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기호적 공간

Search Result 143, Processing Time 0.028 seconds

A Case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of Cultural Expression in Contemporary Commercial Architecture Design in China (중국 현대 상업건축 실내 공간의 문화적 표현특성에 대한 사례연구)

  • Yu, DeSheng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 /
    • v.19 no.10
    • /
    • pp.32-44
    • /
    • 2019
  • Based on the characteristics of cultural expressions, this paper compares and analyzes the cases of representative commercial architectural spaces of six largest cities in China.In order to promoting the sustainable development of the indoor space culture of modern commercial buildings in China.Six cases were analyzed from the viewpoints of cultural tradition, locality, popularity, technology, and ecology.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tradition of culture requires the emphasis on the traditional elements of specific areas in the interior space of commercial architecture.Second, the regional character of culture is closely related to the social and natural environment factors such as the economic development of the interior space of commercial architecture, historical intrinsic space, geographical environmental conditions, and climate.Fourth, the technicality of culture is to integrate construction method, structure form, and material with local culture into commercial architecture interior space.Fifth, cultural ecology places attention to placing plants in the interior space of commercial architecture and creating a healthy, pleasant and safe environment.

A Harmony in Language and Music (언어와 음악의 상관관계 고찰을 위한 연구)

  • 이재강
    • Lingua Humanitatis
    • /
    • v.2 no.1
    • /
    • pp.287-301
    • /
    • 2002
  • Either in music or in language, sound plays its role by taking up the fixed multi-spaces in one's consciousness. Music space differs from auditory space whose aim Is to perceive the positions and identities of the outer things. While auditory space is based on the interests of the outer things, music space is based on the indifference. We discuss the notion of space because it is where symbols reside. Categorial perception about the phonemic restoration describes the ability of a listener how to use his own intelligence to acknowledge and fill the missing points; however, musical perception can be explained as a positive regression to avoid colloquial logic and danger of segmentation in the course of auditory experience and phonation acquisition by an infant. About the question on the difference of the listening to the language sound and other sound, auditory mechanism proceeds language sound the same as other types of sound. But there are another theories which claim that brain proceeds the farmer differently from the latter. The function of music has not been discovered as clear as that of language; music has much more meanings in comparison with language.

  • PDF

An Implementation of Android Content for Managing Social Meeting Information (안드로이드기반 소셜미팅콘텐츠의 구현)

  • Park, Ju-Yeon;Hwang, Jin-Hwa;Park, Young-Ho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11.11a
    • /
    • pp.1561-1563
    • /
    • 2011
  • 최근 스마트폰의 이용률이 폭발적으로 증가하면서 다양한 응용이 새로운 이슈로 주목 받고 있다. 특히, 소셜 관계성을 기반으로 하는 앱은 더욱 주목을 받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개인의 주관적인 성향을 객관화시켜 사용자의 능동적인 방식을 요구하는 목적으로 콘텐츠를 제안한다. 본 논문에서 기획하여 제안하는 콘텐츠는 "윈어팩션 앱(Winaffection Application)" 이라고 부른다. 제안하는 콘텐츠는 외적인 면과 더불어 성향, 기호기능을 추가하여 사용자의 이상형에 근접한 결과를 산출하고 사용자의 개인적인 공간, 회원들 간의 공개적인 공간을 활용하여 맞춤이성을 찾는데 도움이 되도록 기획하였다. 본 연구를 통하여 사용자는 자신의 성향과 취향에 맞는 이성을 만나 사회적 상호 관계성를 형성하는 초기에 발전적으로 기여 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Aesthetics of Theatre of Kang Yang Won and The Theatre Troupe Dong (강량원과 극단 동의 연극미학)

  • Shim, Jae-Min
    • Journal of Korea Entertainment Industry Association
    • /
    • v.14 no.3
    • /
    • pp.307-322
    • /
    • 2020
  • The acting of physical action of the director Kang Yang Won's plays is mostly simple and repetitive. This acting induces the audience to sensuous perception and certain corporal emotions. In addition to semiotic meaning of dialogue a stimulus is given directly to sense of the audience. Therefore, the audience participate in creating a performative space with assistance of atmosphere. So, the feedback-loop of autopoiesis is made and the emergence of meaning is experienced due to felt perception. This emergent meaning springs unexpectedly by imagination, remembrance, and association etc. and is not produced on purpose. In addition, the audience participates in the performance together by the intersection of the perception for representation and perception for presence, and is especially affected by the presence of acting of physical action. In this paper, the study of four major performances of the theatre troupe Dong performed since the 2010s confirmed not only the individuality of each performance, but also the commonality that encompasses the entire performances. This led to discovering the discrimination power of the aesthetics of theater of the director Kang Yang Won and the theatre troupe Dong.

