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기후적

Search Result 5,895, Processing Time 0.04 seconds

Flood Simulation and Estimation of Flood damage Gyeongan River basin using Climate Change Scenarios (기후변화 시나리오를 이용한 경안천 유역의 홍수범람 모의 및 홍수피해액 산정)

  • Han, Dae Gun;Kim, Duck Hwan;Choi, Chang Hyun;Hong, Seung Jin;Kim, Hung Soo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5.05a
    • /
    • pp.586-586
    • /
    • 2015
  • 전 세계적으로 기후변화가 심화됨에 따라 기상이변으로 인한 홍수, 가뭄, 태풍 등의 기상재해가 급격히 증가하고 있으며, 피해규모는 물론 생명과 재산피해도 증가하는 추세이다. 기후변화에 의한 온도상승은 증기압을 더 증가시켜 홍수를 유발할 수 있는 강우의 잠재력을 증가시키고 있다(IPCC, 2001). 즉, 수문순환 과정을 빠르게 진행시키고 극한 수문사상의 빈도를 증가시키고 있기 때문에 기후변화가 홍수 재해 및 관리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고, 그에 따른 구조적, 비구조적 대책을 수립하는 것은 미래 치수계획에 있어 아주 중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IPCC 5차 평가보고서(AR5, 2013)에서 제시한 RCP 시나리오를 이용하여 경안천 유역의 홍수 범람을 모의하고 이에 따른 홍수피해액을 산정하였다. RCP4.5 시나리오와 RCP8.5 시나리오를 사용 하였으며, 목표기간별로(Reference : 1971~2005년, 목표기간I : 2006~2040년, 목표기간II : 2041~2070년, 목표기간III : 2071~2100년) 강우 유출분석 모형에 적용해 미래 기후변화가 경안천 유역의 홍수범람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 다차원홍수피해산정법(MD-FDA)을 통해 홍수 피해액을 추정하였다. 이를 통해 끊임없이 발생하는 자연재해로부터 보다 경제적 효과적으로 홍수피해 저감효과를 증대시킬수 있는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 한다.

  • PDF

Assessing the Performance of CMIP5 GCMs for Various Climatic Elements and Indicators over the Southeast US (다양한 기후요소와 지표에 대한 CMIP5 GCMs 모델 성능 평가 -미국 남동부 지역을 대상으로-)

  • Hwang, Syewoon
    • Journal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 /
    • v.47 no.11
    • /
    • pp.1039-1050
    • /
    • 2014
  • The goal of this study is to demonstrate the diversity of model performance for various climatic elements and indicators. We evaluated the skills of the most advanced 17 General Circulation Models (GCMs) i.e., CMIP5 (Climate Model Inter-comparison project, phase 5) climate models in reproducing retrospective climatology from 1950 to 2000 over the Southeast US for the key climatic elements important in the hydrological and agricultural perspectives (i.e., precipitation, maximum and minimum temperature, and wind speed). The biases of raw CMIP5 GCMs were estimated for 16 different climatic indicators that imply mean climatology, temporal variability, extreme frequency, etc. using a grid-based observational dataset as reference. Based on the error (RMSE) and correlation (R) of GCM outputs, the error-based GCM ranks were assigned on average over the indicators. Overall, the GCMs showed much better accuracy in representing mean climatology of temperature comparing to other elements whereas few GCM showed acceptable skills for precipitation. It was also found that the model skills and ranks would be substantially different by the climatic elements, error statistics applied for evaluation, and indicators as well. This study presents significance of GCM uncertainty and the needs of considering rational strategies for climate model evaluation and selection.

