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기후변화정책

Search Result 817, Processing Time 0.031 seconds

Assessment of Flood Mitigation Policy in Urban Watershed using Climate Change Scenarios (기후변화 시나리오를 이용한 도시유역의 홍수 대응 정책 평가)

  • Hee Won Jee;Seung Beom Seo;Jiheun Kim;Jaepil Cho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3.05a
    • /
    • pp.498-498
    • /
    • 2023
  • 정부와 지자체는 기후변화로 인한 홍수 피해를 저감하고자 내수배제 용량 증대, 건전한 물환경 조성 등 다양한 방향의 정책들을 제시하고 있다. 각 지자체 별로 다양한 홍수 대응 정책들을 반영하고 있지만, 2022년 집중호우에 의한 도심지역 침수 피해 사례와 같이 기후변화로 인하여 증가된 홍수량에 대한 적절한 대비를 못하고 있다. 따라서 지자체는 현재의 홍수 대응 정책들과 더불어 추가적인 홍수 대응 정책을 시행하여야 하며, 지속가능한 개발을 고려한 유역의 건전한 물순환을 유지해야 한다. 본 연구에서는 토지피복 등 유역의 특성을 고려하여 실행 가능한 홍수 정책들의 대응 효과를 분석하고, 기후변화 시나리오를 반영한 미래 빈도분석 결과를 반영하여 최적의 홍수 대응 정책 대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연구에서 선정한 홍수 대응 정책은 우수관거 용량을 증대시키는 관거 교체 정책, 지속가능한 저영향개발 기법을 적용한 투수성 포장과 옥상녹화 정책을 선정하였다. 미래 강우 시나리오는 3개의 CMIP6 GCM모형(ACCESS-CM2, CanESM5, GFDL-ESM4)과 2개의 SSP-RCP 시나리오(SSP1-26, SSP5-85)를 사용하였다. 홍수 저감 효과는 도시유출해석모형인 SWMM 모형으로 분석하였다. 또한, 정책 이행에 발생하는 공사와 운영 비용을 산정하여 경제적 편익 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투수성 포장과 우수관거 용량 확대 정책을 반영하는 정책 시나리오가 가장 경제적인 홍수 저감 효과를 가져오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본 연구의 정책별 경제적 비용과 홍수 저감 효과 분석은 기후변화에 대비한 도시유역의 홍수 대응 정책을 평가하고 우선순위를 선정하는데 있어 기여 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PDF

Analysis of Perception of Climate Change Using Social Media (소셜미디어를 활용한 기후변화에 대한 인식변화 분석)

  • Seo, HyunJung;Yoon, Jungsub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 /
    • v.22 no.9
    • /
    • pp.29-45
    • /
    • 2022
  • This study aims to analyze how the public perceive the climate change in South Korea. The climate change has been highlighted due to its social and environmental impact on future society during decades. In recent, the outbreak of COVID-19 alerted the causal relationship between diseases and the climate change and forced decision-makers to cope with possible future epidemics. Along with the social and political importance of the climate change, the perception and actions of the public also become significant. Thus, this study analyzes the trends in the public perception of climate change before and after the COVID-19, using social media big data from March 1, 2019 through February 28, 2022. The results show that the negative perception dominated the public's perception, but a little positive perception implies that numerous policies on the climate change may help the public convert their negative perception to the positive. This study may help the decision-makers develop future policies and strategies on the climate change and carbon neutrality by considering the demand-side perception, such as South Korean perception.

Investigation on Enhancing Efficiency in International Cooperation for Climate Change Adaptation of Republic of Korea (우리나라의 기후변화적응 국제협력에 대한 고찰)

  • Park, Yong-Ha;Chung, Suh-Yong;Son, Yowhan;Lee, Woo-Kyun
    • Journal of Climate Change Research
    • /
    • v.1 no.2
    • /
    • pp.179-188
    • /
    • 2010
  • To cope with various issues in the aspect of climate change adaptation of UNFCCC, Korea began preparing a Five-year National Climate Change Adaptation Plan in 2010 to be implemented from 2011~2015, for the purposes of securing a concrete system to adapt to climate change. Compared with the policies and measurement tools of developed countries, Korea's climate change adaptation capabilities suffers from a number of limitations including insufficiencies of basic information, human resources for research on climate change, and technology in risk and vulnerability assessment. At the same time, Korea maintains superior information technology systems, and comparatively strong climate change adaptation technologies. Recently, with the establishment of the Korea Adaptation Center for Climate Change as a specialized research organization in climate change adaptation, Korea has upgraded its ability to adapt to climate change and to provide support to other Asian countries which are vulnerable to climate change. In consideration of the close relation between climate change adaptation policy and technology development with the environmental industry, Korea's pursuit of cooperation and technical support for developing countries in the Asia region can be seen as the commencement of a long term investment for the nation's future. International cooperation on climate change adaptation between countries in the region can build a mutually complementary and integrated partnership in business, research, education, and other areas. Furthermore, Korea can also participate in the exploration of common issues as landmark projects that can attract global interest with developing countries.