A Basic Study on Ubiquitous Service Development in Apartments based on Spatial Information (공간정보를 기반으로 한 공동주택 유비쿼터스 서비스 개발에 관한 기초 연구)

  • Do, Sang-Rae;Lertlakkhanakul, Jumphon;Choi, Jin-Won
    • 한국HCI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7.02b
    • /
    • pp.171-178
    • /
    • 2007
  • 유비쿼터스 컴퓨팅 환경은 오늘날 인간생활 행태의 변화뿐만 아니라 미래건축 공간에도 큰 변화를 가져오고 있다. 그 중에서도 인간의 가장 기본적인 생활환경인 주거 공간의 변화는 빠르게 이루어지고 있다. 지능형 홈, 사이버 아파트 등의 새로운 미래주거 공간이 나타나고 홈네트워크 시스템을 이용한 다양한 유비쿼터스 서비스가 적용되고 있다. 그러나 거주자를 위한 유비쿼터스 서비스가 공간에 적절히 적용되지 않는 사례가 발생하고 있고 수요자 요구와 관련 없이 서비스가 설계되어 있어 효율성이 떨어지는 문제점도 나타나고 있다. 이는 현재의 홈네트워크가 IT 업계가 제공한 솔루션과 기기 중심으로 서비스가 개발되고, 공급자 위주의 기능의 편리성을 위주로 제공되고 있기 때문이며, 주택을 잘 알고 있는 건설인과의 협업이나 최종 사용자의 기호가 고려되고 있지 않기 때문이다. 더욱 중요한 것은 초기 디자인 단계에서 이러한 문제점들이 수용되고 있지 못하고 공간 디자인과 서비스 개발이 유리화되어 선 시공 후, 서비스를 끼워 맞추기식으로 계획하고 있기 때문이다. 본 연구는 서비스 개발의 관점에서 접근하여 공동 주택의 초기 디자인 단계에서 수요자가 원하는 서비스를 공간에 적용하여 부합되는지를 살펴보고, 이에 따라 적절한 미래공간을 디자인 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공간정보 데이터베이스를 기반으로 한 공동주택 유비쿼터스 서비스 개발을 위한 기초 연구에 그 목적을 둔다.

  • PDF

A Study on the Symbolization of the Underground Visual Elements as a Signification-Function -Focus on the Environmental Graphics of the Subway Vehicle & Station in Seoul City- (지하 시각요소의 표지기능(標識機能)적 상징성에 관한 연구 -서울시 지하철 및 지하역(驛)의 환경그래픽을 중심으로-)

  • 김경만
    • Archives of design research
    • /
    • no.18
    • /
    • pp.153-162
    • /
    • 1996
  • underground space have many negative environmental clements which should be confirmed on location and line of action by the artificial signs. iccordingly, environmental graphics as visual language for popular signification-function have to be studied on sign theory of symbolic meanings. Ho\/ever, its usage has not only decorated by microscopiC appreciative eye but also lost its meanlllg as a visual language which was caused by the negligence of systematic management of the facility in charge Result of study, Visual environmental factors as a cause of behavioral attitude based on the study, which has been carefully considered as a communication of the visual language. Therefore, considering the underground environmental graphics as the: sign or the signification-function, It has to be studied on syntactic, semantic and pragmatic viewpoint. SpeCifically, to maKe the color and formation language a signification-function as a generalized connotation to the public, a distinctive classified Visual language must be applied.

  • PDF

Entre l' espace sculptural et, l' espace architectural (조각공간과 건축공간의 관계)

