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기호의 분류

검색결과 277건 처리시간 0.033초

학교급식에서 초등학생의 채소류 기호도 조사와 섭취향상을 위한 식품학적 연구 (Study on preference and food science for advanced intake of vegetables for students in elementary school food service)

  • 강윤선;이양순
    • 대한지역사회영양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지역사회영양학회 2003년도 춘계학술대회 및 비만ㆍ다이어트 박람회
    • /
    • pp.108-108
    • /
    • 2003
  • 학교급식에서 싫어하는 채소류에 대한 새로운 조리법 개발을 통해 성장기 아동들에게 고른 영양섭취 기회를 제공하므로서 영양섭취 효율을 높여 주고자 하였다. 천안시에 거주하는 2ㆍ4ㆍ6학년 641명을 대상으로 급식에 제공되는 채소류에 대해 인지도, 기호도, 섭취빈도 설문 조사에서 아동들이 싫어하는 채소류로 피망, 풋고추, 브로컬리, 양파, 파, 도라지, 미나리, 부추, 호박, 양상추가 분류되었다. (중략)

  • PDF

국내 어린이도서관의 한국십진분류법 적용 현황 및 이용자 요구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Analysis of the Korean Decimal Classification(KDC) and Users' Needs in Libraries for Children in Korea)

  • 정연경;최윤경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43권1호
    • /
    • pp.5-26
    • /
    • 2009
  • 본 연구는 KDC 4판을 중심으로 국내 어린이도서관의 어린이 자료 분류의 개선 방안을 제안하였다. 이를 위해 문헌 연구, 국내 51개 어린이도서관의 KDC 적용 현황 조사와 부모 및 어린이 이용자의 요구 분석을 실시하였다. 국내 현황과 이용자 요구 분석 결과를 토대로 KDC 개선 방안을 분류체계 부문과 배가 부문으로 나누어 제시하였다. 우선, 분류체계 부문에서는 특정 기호에 집중되는 주제를 분산시키고, 어린이 자료의 다양한 유형과 특성, 다양한 어린이 문학 장르를 KDC 상에 반영해야 한다. 또한 학제적 주제에 대하여 상세한 주기 및 분류지침을 제공해야 한다. 배가 부문에서는 첫째, 이용자 친화적인 청구기호 구성과 배열 방법을 도입하고, 둘째, 이용자의 다양한 관심 분야를 반영한 컬렉션 구성과 어린이와 부모를 대상으로 이용교육을 실시하도록 제언하였다.

도서기호법의 문제점 및 개선 방안에 관한 연구 - 국내 대학도서관을 중심으로 - (The Survey of Actual Condition on Improvement and Point at Issue of Currently Book Numbers in Korean University Libraries)

  • 조윤희
    • 정보관리학회지
    • /
    • 제21권4호
    • /
    • pp.233-249
    • /
    • 2004
  • 도서기호는 분류기호와 구별되어 도서의 서가 위치를 지정해주는 독자적인 장치로서 문헌의 기본기입요소, 즉 저자, 서명, 출판연 등을 포괄하는 문헌 속성의 조합으로 구성되어야 한다. 현재 우리나라 대학도서관은 동서용 9종과 양서용 2종으로 총 11종의 도서기호법이 사용되고 있다. 본 연구는 전국의 대학도서관 110개를 표본으로 선정하여 도서기호 업무를 담당하는 전문사서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현행 도서기호법에 대한 문제점과 현행 도서기호법을 수정하거나 새로운 도서기호법으로 변경할 경우 고려사항의 인식 정도를 조사하였다. 이에 대학도서관의 전문사서들이 인식하고 있는 도서기호법의 가장 큰 문제점은 도서기호의 중복과 효율적인 장서관리로 조사되었다. 아울러 현행 도서기호법을 수정하거나 새로운 도서기호법으로 변경할 경우 가장 고려해야 할 사항으로 도서기호 중복 해소와 기존체계와의 일관성 및 서가배열을 중요 요소로 인식하고 있음이 파악되었다. 이에 본 연구는 이러한 문제점과 고려사항을 기반으로 현행 도서기호체계의 개선방안과 다양하게 사용되고 있는 현행 도서기호법의 표준화 필요성을 제시하였다.

