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esthetics of Theatre of Kang Yang Won and The Theatre Troupe Dong

강량원과 극단 동의 연극미학

  • Received : 2020.03.23
  • Accepted : 2020.04.27
  • Published : 2020.04.30

Abstract

The acting of physical action of the director Kang Yang Won's plays is mostly simple and repetitive. This acting induces the audience to sensuous perception and certain corporal emotions. In addition to semiotic meaning of dialogue a stimulus is given directly to sense of the audience. Therefore, the audience participate in creating a performative space with assistance of atmosphere. So, the feedback-loop of autopoiesis is made and the emergence of meaning is experienced due to felt perception. This emergent meaning springs unexpectedly by imagination, remembrance, and association etc. and is not produced on purpose. In addition, the audience participates in the performance together by the intersection of the perception for representation and perception for presence, and is especially affected by the presence of acting of physical action. In this paper, the study of four major performances of the theatre troupe Dong performed since the 2010s confirmed not only the individuality of each performance, but also the commonality that encompasses the entire performances. This led to discovering the discrimination power of the aesthetics of theater of the director Kang Yang Won and the theatre troupe Dong.

강량원 연출의 공연들에서는 배우들의 신체행동연기는 대부분 단순하고 반복적이다. 이러한 연기는 관객의 감각적 지각을 유도하면서 관객에게 특정한 육체적 감정을 갖게 하는 효과를 거둔다. 대사가 주는 기호적 의미에 더해서 관객의 감각에 직접적으로 자극을 줌으로써 관객은 무대공간에서 만들어지는 분위기에 힘입어 수행적 공간의 조성에 동참하게 되며, 따라서 자동형성적 피드백-고리가 만들어지고, 의식된 지각의 도움으로 의미의 창발을 경험하게 된다. 창발적 의미는 상상, 회상, 연상 등에 의해서 불쑥 솟아오르는 것이며, 이는 결코 의도적으로 생산된 것이 아니다. 그리고 관객은 재현적 지각과 현존적 지각의 교차에 힘입어 공연에 함께 동참하는 가운데, 특히 신체행동연기의 현존성의 영향을 받게 된다. 본고에서는 2010년대 이후에 공연된 극단 동의 주요 공연 네 편에 대한 연구를 통해서 각각의 공연이 가진 개별성뿐 아니라 전체 공연을 아우르는 공통성 역시 확인하였다. 이로써 강량원과 극단 동의 연극미학이 가진 변별력을 발견하게 되었다.

Keywords

Acknowledgement

이 논문은 2016년 대한민국 교육부와 한국연구재단의 지원을 받아 수행된 연구임 (NRF-2016S1A5A2A01026705)

References

  1. Gernot Bohme, Fur eine okologische Naturasthetik, Frankfurt a. M., 1989.
  2. Gernot Bohme, Aisthetik. Vorlesungen uber Asthetik als allgemeine Wahrnehmungslehre, Munchen, 2001.
  3. Erika Fischer-Lichte, Asthetik des Performativen, Frankfurt a. M., 2004.
  4. 김기란, 「현존적 재현 구현을 위한 신체행동연기의 구축-강량원 연출의 극단 동(動) 연구」, 「한국연극학」 47(2012): 69-92.
  5. 김형기, 「포스트드라마 연극의 지각방식과 관객의 역할」, 푸른사상, 2014.
  6. 남상식, 「신체적 연기술의 연출-강량원과 극단 동의 작업을 중심으로」, 「한국연극학」 37(2009): 245-279.
  7. 심재민, 「수행적 미학에 근거한 공연에서의 지각과 상호매체성」, 「한국연극학」 60(2016): 115-167.
  8. 심재민, 「강량원과 극단 동의 연극」,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논문지」 13-3(2019): 139-155.
  9. 에리카 피셔-리히테, 「수행성의 미학」, 김정숙 역, 문학과지성사, 2017.
  10. 이남인, 「후설과 메를로-퐁티. 지각의 현상학」, 한길사, 20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