  • Lee Bong-Soon
    • Journal of Science of Art and Design
    • /
    • v.5
    • /
    • pp.175-216
    • /
    • 2003
  • 시각이 아닌 오감체계에 관계하는 때문에 현대미술은 외관만으로 이루어지지 않는다. 곧 예술 작품들은 하나의 장소를 관객에게 제공하여, 심리적, 물리적, 또는 예술이 존재여부에 관한 갖가지 질문들을 제기한다. 모든 예술 작품은 메시지를 담고 있다. 이러한 관점에서 개념 또는 아이디어에 우선하는 현대미술은 그들의 메시지를 전달하기 위해 우리의 사회적 배경과 보편성을 간과할 수 없다. 우리의 물체 인식은 결국 우리의 경험체계를 통해서 이루어진다고 간주하면, 현대미술의 새로운 형태는 보편적 특질들이 그 특질들 이상의 상태로 보여지도록 유도한다. 이러한 창조 행위의 시작은 현대인간의 문화 읽기이며 문화는 인간과 자연의 긴밀한 관계 속에서 이루어진다. 역사는 지나간 시간을 기록한 것이며, 이 또한 우리의 지식과 정보 체계에 속한다. 회화가 평면에 입체감을 표현하는 것과는 달리 조각은 자연 속, 즉 실재공간 속에 있는 모든 것을 표현하기 때문에 시각(visible) 이외에도 촉각(tangible)이 관여하게 된다. 조각의 특수성은 촉각(tangible)이 우선하는 것이다. 그러나 시각과 촉각은 매우 적극적으로 미학적 경험에 참여하는 감각으로 이들을 서로 분리하여 생각하기가 무척 힘들다. 왜냐하면 어떤 경험에 있어서 기억연합 또는 감각 연합에 의해 하나의 감각이 다른 여러 감각을 촉발하여 연쇄반응 혹은 '형태 Gestalt'를 이루기 때문이다. 대부분의 근대 조각 작품들은 조각대 위에 고정되어 있는 구상 형태를 지녔기 때문에 조각작품 자체가 지닌 외적 형태와 그 자체내의 공간이 더욱 중요한 역할을 하게 된다. 말하자면 미로의 비너스 조각은 대리석과 비너스 형태의 결합이다. 때문에 관객은 그 주변을 돌면서 우리 신체의 내적 공간과 시각에 의존하면서 그 작품의 중량감, 양감, 형태 등의 특질과 만나게 된다. 그러나 현대 추상조각과 개념조각은 이보다 좀 더 확장된 공간을 제시한다. 이것은 현대조각이 건축개념을 수용한 때문이며, 그것이 때로는 안 쪽에서 때로는 바깥 쪽에서 그 형태를 결정하며, 보고 듣고 느끼고 만져지고 왕래하는 등의 인식 영역인 관객의 오감체계에 직접적으로 관계하기 때문이다. 우리는 건축 공간에서, 시각 외에도 청각이나 촉각을 통해 지각한다. 대강 요약하자면 공간은 객관적 상태이기보다는 인식영역의 주관성을 통해 받아들여진 우리가 지나쳐온 것들이나 체험된 공간이다. 여기서 '받아들여지는' 일은 과거 경험들의 주체들, 언어와 문화에 의해서 이루어져야 한다. 건물, 즉 둘러싸고 있는 공간은 중앙이 아니다. 중앙은 바로 나, 둘러싸여진 나이다 나는 나의 동작에 따라 그 공간의 시스템을 변화시킬 수 있는 유동적인 중심이다 (이때의 나는 위치의 축을 변화시키는 것이 아니라, 그들을 탐색하는 것이다). 작품이 대형화되면서 이러한 건축공간개념이 현대 조각가들의 작품개념에 이용되었다고 본다. 현대미술에서 In situ작업과 특정한 장소를 위한 기획되어진 최근의 프로젝트 작업들은 대형화되어있으며, 건축에서처럼 특정한 장소를 만들어낸다. 로잘린드 크라우스(Rosalind Krauss)는 또한 '조각영역의 확장 (La sculpture dans le champ elargi)'에서 현대조각이 건축과 환경의 영역을 침범하고 있음을 지적한다. 그녀에 의하면, 1960년대 이후의 현대조각은 이러한 탈 귀속성과 조각의 자율성을 획득함으로써 조각은 건축물이 아니면서 건축물 주변에 위치하거나 풍경이 아니면서 풍경 안에 자리잡게 되었다. 이와 같이 현대의 대형조각 작품들 - 예를 들어 대형화된 미니별 조각이나 개념미술, 또는 대지예술 등 -은 풍경의 실재가 아니기 때문에 환경으로부터 구분된다고 언급하고 있다. 이들 조각은 더 이상 만져지는 실체이거나 점유하는 공간의 상징언어를 지닌 조각의 범주에 한정되지 않게 된다. 조각과 건축의 공간인식을 인체의 크기와 관련하여 보면, 메를로 퐁티(Merleau-Ponty)의 '지각의 현상학' 은 우리가 논하는 작품의 공간체계를 분석하는데 지침표가 되어준다. 메를로 퐁티가 말하는 지각은 정신에 의해서만 이루어지는 것이 아니며, 몸과 함께 이루어지는 현상이다. 지각은 우리가 부단히 눈을 움직이고 만지고 냄새를 맡고 주변을 돌아 다니면서 세계와의 직접적인 접촉을 통해 이루어 진다. 몸의 움직임을 통하여 나타나는 신체적 표현은 몸 자체가 원천적으로 지향적 활동의 주체로서 파악되는 한 이미 항상(恒常, constant) 의미 현상을 지니다. 우리의 지각이 움직이는 몸의 지향 활동을 통해 이루어진다는 것은 우리의 몸의 지향활동이 의식에 선행함을 의미한다. 몸의 움직임은 의식의 의도를 표현할 때에만 의미를 나타내는 기호가 되는 것이 아니라, 이미 그 자체가 살아있는 표현이다. 우리의 몸짓, 표정은 우리 의식이 의도하기 전에 이미 의미가 담겨있다. 몸은 그 자체가 기호(Signe)적이다. 결국. 메를로 퐁티에게서 세상(le monde entier)은 그 자신이 주체가 되어 인식한다, 그리고 이 인식 구조에는 우리의 몸이 구심점(le point centripete)이 된다. 만약 우리가 이러한 메를로 퐁티의 개념을 염두에 둔다면, 예술작품의 특성에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는 재료와 크기를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 PDF

