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기학(氣學)

검색결과 340건 처리시간 0.021초

Understanding the Estimation of Circumference of the Earth by of Eratosthenes based on the History of Science, For Earth Science Education

  • Oh, Jun-Young
    • 대한지구과학교육학회지
    • /
    • 제10권2호
    • /
    • pp.214-225
    • /
    • 2017
  • 지구크기에 대한 최초의 정확한 측정은 기원전 230년, 헬레니즘의 과학자인, 에라토스테네스 (276-195 B.C.)에 의하여 이루어졌다. 역사적으로 수학적 추상화는 유럽의 고대 그리스인의 천재성을 보여주는 좋은 예이다. 그 당시에는 상상하기 어려운 태양이 멀리 떨어져 있기에 태양광선이 평행하게 지구에 입사한다는 전제를 요구하는, 논리적이고 과학적인 기법의 에라토스테네스의 과학적 방법의 성공이었다. 중요한 것은 간단한 수학적 비례식을 성립하기 위해서는 지구가 둥글고, 광선이 지구에 나란하게 들어온다는 가정이 필요하였다. 즉 천상으로부터 지상으로 유클리드 기학학이 연결된다는 내용이다. 그것은 최초로 태양중심을 주장한 아리스타쿠스의 제안을 받아들여야 했고, 아리스토텔레스의 자연관인 우주는 아름답고 우아하다는 사상에 기반을 두어 지구는 구처럼 대칭적이라는 것이다. 우리는 이러한 가정들을 현대가 아닌 그 당시 어떻게 정당화 했는지를 탐색하는 것이다. 또한 실험의 미적 관점에서 에라토스테네스의 지구측정의 중요한 특징은 단순성에 있다는 것을 강조하는 것이다.

한반도 쌍자옆식물의 시.공간적 분포역 복원 (The Distribution of Dicotyledons in Time and Space in the Korean Peninsula)

  • 공우석
    • 한국제4기학회지
    • /
    • 제10권1호
    • /
    • pp.1-18
    • /
    • 1996
  • 한반도 쌍자엽식물의 시·공간적 분포역을 식물화석자료를 바탕으로 분석한결과에 따르면 우리나라에서 발견된 가장오래된 쌍자엽식물은 중생대 백악기의 Platanus, Viburnum, Populophyllum등이다. 당시에 남한에서는 17속의 쌍자엽식물이 보고되었으며 그 중 9속(버즘나무 Platanus, 분꽃나무 Viburnum, 버드나무 Salix, 사시나무 Populus, 녹나무 Cinnamomum 감탕나무 Ilex, 장구밤나무 Grewia, 두릅나무 Aralia, 생강나무 Lindera)은 현 재에도 자연적으로 분포한다, 우리나라의 신생대 제3기 팔레오세와 에오세에 대한 화석정보 는 불분명하다. 올리고세의 쌍자엽식물은 황해 봉산에서 12속이 발견되며 그중 11속은 아직 도 자라고 있다. 마이오세에는 북한의 gkarud도와 강원도의 7곳과 남한의 경북과 강원의 4 곳에서 72속의 쌍자엽식물이 출현했으며 16속(Engelhardtia, planera, Hamamelis, Porana, Sassafras, Parrotia, Comptonia, Hemitrapa, Nothofagus, Erica, Pasania, Cryptocary, Phoebe, Entada, Carpites, Trochodendron)을 제외한 나머지 56속은 현생한다. 신생대 제4기 플라이스토세 동안 복한 전역의 7곳과 남한 전역의 10곳에서 53속의 쌍자엽식물이 산출되었 으며 그 중 Engelhardtia, raphidephis, Sapium등 3속을 제외한 모든속이 아직도 자연적으로 분포한다. 홀로세에는 남한의 14곳에서 29속의 쌍자엽식물이 출토되었는데 Lespidobalanus 를 제외한 나머지는 지금도 잘 자라고 있다. 요약하면 한반도에 중생대 백악기에 쌍자엽식 물이 출현한 이래 신생대 제3기 올리고세와 마이오세 그리고 신생대 제4기 플라이스토세와 홀로세까지 큰 변화없이 식물상과 식생이 지속적으로 명맥이 유지되고 번성하였다, 이는 한 반도가 여러 차례가 기후 변화에 따라 식생대의 이동은 있었으나 식물상의 멸종을 가져올 정도의 환경적 격변을 겪지 않고 비교적 안정적인 환경이 장기간 지속되었음을 의미한다. 아울러 기후가 변화할 때마다 식물들리 서식, 생존할수 있는 다양한 피난처가 한반도의 도 처에 산재되어 있었음을 뜻한다,.

