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Study on the Information Society of Baudrillards Theory and Designer's Thinking

보드리야르의 정보사회 이론과 디자이너의 사고에 대한 고찰

  • 김태균 (한국기술교육대학교 디자인공학과)
  • Published : 2000.11.01

Abstract

Due to the explosive growth of the internet, terminology like "information society" and "virtual space" is frequently used, but often in a confusing manner. Some Social theorists and many people are fascinated by "information" and "media" as key characteristics of the contemporary world and rely on the unproven opinion that "Knowledge is a source of value and information moves the world". In this regard, Boudllian defines contemporary culture as a culture of signs and insists that we are surrounded by signs and forms of meaning. There isn't anything behind the signs but signs only exsist, so we cannot escaped from its inauthenticity and consider it improper to insist on it. If people can understand that signs are just simulation of reality, that would be alright. But in fact anything cannot be alright.In this matter Boudllian's conclusion is that we produce images in bulk which are not worthy seeing. Today we reach the conclusion that most images are the letter(character) image itself which shows nothing special.Consequently, this kind of world is a postmodern-world that seems meaningless but has signs to experience and enjoy, many examples of which are shown in the media, such as the internet. We can get to the conclusion that the audience neither sees nor hears anything, but they just can experience many interesting things which characterize the present age.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help you to understand current design philosophy and the direction of media while considering both a positive social phenomenon about the new design paradigm of information and media, as well as critical thinking about it.

인터넷의 폭발적인 성장에 힘입어 '정보사회', '가상공간'이라는 용어가 더 더욱 혼란스럽게, 그렇지만 당연시되어 사용되고 있다. 현대세계의 핵심적 특성으로서 '정보'와 '미디어'에 일부 사회이론가와 대부분의 일반인은 매료되어 있으며, '지식이 가치의 원천이고 세계를 움직이는 것은 정보이다.' 라는 식의 검증되지 않은 주장을 쉽게 하고 있다. 이에 보드리야르는 현대문화를 기호(signs)의 문화로 정의하고, 우리는 기호와 의미화 양식으로 둘러싸여 있으며, 모더니티의 주장과 같이 기호의 배후에 어떤 실체가 있는 것이 아니라 단지 기호만이 존재한다고 주장한다. 따라서 우리는 비진정성(inauthenticity)을 벗어날 수 없으며 그렇게 할 수 있다고 주장하는 것은 전혀 타당하지 못하다는 것이다. 사람들이 기호가 시뮬라시옹에 불과하다는 것을 닫고 있다면 무엇이든 괜찮게 된다 - 그리고 아무것도 괜찮지 않게 된다. 그리하여 보드리야르의 결론, 즉 "우리는 아무 것도 볼 것이 없는 이미지를 대량으로 만들어낸다. 오늘날 대부분의 이미지는... 아무 것도 볼 것이 없는 문자 그대로 이미지이다." 라는 것에 도달하게 된다. 따라서, 이러한 세계는 의미 없이 보여지고 경험되기 위한 그리고 즐겨지기 위한 기호를 가지게 되는 포스트모던한 세계이며, 이러한 예들은 인터넷등 미디어에서 폭발적으로 보여지고 있다. 즉, 관객들은 아무 것도 보거나 듣지 않으며 단지 현대를 특징 짓는 볼거리들을 경험할 뿐이라고 결론 내릴 수 있다. 본 연구는 정보와 미디어의 새로운 디자인 패러다임에 정보의 긍정적 사회 현상뿐 아니라, 비판적 사상을 검토해 봄으로써 미디어를 바라보는 디자인 철학과 방향에 도움이 되고자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