The Analysis of Discharge According to Climate Change in Han River Basin (기후변화에 따른 한강유역의 홍수 유출량 분석)

  • Um, Myoung-Jin;Nam, Woo-Sung;Shin, Ju-Young;Joo, Kyung-Won;Heo, Jun-Haeng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1.05a
    • /
    • pp.256-260
    • /
    • 2011
  • 최근 들어 우기시 집중호우로 인한 홍수가 자주 발생하는 편이다. 이러한 현상은 우리나라를 지배하는 일정한 기후양상이 지구 온난화 등의 범지구적인 기후변화 양상에 의하여 변화된 영향으로 판단되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기후변화가 미치는 영향은 강우에 직접적으로 나타나며 이는 곧바로 홍수에도 변화가 나타남을 의미한다. 그러므로 "기후변화에 따른 한강유역의 Scaling Invariance와 NSRPM을 이용한 확률강우량 추정"에서 산정된 시나리오별 확률강수량을 적용하여 홍수 유출량을 산정하는 것은 매우 의미가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본 연구에서는 적용지역으로 우리나라의 대표적인 유역인 한강유역을 선정하였다. 유출량은 HEC-1을 이용하여 산정하였으며, 입력매개변수 중 강수인자는 선행연구에서 NSRPM으로 산정한 확률홍수량을 적용하였으며, 나머지 인자는 한강유역종합치수계획(2008)을 참조하였다. 산정방법으로는 Clark 단위도법을 적용하였으며, NRCS의 CN값을 사용하였다. 2010년을 기준으로 30년 간격으로 이동 구분된 7개의 기후변화 시나리오에 의거하여 홍수유출량을 산정 및 분석하였다. 또한 공간적으로도 도시하여 한강유역의 대표지점에서의 유출량 변화양상 또한 제시하였다. 이러한 산정결과는 향후 기후변화양상을 고려한 수문 설계시 편리하게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 PDF

Economic Analysis of Climate Change to Establish Effective Adaptation Policies (효율적 기후변화 적응대책 수립을 위한 기후변화의 경제학적 분석)

  • Chae, Yeo-Ra;Youm, Yoo-Na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Environmental Engineers
    • /
    • v.32 no.9
    • /
    • pp.818-829
    • /
    • 2010
  • This paper provides an extensive overview of the literature on economic analysis of climate change, and thereby provides direction for effective adaptation policies for Korea. The paper first gives a comprehensive look on the estimation of economic costs of climate change as given by various research. Following, the paper examines the choice of measures that are used in the economic analysis of climate change by different sectors, including agriculture and human health. The paper also compares and discusses the various analytic results with a focus on Korea in order to shed light on where Korea stands. Finally, the paper examines current literature on adaptation polices in response to climate change, and by examining how such research has evolved and deepened with time, provide directions for the research on adaptation policies for Korea.

Assessment of Water Supply of Pumped-Storage Type Reservoir according to Climate Change (기후변화에 따른 양수저류형 저수지 용수공급능력 평가)

  • Lee, Jaenam;Shin, Hyungjin;Kim, Haedo;Kang, Seokma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8.05a
    • /
    • pp.224-224
    • /
    • 2018
  • 농업용저수지는 전국에 약 18,000여 개소에 이르며 지역특성에 따라 농업용수를 공급하는 체계가 각각 다르다. 저수지 용수공급체계는 자체유역에서 확보된 용수를 해당 수혜면적에 공급하는 것이 대표적이지만, 유역면적이 작거나 없어 용수확보가 어려운 지역은 양수시설을 통해 간접유역의 하천수나 재이용수 등을 저수지에 저류한다. 양수저류형 저수지의 설계를 위해 다양한 양수조건을 고려한 물수지분석을 수행하고 저수지의 설계용량 및 적정 양수량을 결정하고 있다. 그러나 최근 기후변화 등으로 인해 수자원 환경의 변화로 농업용수가 부족해지고 있는 상황 속에서 양수 저류형 저수지에 대한 용수공급능력의 재평가가 필요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기후변화에 따른 양수저류형 저수지의 용수공급능력을 재평가하였고, 물 부족을 극복하기 위한 적정 양수량을 산정하였다. 대상저수지는 ${\bigcirc}{\bigcirc}$저수지로 선정하였고 저수지 모의운영을 위한 양수량, 관개 재이용수 비욜 등의 입력정보는 당초 설계에 적용된 값을 사용하였다. 과거 기상자료는 1980-2010년, 미래 기후정보는 2011-2100까지로 RCP 4.5와 RCP 8.5 기후변화 시나리오를 적용하였다. 과거 및 미래 기후정보를 적용하여 양수저류형 저수지의 모의운영을 수행하고 이수안전도 90%의 만족여부를 검토하였다. 또한 기후변화에 대비하여 안정적 용수공급을 위한 적정 양수량을 산정하고 이를 비교 분석하였다. 본 연구결과는 물 부족 지역의 농업용수 공급을 위한 양수저류형 저수지 운영에 있어 저수지 물관리의 기초정보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PDF