확장 마크업 언어(XML)를 이용한 정간보 악보 표기법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Notation of Jeongganbo Score using Extensible Markup Language (XML))

  • 이용주;최근우;박태진;강경옥
    • 한국음향학회지
    • /
    • 제32권5호
    • /
    • pp.446-453
    • /
    • 2013
  • 본 논문에서는 다양한 구조와 기호를 가지는 국악 악보인 정간보를 XML(Extensible Markup Language)을 이용하여 디지털 파일로 저장하는 방법에 대해 제안한다. 이를 위하여 정간보의 구조에 대하여 분석을 하고, 정간보기보에 활용되는 기호를 분류하고, 기호의 사용 형태에 대해 분석을 하였다. 이러한 분석을 기반으로 다양한 정간보의 구조와 기호를 포함하는 정간보 악보 기술 방법을 DTD(Document Type Definition) 로 정의하였다. 제안한 방법의 검증을 위하여, 정간보로 기보된 악보를 제안한 DTD에 따라 XML로 기술하였고, 정간보 악보가 기록된 XML을 해석하고 이를 정간보 형태로 나타내어주는 프로그램을 구현하여, XML로 기술된 정간보 악보가 적절하게 해석되고 정간보 악보 형태로 보여주는 것이 가능함을 보였다.

DB강좌(1) - 메타데이터의 개요

  • 안계성
    • 디지털콘텐츠
    • /
    • 9호통권64호
    • /
    • pp.63-69
    • /
    • 1998
  • 메타데이터는 일반적으로 데이터에 관한 데이터로서 자원의 속성을 기술하는 데이터를 의미한다. 표제, 저자, 주제명 분류 기호 등이 포함되는 기존 도서관의 목록 레코드, 초록, 색인에 의해 생성된 데이터베이스 레코드는 이러한 의미에서 메타데이터라고 할 수 있다.

  • PDF

퍼어스 기호론과 심볼마크의 이해 (A Study on the Peirce's Semiotics and Understanding of Symbol Marks)

  • 황현택
    • 디자인학연구
    • /
    • 제18권1호
    • /
    • pp.5-16
    • /
    • 2005
  • 본 연구는 방대한 기호학 학문과 영역 탓에 이해하기 어렵고 또한 명확하지 않은 기호학 분야의 연구에서 찰스 샌더스 퍼스(Charles Sanders Peirce)의 기호학을 명확히 이해하고, 그의 기호학적인 연구의 업적을 아이덴티티 디자인 분야에 활용 할 수 있도록 연구 결과를 제시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서 연구는 기존의 기호학과 관련된 디자인관련 논문들을 재 고찰하고, 퍼스의 삼원적 기호학에 대한 진의와 범주에 대한 이해를 통해서 기업의 심볼마크를 설명하였다. 이 결과를 통해서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1) 심볼마크는 관습적으로 한 제품, 서비스, 기업 자체를 의미하며 따라서 표현체적인 측면에서는 법칙 기호이다. 2) 심볼마크는 하나의 기호로서 대상체를 상징하므로 대상체의 세범주적 구분에 의해서 상징 기호이다. 3) 퍼스의 기호학적 정의에서 볼 때, 기업의 심볼마크는 사회적인 규칙을 통해서 존재하므로, 이는 논항 기호로 이해가 되어야만 한다. 4) 기업의 심볼마크는 과거부터 기업 혹은 조직들이 사용해 온 것이고, 대중들은 이를 어느 정도 인식하고 있다. 따라서 기업이 자신의 제품에 심볼마크를 부착하고 대중에게 표상체로서 심볼마크를 보이는 것은 개별적이고 구체적인 사실, 즉 있는 그대로의 사실로서 작용한다. 따라서 심볼마크는 해석체적인 측면의 발화 지시적인 개별기호이다. 퍼어스의 기호학적인 측면에서의 심볼마크의 분류와 이해는 기호의 다양한 상호관계와 연계를 가지는 범주의 법칙과 여러 유형에 대한 이해를 단지 조형적인 측면에서의 구분이 아닌 개념적으로 또한 포괄적인 이해를 요구한다.