A Study on the Energy Policy to Respond to the Climate Change in Germany (I) (독일의 기후변화에 대응한 에너지정책에 관한 고찰 (I))

  • Ahn, Young-Jin
    • Journal of the Economic Geographical Society of Korea
    • /
    • v.16 no.1
    • /
    • pp.135-148
    • /
    • 2013
  • This paper attempts to explain the energy policy to respond to climate change that is debated in recent years. Especially by the case of Germany among developed countries, the study investigates the direction, strategy and measure of energy policy which are implemented at the national level. The Energy policy of Germany revealed through this study will provide implications for the establishment and propulsion of the energy policy trying to overcome the crisis of energy resources and reduce greenhouse gas emissions. Firstly, this study reviews Germany's supply and consumption of energy and trends of greenhouse gas emission, and secondly discusses the process of the historical development of Germany's energy policy.

  • PDF

Comparison of climate extremes under different RCP-SSP scenarios (RCP 및 SSP 기후변화 시나리오 기반 극한기후사상 전망 비교)

  • Jae-Ung Yu;Ji sung Kim;Yoon Jeong Kwon;Jangwon Moon;Hyun-Han Kwo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3.05a
    • /
    • pp.285-285
    • /
    • 2023
  • 기후변화로 인한 변동성의 증가는 돌발 홍수, 홍수량 증가로 이외에도 강우 사상의 변화, 가뭄의 빈도 및 강도의 증대 등의 문제를 이어질 수 있다. 이러한 기후변화에 대응하기 위하여 기후변화 시나리오를 제시하고 이를 정책적으로 반영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기존 IPCC 5차 보고서에 활용한 RCP(Representative Concentration Pathway) 시나리오에서는 온실가스 농도변화만을 반영하고 있으나, 최근 IPCC 6차 보고서에서는 사회적인 노력과 경제적 구조 등 전반적인 기후정책, 사회 불균형 등을 고려한 SSP(Shared Socio-economic Pathways) 시나리오를 제시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2가지 기후변화 시나리오의 차이점과 유사점을 강수 중심으로 평가하였다. 기존의 RCP 시나리오에 비하여 극한 강우 사상의 변화를 비교 및 평가하기 위하여 CORDEX-EA에서 제공하는 지역기후모델(Regional Climate Model; RCM) 기반에 시나리오를 수집하여 극한기후지수를 산정하였다. 극한기후사상을 비교하기 위하여 WMO에서 활용하는 ETCCDI(Expert Team on Climate Change Detection and Indices) 지수 중 강우 관련 지수인 R10mm, RX1day, RX5day, RD95P, RD99P, SDII를 선정하여 시나리오 별로 결과를 비교하여 제시하였다. 또한, 기존의 연대기 기준의 평가방식에서 탈피하여 동일한 기온 상승 시점에 따라 변화를 확인하기 위한 분석절차를 수립하였다. 즉, 1.5℃, 2℃, 3℃ 및 4℃ 상승한 시점의 ETCCDI 지수를 산정하여 극한기후사상을 비교 및 평가하였다.

  • PDF

Preliminary Analysis of Climate Change Damage in Korea Using the PAGE Model (PAGE 모델을 이용한 한국 기후변화의 피해비용 분석)

  • Chae, Yeo-Ra
    • Journal of Environmental Policy
    • /
    • v.9 no.1
    • /
    • pp.31-55
    • /
    • 2010
  • This study aims to estimate potential climate change damage in Korea using the PAGE model. This study reviewed previous a reasearch to compare relative sensitivity to climate change in Korea and other regions to generate climate change damage function. It was found that sensitivity to climate change in Korea is similar to other Organization for Economic Cooperation and Development (OECD) countries. This study estimated climate change impact for three scenarios. If no action is taken, climate change damage cost in Korea could reach US$ 12,928 ~ 57,900 M. Cumulative Net Present Value (NPV)of climate change impact from 1990 to 2100 would be between US$ 143,226 ~ 921,701 Mdepending on emission scenarios. However, this result should be interpreted with caution as it draws its damage function based on only a few available references. Results also showed that an adaptation policy could decrease the degree of climate change impact significantly. If an adaptation policy is implemented, climate change impact will be decreased by US$ 11,355 million dollars in Korea in 2100.