Review of Multilateral Development Bank's Methodologiesfor Consideration of Climate Change Impactsin Project Due Diligence (기후변화 영향평가와 사업심사 연계를 위한 다자개발은행의 방법론 고찰)

  • Jang, Yoojung
    • Journal of 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
    • /
    • v.31 no.2
    • /
    • pp.106-116
    • /
    • 2022
  • Multilateral Development Banks (MDBs) have actively responded to global climate change, and developed and operated the Common Principles for Climate Finance Tracking. They estimate climate finance in a granular manner with a conservative view. In other words, the MDBs track their financing only for those elements or proportions of projects that directly contribute to or promote climate adaptation or mitigation. The MDBs have reported jointly on climate finance since the first edition in 2012, which reported for 2011 and up to the 10th edition in 2021, which reported for 2020. MDBs apply two difference methodologies for adaptation and mitigation. For adaptation, the methodology is based on a context and location specific approach and captures the amounts associated with activities directly linked to vulnerability to climate change. For mitigation, it is evaluated in accordance with a comprehensive list of activities thatreduce greenhouse gas emissions. The result of climate risk assessment is one of the major due diligence items for MDBs alongside with that of environmental and social impact assessment. Under the circumstance that many countries endeavor to deal with climate change at project level, it is meaningful to understand how MDBs have addressed climate change issues in their project approval process. This would be a good reference to establish a methodology for responding to climate change and to expand scope of environmental and social impact assessment.

Review of the Spatial Unit for Analysis on Disaster Vulnerability of Climate Change (기후변화 재해취약성 분석의 공간단위 검토)

  • Park, Jong Young;Lee, Jung Sik;Son, Ho Geu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7.05a
    • /
    • pp.372-376
    • /
    • 2017
  • 기후변화에 따른 재해취약성 분석에 있어 분석단위가 되는 집계구 단위와 더불어 동 단위를 추가하여 기후노출의 공간분석단위에 대한 검토를 실시하였다. 기후노출에 대한 분석은 도시 기후변화 재해취약성분석 매뉴얼(Ver 3.0)에서 제시되고 있는 ArcGIS의 Jenks 최적화방법을 활용하여 네 단계로 구분하였다. 기후노출지표는 폭우재해의 연평균 80mm/일 이상 강우일수, 연평균 시간최대강우량의 두 가지 지표를 활용하였으며 현재 기후노출지표만을 고려하여 분석하였다. 분석에 요구되는 기후노출 지표값은 경상북도 인근의 최근 10년간 기상청 강우 자료를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공간분석 단위의 검토 결과, 기후노출 지표 특성에 따라 기후노출의 지리적 분포양상은 다르게 나타나며, 현재 매뉴얼에서 제시하고 있는 집계구 단위를 통한 분석과 추가적인 동 단위를 통한 분석은 지역별로 직접영향권과 간접영향권이 뒤바뀌는 양상까지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재해취약성 분석에 있어 재해특성별 공간분석 단위의 결정은 도시기본계획, 도시관리계획 등의 활용성을 감안해 볼 때 매우 신중히 결정되어야 할 사항이며, 공간분석 단위의 결정에 대한 연구가 향후 꾸준히 이루어져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 PDF

Future Projection of Climatic Zone Shifts over Korean Peninsula under the RCP8.5 Scenario using High-definition Digital Agro-climate Maps (상세 전자기후지도를 이용한 미래 한반도 기후대 변화 전망)