  • PDF

북한 문헌분류표 <분류-검색어사전>의 특징 분석 (A Study on the Features of the <Classification-Search Term Dictionary>, the Library Classification Scheme in North Korea)

  • 최재황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53권4호
    • /
    • pp.123-142
    • /
    • 2022
  • 북한은 2000년 2권 8책의 <분류-검색어사전>을 개발하여 발표하였고, 이 문헌분류표는 북한 전역에서 현재 사용되고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해방 이후 북한도서관의 문헌분류표 발전과정을 통시적으로 살펴보고 2000년에 발표되고 2014년에 개정된 <분류-검색어사전>의 내용, 구성, 원리를 파악해 보는 데 있다. 지금까지 북한의 문헌분류표에 대한 연구는 1964년 북한에서 발표된 <도서분류표>에 대한 논의가 전부이며, 이후 북한의 문헌분류표에 대한 연구는 없었다. <분류-검색어사전(2000)>의 제1권은 '분류기호-검색어', 제2권은 '검색어-분류기호'로 구성된다. 제1권은 1996년에 발표된 <도서 및 서지 분류표>에 기초하고 있으며 다섯 부문에 걸쳐 총 41개의 류문으로 전개된다. 혁명사상과 이론'에 1개(11/19) 류문, '자연과학'에 8개(20~27), '공학기술 및 응용과학'에 가장 많은 19개(30~60/69), '사회과학' 부문에 12개(70~85), 그리고 '총류'에 1개(90)의 류문을 배정하고 있다. 제2권은 주제명표목표와 유사하다. 북한의 <분류-검색어사전>은 국내에 처음 소개되는 문헌분류표이며, 본 연구는 향후 남북간 표준통일분류표 제정 연구를 위한 기초 연구에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사용자의 선호도를 반영하는 영화추천시스템의 개발 (Developing Movie Recommendation System Reflecting Movie Viewers' Preferences)

  • 이세호;이강은;황옥삼;노상욱
    • 한국지능정보시스템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지능정보시스템학회 2007년도 추계학술대회
    • /
    • pp.507-513
    • /
    • 2007
  • 기존의 영화정보제공 시스템에서는 사용자에게 영화에 대한 정보를 전달할 때 단순히 새로운 영화에 대한 정보를 전달하는데 그치고 있다. 이러한 정보시스템은 사용자에 대한 기호나 성향을 고려하지 않기 때문에, 사용자에게 필요하고 적절한 정보를 제공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논문은 정보 제공의 효율성을 높이기 위하여 사용자의 영화 선호도가 반영된 영화추천시스템을 설계 및 구현한다. 다양한 사용자로부터 수집한 기본정보에 데이터 분류도구를 적용하여 사용자에 대한 일정한 기호 또는 성향을 추출한다. 결과적으로 추출된 정보를 대상 사용자들에게 SMS로 제공하여 각자의 기호나 성향을 고려한 정보를 얻을 수 있도록 한다.

  • PDF

분석적 합성식 문헌분류법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Analytico-Synthetic Classification)

  • 오동근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32권2호
    • /
    • pp.55-76
    • /
    • 1998
  • 이 논문의 전반부는 분석적 합성식 분류법의 일반적인 특성과 장단점을 열거식분류법과 대비하여 분석하고 있다. 후반부에서는 분석적 합성식 분류표의 일반적인 작성단계와 그에 따르는 문제점과 고려사항을 분석하고, 이를 결혼상담소용 분류표의 작성이라는 실예를 통하여, 패싯분석과 주류의 순서 및 열거순서, 배열구조상의 순서 등 각종 순서의 결정, 분류기호의 선택과 적용의 순서로 고찰하고 있다.

  • PDF

판타지 게임 배경 색채에 대한 기호학적 연구 (A Semiotic Study on the Background Color of Fantasy Game)

  • 임초롱;백철호
    • 한국게임학회 논문지
    • /
    • 제18권6호
    • /
    • pp.49-58
    • /
    • 2018
  • 본 연구는 개개인의 색채 경험을 고려하여 개발되는 게임 컨셉 아트를 기호학적 측면에서 분석한 것이다. 프랑크 만케의 여섯 단계의 색경험 피라미드를 크게 세 가지로 분류하여 게임 컨셉 아트가 각 단계에 어떻게 부합하는지 알아보고, 롤랑 바르트의 신화론-기호의 의미작용 모델을 이용하여 각 단계의 컨셉 아트의 기표, 기의의 의미작용 및 새로 도출되는 기호의 특징을 알아보았다. 그 결과 색상으로 배경 스테이지의 난이도를 인지할 수 있도록 만들어주거나, 특정 인상을 가질 수 있도록 의도할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이와 같이 게임 개발에서 의도하고자 하는 것이 구현되는 게임 컨셉 아트를 통해 다양한 색의 조합으로 인상뿐만이 아닌 게임의 편리함을 제시하는 등 게임 컨셉 아트의 다양한 기능과 가능성을 확인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