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김지하

Search Result 1,553, Processing Time 0.03 seconds

Statistical Characteristics of Groundwater Level Time Series at Groundwater Monitoring Wells in Korea (국내 지하수 관측소의 지하수위 시계열자료의 통계적 특성)

  • Hwang, Chan-Ik;Hwang, Tae-Wong;Kim, Gyoo-Bum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0.06a
    • /
    • pp.287-287
    • /
    • 2020
  • 2016년말 우리나라의 지하수 관측망은 국가지하수관측망, 지역지하수관측망, 수질전용측정망, 해수침투 관측망 등 다양한 목적하에 약 5,790개가 운영되고 있으며, 평균적으로 약 10년 정도의 관측 기간을 보유하고 있다. 이들 중에서 일 1회 이상 자동관측이 이루어지는 679개를 대상으로 지하수위 시계열자료의 특성을 분석하였다. ARIMA 분석 결과, AR(p) 모델은 전체의 56.8%인 386개, MA(q) 모델은 90.7%인 616개, Integration(d) 모델은 96.5%인 655개로 나타났다. AR(p) 모델중 가장 많은 경우를 보인 것은 AR(1), AR(2), AR(3) 등의 순이며, MA(q) 모델중 가장 많은 경우를 보인 것은 MA(2), MA(1), MA(3) 등의 순이며, Integration(d) 모델은 I(1), I(2)의 순으로 나타났다. AR(1) 모델이 가장 많은 것은 강우에 대한 지하수위의 교차상관의 lag time이 1 ~ 2일인 경우가 가장 많으므로 이전 시점의 지하수위에 의하여 현재 지하수위가 결정된다는 점을 의미한다. Integration이 많이 나타난 이유는 주기적 또는 지속적인 변동성이 지하수위에 나타나고 있음을 보여준다. 지하수위의 시계열 특성의 분류 및 그 원인을 평가하여 각 관측소별 지하수위 변동성을 정의함으로써 추후 지하수위 시계열자료의 분석 목적에 부합하는 자료 선별에 기여하고자 한다.

  • PDF

Development of 3D Underground Utilities Processing and Partial Update Automation Technology - Focused on 3D Underground Geospatial Map - (3차원 지하시설물 가공 및 부분갱신 자동화 기술개발 - 지하공간통합지도 중심으로 -)

  • LEE, Min-Kyu;CHOI, Sung-Sik;JEON, Heung-Soo;KIM, Sung-Su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Information Studies
    • /
    • v.23 no.4
    • /
    • pp.1-15
    • /
    • 2020
  • As cities expand and underground utilities construction projects increase, there is an urgent need for a technology capable of analyzing the underground utilities network in 3D. Since 2015, 3D Underground Geospatial Map project, that has been integrating 15 types of underground information such as underground utilities, underground structures, and ground information, is in progress in S. Korea. However, the construction of 3D underground facilities is currently based on manual work and the logic for building a 3D model is very complicated. And it takes a lot of time and cost to process millions of large amounts of data per local governments. By presenting a framework on the processing and partial updating of the 3D underground utilities model, this paper aims to establish a plan to quickly build a 3D underground utility model at a minimum cost. The underground utilities processing and partial update automation technologies developed in this study are expected to be immediately applied to the 3D Underground Geospatial Map project.

Development of an Automatic Updated System for Underground Structures (지하구조물 자동갱신 시스템 개발)

  • LEE, Min-Kyu;HAN, Sang-Hoon;KIM, Sung-Su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Information Studies
    • /
    • v.24 no.4
    • /
    • pp.82-98
    • /
    • 2021
  • In recent years, as the number of ground subsidence has increased nationwide, the latest and usefulness of underground information for underground space development and underground safety management has become more important than ever. However, the 3D Underground Geospatial Map project, which started in 2015, has a problem with the manual-based long-term update system. This research paper overcomes these limitations and automatically updates the 3D CAD/GIS-based integrated management of underground structures that can be managed automatically from a full-cycle perspective of underground structure data management such as processing, transformation, updating, management, and visualization of 2D/3D underground structure data. If this technology is applied, it is possible to integrate processing and update management of the existing complex 3D construction logic of underground structures in one system, and it is expected that it can be used for underground space development and underground safety management as a foundation technology for automatic update of underground structures data.

Development of the seasonal vulnerability assessment method of groundwater resources use in Yeongsan river Basin (금강 유역의 분기 단위 지하수자원 이용 취약 시기 평가 방법 개발)

  • Lee, Jae-Beom;Yang, Jeong-Seok;Kim, Il-Hwan;Lim, Jae-Deok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9.05a
    • /
    • pp.222-222
    • /
    • 2019
  • 최근 기후변화로 인한 강우사상의 변화로 가뭄 발생 횟수와 기간이 늘어나는 추세이다. 2013~2018년 전국적으로 장기적인 가뭄이 발생함에 따라 상수도 미 급수 지역에 대한 추가 용수 공급방안을 적용하여 지역 주민의 물 이용 문제를 해결한 바 있다. 장기적으로 물 이용에 대한 갈등이 심화될 것으로 예상되는 가운데 지하수자원의 취약성에 대한 연구가 지속적으로 진행되고 있다. 기존의 연구에서는 주로 지역적인 특성을 반영할 수 있는 매개변수를 설정하고 매개변수 별가중치를 산정하여 공간적인 지하수자원 이용 취약성 평가를 실시하였다. 공간적인 취약성 평가결과는 지하수자원 이용 시기 결정 및 대체 수자원 이용 정책 결정 등 구체적인 대안을 마련하는 근거로서 한계가 있기 때문에 최근 지하수자원 이용에 대한 시간적인 취약성 평가 방법을 개발하는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본 연구는 보다 구체적인 지하수자원 이용 시기를 결정하기 위하여 금강 유역을 대상으로 분기 별 지하수자원 이용 취약 시기 평가 방법을 개발하였다. 분기 별 지하수자원 이용 취약 시기평가 방법을 개발하기 위하여 우선 연구지역의 지하수위, 하천수위, 강수량 자료를 수집하였다. 수문 관측자료 간의 관계 분석을 통해 물 순환 측면에서의 물리적인 의미를 규명하기 위하여 강수량 자료에 한계침투량 개념을 적용한 강우이동평균 방법을 적용하였고, 하천수위 자료에 대하여 이동평균 방법을 적용하였다. 분기 단위의 지하수자원 이용 취약 시기를 평가함으로써 금강 유역의 지하수자원 이용 취약 시기를 결정하였다. 본 연구는 기존의 공간적인 취약성 평가 방법과 함께 지하수자원 이용 취약성에 대한 시공간적 분석 결과를 제공함으로써 보다 구체적인 지역 별분기 단위 지하수자원 이용 취약 시기를 결정하고, 지역 맞춤형 지하수자원 이용 및 개발 정책에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