  • Yun, Eun-jeong;Kim, Jin-Hee;Moon, Kyung Hwan
    • Korean Journal of Agricultural and Forest Meteorology
    • /
    • v.22 no.4
    • /
    • pp.287-298
    • /
    • 2020
  • It is predicted that future climate warming will occur, and the subtropical climate zone currently confined to the south coast of Korea will gradually rise north. The shift of climate zone implies a change in area for cultivating crops. This study aimed to evaluate the current and future status of climate zones based on the high-resolution climate data of South Korea to prepare adaptation measures for cultivating crops under changing agricultural climate conditions. First, the climatic maps of South and North Korea were produced by using the high-resolution monthly maximum and minimum daily temperature and monthly cumulative precipitation produced during the past 30 years (1981-2010) covering South and North Korea. Then the climate zones of the Korean Peninsula were classified based on the Köppen climate classification. Second, the changes in climate zones were predicted by using the corrected monthly climate data of the Korean Peninsula (grid resolution 30-270m) based on the RCP8.5 scenario of the Korea Meteorological Administration. Köppen climate classification was applied based on the RCP8.5 scenario, the temperature and precipitation of the Korean Peninsula would continue to increase and the climate would become simpler. It was predicted that the temperate climate, appearing in the southern region of Korea, would be gradually expanded and the most of the Korean Peninsula, excluding some areas of Hamgkyeong and Pyeongan provinces in North Korea, would be classified as a temperate climate zone between 2071 and 2100. The subarctic climate would retreat to the north and the Korean Peninsula would become warmer and wetter in general.

Clinton Climate Initiative (클린턴 기후변화 이니셔티브)

  • Lee, Hui-Song
    • The Magazine for Energy Service Companies
    • /
    • s.55
    • /
    • pp.36-39
    • /
    • 2008
  • 클린턴 기후변화 이니셔티브(이하 CCI)는 미국의 빌 클린턴 전 대통령이 실질적이고, 측정이 가능하면서도 획기적인 방법으로 기후 변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시작한 프로그램이다. 현재 각국의 정부 및 자치단체들과 협력하여 다양한 사업을 펼치고 있는 CCI에 대해 알아본다.

  • PDF

Vulnerability assessment on the location of industrial complex considering climate change -Focusing on physical and economic features of province·industrial complex - (산업단지의 입지적 요건을 고려한 기후변화 취약성 평가 - 지자체 및 산업단지의 물리적·경제적 특성에 집중하여 -)

  • Kim, Yoonjung;Lee, Dongkun;Seo, Changwan;Ryu, Jieun;Chae, Yeora;Baek, Gyounghye;Bae, Chae-Young
    • Journal of 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
    • /
    • v.22 no.6
    • /
    • pp.627-637
    • /
    • 2013
  • 기후변화가 산업단지에 미치는 영향은 지자체에까지 확산될 수 있으며 물리적, 경제적인 영향이 미쳐지므로 어떠한 물리적, 경제적 변수에 의해 산업단지의 피해가 초래되는지 규명될 필요가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국가 산업단지를 대상으로 산업단지 및 입지 시군구의 물리적, 경제적 특성을 기반으로 한 기후변화 취약성 평가를 수행하고 산업단지 입지에 영향을 미치는 시간, 공간별 극한기후를 규명하고자 하였다. 산업단지의 극한기후에 의한 취약성은 IPCC에서 제안한 상향식 취약성 평가 방법을 따라 분석되었으며 전력요구도, 위험지역유무 등 단지의 물리적 입지조건과 입지 지자체의 기반시설 현황, 지자체와 산업단지의 경제적 특성 등이 평가 기준으로 연구되었다. 기후노출, 민감도, 적응 능력의 항목별 가중치와 항목내 변수들의 가중치 분석에 AHP가 적용되었다. 본 연구는 홍수, 가뭄, 혹서, 혹한, 해수면상승에 대해 취약 입지 시군구를 밝혔고 홍수와 가뭄, 혹서와 혹한별로 대비되는 취약성 결과가 나옴을 고찰하였다. 또한, 각 극한기후별로 적응능력 함양이 시급한 시군구를 밝혀 지자체 차원의 노력이 필요한 시군구를 규명하였다. 서울시 금천구는 산업단지 입지에 가장 취약한 지역으로 나타났으며 홍수, 혹한에서 높은 취약성을 보임이 분석되었다. 한편, 극한기후의 발생에도 불구하고 전반적으로 낮은 취약성을 보인 산업단지 입지 지자체는 광주광역시, 전라북도 익산, 제주시 등으로 분석되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산업단지의 업종에 따라 적합하지 않은 입지 지역을 규명하였으며 향후 산업단지 입지의 잠재 기후변화 영향을 고려한 의사결정을 지원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