다. 결론: 소아의 수막종은 주로 10대에 발생하며 다양한 병리학적 아형을 보일뿐만 아니라 비정형적인 영상 소견으로 인해 축내 종양으로 오인될 수 있다.

  • PDF

신생아 중환자실을 퇴원하는 고위험 환아에서 순차적인 뇌초음파 검사 후 시행한 자기 공명 영상의 유용성 (Usefulness of Magnetic Resonance Imaging after Serial Cranial Ultrasound in the Neonates Graduating Neonatal Intensive Care Unit)

  • 김지혜
    • Investigative Magnetic Resonance Imaging
    • /
    • 제12권2호
    • /
    • pp.170-177
    • /
    • 2008
  • 목적 : 순차적인 뇌초음파 검사 후 신생아 중환자실을 퇴원하는 고위험 환아에서 시행한 자기 공명 영상의 유용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 총 121명의 신생아에서 시행한 412 초음파와 121 자기공명 영상을 후향적으로 분석하여 초음파 검사에서 발견된 뇌병변과 자기 공명영상에서 발견된 병변을 비교하였다. 뇌병변은 배아기질 출혈 및 뇌실 내 출혈, 그 밖의 여러 출혈과 뇌실질 손상을 중심으로 비교 분석하였다. 결과 : 총 242개의 측뇌실 중 30뇌실의 배아기질 출혈 (GMH)을 초음파로 진단하였고 자기공명영상으로 7개의 GMH를 추가로 진단할 수 있었으며 46개 뇌실의 출혈 (IVH)을 추가로 진단하였다. 출혈의 1/2/3/4 등급은 초음파에서 각각 24/8/13/0 뇌실에서 진단하였고 자기공명영상에서 3/49/10/2 뇌실에서 진단하였다. 그 외에 자기공명영상에서 대뇌 출혈 (4예), 소뇌 출혈(4예), 경막하 및 지주막하 출혈 (8예), 미만성 백질 신호강도 변화 (72예), 조직손실이 없는 작은 실질 병변 (4예), 뇌연화증 (2예), 그리고 뇌실확장 (5예)이 추가로 발견되었다. 결론 : 자기공명영상은 초음파 검사 후 두개강내 출혈과 뇌실질 손상을 추가적으로 진단하는 유용한 검사였으며 특히 뇌실 출혈과 백질 손상의 진단에 우수한 반면 배아기질 출혈은 초음파 추적검사가 더 유용할 것으로 생각한다.

  • PDF

주의력 결핍/과잉행동장애 아동의 실행 능력 (EXECUTIVE FUNCTIONS OF ATTENTION DEFICIT/HYPERACITIVITY DISORDER)

  • 김지혜;홍성도
    • Journal of the Korean Academy of Child and Adolescent Psychiatry
    • /
    • 제10권1호
    • /
    • pp.15-20
    • /
    • 1999
  • 요 약:본 연구의 목적은 주의력 결핍/과잉행동 장애 아동의 실행 능력을 비교 집단인 신경증 집단과 비교하고자 하였으며, 특히 연령 변화에 따른 실행 능력의 변화를 비교 고찰하였다. 방 법:대상은 DSM-IV 진단준거에 의하여 ADHD로 진단 받은 아동들로, 연령 범위는 6세에서 16세까지의 아동 87명(남자 77명, 여자 10명)이다. 대조군은 경미한 우울 장애, 경미한 불안 장애를 보이는 19명의(남자 14명, 여자 5명) 아동들로 이하 신경증 집단으로 분류하였다. 모든 아동에게 1:1로 WCST를 실시하였으며, Heaton(1981)의 방식을 computer version으로 실시하였다. 연구에서 측정한 WCST의 종속측정치는 총시도횟수, 정반응수, 오반응수, 보속반응수, 보속오류수, 첫 범주를 마치는데 요구된 시도수, 유지실패수, 완성된 범주수 이다. 이때, 연령 및 진단을 함께 고려하여 이원변량분석(2-way ANOVA) 및 t-test 검증을 실시하였다. 결 과:ADHD 집단과 Neurosis 집단 간에 WCST의 수행을 비교한 결과는 정반응수, 오반응수, 비보속 오류수, 개념반응, 완성된 범주수에서 두 집단 간에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내었다. 연령에 따라 WCST의 수행을 비교한 결과 총시행수, 오반응수, 보속 반응수, 보속 오류수, 비보속 오류수, 완성된 범주수, 첫범주 완성 시도수에서, 의미있는 차이를 나타내었다. 결 론:ADHD 집단은 대조군에 비하여, 외부 feedback에 맞춰 자신의 반응을 수정해 가는 능력이 부족하며, 자기-통제를 하지 못한 채 무작위적인 반응을 했을 가능성을 시사하고 있다. 하지만 보속 오류수, 보속 반응수에서는 차이가 나타나지 않고 있어 이에 대한 해석에 주의를 요하고 있다. 또한 연령 변화에 따라 실행 능력 전반에 걸쳐 변화가 나타나고 있다는 것은 실행 능력을 연구할 때 발달적인 측면이 꼭 고려되어야 함을 시사한다.

  • PDF

피로인산염과 셀룰로오스 배합 세치제의 마모력과 세정력에 관한 연구 (A Study of Toothpaste Containing Pyrophosphates and Cellulose on the Abrasivity and Cleaning Power)

  • 김병준;김지혜;하원호;안재현
    • 치위생과학회지
    • /
    • 제13권1호
    • /
    • pp.83-90
    • /
    • 2013
  • 함수 피로인산나트륨과 셀룰로오스를 배합한 세치제에 대하여 비교치아마모도평가, 세정력평가, 산성음료 처리 후 치아마모도 평가 및 설문조사를 실시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비교치아마모도 평가결과 값은 실험세치제에서는 $0.49{\pm}0.89$, 대조세치제에서는 $49.50{\pm}4.68$로 나타났으며(p<0.05), 이는 실험세치제가 치아 상아질을 거의 마모시키지 않는다는 것을 의미한다. 2. 세정력평가에서는 실험세치제와 대조세치제 간의 통계적 유의성은 나타나지 않았다(p>0.05). 3. 산성음료 처리 후 치아마모도 평가는 실험세치제가 산성음료 처리 후 칫솔질 후에도 유의성 있게 대조세치제에 비하여 치아를 거의 마모시키지 않음을 확인하였다(p<0.05). 4. 설문 조사결과, 상쾌함, 상쾌함의 지속성 및 전반적 만족도는 실험세치제와 대조세치제가 비슷한 것으로 평가되었다(p>0.05). 함수 피로인산나트륨과 셀룰로오스를 배합한 세치제는 세정력은 가지면서 산성음료 섭취 후 칫솔질 함에도 치아의 마모가 거의 없는 세치제 개발의 가능성을 보여주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