A Study on the Semiotics and Poetic Meaning of Literature Content - at the Center of Moon Sam­seok's Children's Poetry - (문학콘텐츠의 기호학적 시적의미 연구 -문삼석의 동시(童詩)를 중심으로-)

  • Sung, Hyun-Ju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 /
    • v.19 no.6
    • /
    • pp.72-79
    • /
    • 2019
  • This study tries to study the poetic beauty of the space deconstructed by the medium appearing in Moon Sam-seok's children's poetry to help with simultaneous education and guiding methodology. The research method is based on the assumption that semiotics spatial image is read. In other words, we intend to derive the poetic beauty of the space in which the great pole space built by is deconstructed by the intervention of by the medium term . Among Moon Sam-seok's series of works, the research text is "The Wind and the Fire," "The Wind and the Empty Bottle," "The Wind and Salt," "The Wind and the Rock." According to the study, the wind deconstructed a space that was differentiated by the presence or absence of matter into a "coexistence space." These poetic spaces symbolize poetic beauty as ideal places of life that coexist in a distinction but not discrimination. Second, the wind has eliminated the gap between alienation, suffering and solitude. In other words, the wind deconstructed poetic space produced poetic beauty with the 'space of communication' based on homogeneity of the nature of existence. In conclusion, Moon's poetic speech can be seen that he intended to express the discreteness of the poetic space as 'communication' and 'common life' by deconstructing it with deviation and convergence by introducing a medium.

A Study on the Information Society of Baudrillards Theory and Designer's Thinking (보드리야르의 정보사회 이론과 디자이너의 사고에 대한 고찰)

  • 김태균
    • Archives of design research
    • /
    • v.13 no.4
    • /
    • pp.11-21
    • /
    • 2000
  • Due to the explosive growth of the internet, terminology like "information society" and "virtual space" is frequently used, but often in a confusing manner. Some Social theorists and many people are fascinated by "information" and "media" as key characteristics of the contemporary world and rely on the unproven opinion that "Knowledge is a source of value and information moves the world". In this regard, Boudllian defines contemporary culture as a culture of signs and insists that we are surrounded by signs and forms of meaning. There isn't anything behind the signs but signs only exsist, so we cannot escaped from its inauthenticity and consider it improper to insist on it. If people can understand that signs are just simulation of reality, that would be alright. But in fact anything cannot be alright.In this matter Boudllian's conclusion is that we produce images in bulk which are not worthy seeing. Today we reach the conclusion that most images are the letter(character) image itself which shows nothing special.Consequently, this kind of world is a postmodern-world that seems meaningless but has signs to experience and enjoy, many examples of which are shown in the media, such as the internet. We can get to the conclusion that the audience neither sees nor hears anything, but they just can experience many interesting things which characterize the present age.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help you to understand current design philosophy and the direction of media while considering both a positive social phenomenon about the new design paradigm of information and media, as well as critical thinking about it.

  • PDF

Issues on Spatial Reflection of De-differentiation in Jeju Island (탈분화의 공간적 반영 - 제주관광을 사례로 -)

  • 오정준
    • Journal of the Korean Geographical Society
    • /
    • v.39 no.3
    • /
    • pp.391-408
    • /
    • 2004
  • Modernism is understood as a process of differentiation. Postmodernism or postmodernity, by contrast, involves de-differentiation. There is a breakdown in the distinctiveness of each of spheres of social activities. It is important to explain an examination of the relationships between the de-differentiation and a wide variety of contemporary tourism, expecially postmodern tourism. Also, de-differentiation between the tourism and the social spheres lead to the spatial reflection. Aim of this paper is to examine the processes of de-differentiation between the tourism and the social spheres, which comes out spatially in Jeju island. Especially, location of destinations is concentrated on the coastline in the period of modem tourism. On the contrary, the postmodern tourism shows that the location of destinations are wide spread diffusion its vertically and horizontally. It means that there are to appear a breakdown of distinctiveness between the conventional tourism destinations and the regional person's spac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