  • PDF

Socio-Economic Impact Assessment of Climate Change (기후변화의 사회경제적 파급효과)

  • Park, Doo-Ho;Ryu, Mun-Hyu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9.05a
    • /
    • pp.366-370
    • /
    • 2009
  • GREEN, ECO and RENEWABLE ENERGY..아마 최근 가장 큰 화두가 되는 단어들일 것이다. 우리나라 역시 이번정부의 경제살리기는 다름 아닌 '녹색성장'이 핵심이다.. 현재 정부가 강력하게 추진 중인 사업인 4대강 살리기 등은 바로 녹색성장의 대표적인 사례이다. 성장은 하되 환경에 대한 중요성을 바탕으로 하자는 것이다. 기후변화에 대한 논의가 시작된 이래 수많은 전문가들에 의해 기후변화에 대한 논리적 그리고 객관적인 근거를 제시하고자 노력하였다. 반면 기후변화가 지나친 우려라고 반론을 제기하는 전문가도 적지 않다. 어떤 논리가 맞는지는 아무도 모른다. 본고에서 역시 어떤 논리가 맞는지에 대한 논의는 피하고자 한다. 지금 현재의 변화(평균온도의 상승, 집중강우의 증가 및 가뭄 등)들이 과연 확실한 기후변화의 징후인지 아닌지는 어느 누구도 증명하기 어렵기 때문이다. 다만 이것들을 장기적인 기후변의 추세로 받아들인다면 과연 우리의 국가 경제에 어떤 영향을 미칠지에 대한 것은 검토는 반드시 되어야 할 것이다. 기후변화에 대비해서 가장 먼저 해야 할 일은 우리나라에 도래할 기후변화 시나리오에 대한 보다 신뢰성 높은 검토이다. 그리고 이를 위해서는 우리나라에 올 수 있는 기후변화 시나리오를 예측하고 증명할 수 있는 기술의 개발 또한 시급하다. 그 다음에 수반되는 것이 바로 시나리오에 따른 사회경제적 파급효과, 즉 기후변화가 초래하는 사회경제적인 비용이 어디서 어떻게 발생할 수 있는 지에 대한 평가이다. 정부의 정책은 결국 기후변화로 인한 사회적인 비용을 최소화하기 위한 것이고 결과적으로 어떤 사회적인 비용이 초래될 것인가를 예측하고 이에 대한 정책과 기술개발의 방향이 설정되어야 하는 것이다. 본 연구는 현재 선진국들이 기후변화를 어떻게 다루고 있는지에 대한 고찰을 통해 향후 우리나라가 기후변화 대비 무엇을 어떻게 해야 하는지에 대한 제안을 하고자 하였다.

  • PDF

Comparative Case Study on Urban Climate Change Plans (기후변화 대응계획 도시사례 비교연구: 창원시와 포틀랜드시를 대상으로)

  • Choi, Joon-Sung;Park, Cheon-Bo
    •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 /
    • v.15 no.1
    • /
    • pp.539-546
    • /
    • 2014
  •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suggest policy implications for the development of climate change plan in city scale. For a comparative case study, Changwon city in Korea and Portland city in U.S.A. were chosen. Climate change plans of both cities were analysed and compared in the perspectives of framework, climate strategies, and implementation. The findings from the comparative case study are suggested for policy implications as the followings. Firstly, the framework should be more simple and clearly integrated from goal to action plans. Secondly, more caution must be exercised for the major GHG triggers and adaptation policy measures. Finally, establishment of clear timeline is the first step of leadership in climate change plan. Coordination agencies and sustainable assessment systems for monitoring each policies are essential for the successful implementation of climate change plan.

Economic Analysis of Climate Change to Establish Effective Adaptation Policies (효율적 기후변화 적응대책 수립을 위한 기후변화의 경제학적 분석)

  • Chae, Yeo-Ra;Youm, Yoo-Na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Environmental Engineers
    • /
    • v.32 no.9
    • /
    • pp.818-829
    • /
    • 2010
  • This paper provides an extensive overview of the literature on economic analysis of climate change, and thereby provides direction for effective adaptation policies for Korea. The paper first gives a comprehensive look on the estimation of economic costs of climate change as given by various research. Following, the paper examines the choice of measures that are used in the economic analysis of climate change by different sectors, including agriculture and human health. The paper also compares and discusses the various analytic results with a focus on Korea in order to shed light on where Korea stands. Finally, the paper examines current literature on adaptation polices in response to climate change, and by examining how such research has evolved and deepened with time, provide directions for the research on adaptation policies for Kore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