  • PDF

기후변화 시나리오에 따른 지역 물수지 추정 (Estimation of Regional Water Balance in Various Climate Change Scenarios)

  • 김만규
    • 한국제4기학회지
    • /
    • 제13권1호
    • /
    • pp.53-65
    • /
    • 1999
  • 기후변화와 이에 따르는 식생변화, 인위적인 토지이용 변화 등 '지역환경생태시스템의 변화'에 대한 '지역 물수지변화' 추정은 오직 필자가 개발한 BROO $K_{TOP}$과 같은 '물리기반 물수지 모델(Physical based Water Balance Model)'류에 의해서만 가능하다. 본 연구에서는 독일 중북부 농업지대와 산림지대에 대해서 $BROOK_{TOP}$ 소프트웨어를 이용하여 정립된 물리기반 지역물수지모델에 독일 포츠담 기후변화연구소(PIK) 시나리오와 체코 프라하대학에서 개발한 중부유럽 대상 GCM 기후변화 시나리오를 적용하여 물수지변화를 추정하였다. 이와 같은 기후와 지표.지하조건을 고려 한 지구온난화에 따른 수자원변화 예측시스템 개발은 하천수$\cdot$지하수 개발 및 수질 관리, 농업경작관리, 환경생태계 관리, 자연 재해 관리, 토지이용계획 및 지역개발계획 등을 위한 시스템개발의 기반이 된다

  • PDF

동해시의 강수 분포 특성 (The Distribution of Precipitation in Donghae-Shi)

  • 이장렬
    • 한국제4기학회지
    • /
    • 제13권1호
    • /
    • pp.45-52
    • /
    • 1999
  • 본 연구에서는 동해시의 강수 분포 특성을 파악하고자(1993~1997) 해안, 동해 레이더 기상대, 서부 산지의 고도 148m, 고도 320m, 고도 842m와 같은 고도의 경포해안, 설악산 관리사무소, 소금강 관리사무소의 AWS, 대관령 기상관측소 등의 일.월별 강수자료를 분석하였다. 이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동해시에서 1시간 최다 강수량은 62.4mm, 일 최다 강수량은 200mm, 월 최다 강수량은 355.5mm이고, 일 신적설 최심은 35.5cm이다. 여름철 강수량은 해안에서 서부 산지로 고도가 높아질수록 증가하는 경향이고, 겨울철 강수량은 해안이나 높은 산지에 많은 편이다. 동해시에 나타난 호우 중 강우량이 가장 많았던 경우는 태풍이 통과할 때이고, 그 다음은 장마전선, 저기압 통과 순이다. 일 강수량 20mm 이상이 나타난 날은 총 81일인데 이 중 44일이 여름철에 나타났다. 이는 장마전선의 북상과 오호츠크해 고기압에 의한 북동기류의 유입 때문이다. 동해시에서는 종관 환경 에 따라 해안과 높은 산지에 강설량의 차이가 나타났다.

  • PDF

부유성 유공충의 유생은 고해양/고기후의 연구에 영향을 미치는가\ulcorner : 1년간의 퇴적물트랩 관찰로부터 (Do Planktonic Foraminifera Juveniles Bias the Paleoceanographic/Paleoclimatic History Interpretation\ulcorner : Short Report of Year-long Trap Result)

  • Im Chul Shin;Byong-Kwon Park;Hi-Il Yi
    • 한국제4기학회지
    • /
    • 제13권1호
    • /
    • pp.91-98
    • /
    • 1999
  • 부유성 유공충의 상대적인 양이 고기후 및 고해양환경의 해석에 미치는 영향을 1년 동안 관찰한 퇴적물 포집장치에 함유된 유공충의 연구로 행하여졌다. 본 연구는 저자들이 알고 있는 한 처음으로 행해진 것이다. 총 부유성 유공충의 수, 고기후의 지시자로 사용되는 부유성 유공충 G. bulliodes와 N. dutertrei)의 상대적인 양, 수온, 염도 등은 부유성 유공충 유생의 상대적인 양과 통계적으로 의미 있는 상관관계를 보이지 않는다. 하지만 부유성 유공충 유생의 상대적인 양은 종다양성지수(종 풍성도, 샤논-와이너 지수, 균등도)와 상관관계를 보인다. 이러한 결과는 유생의 양은 종의 상대적인 양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으나 종다양성에는 영향을 미침을 의미한다. 따라서 퇴적물 포집장치에서 일년간 관찰한 결과에 의하면 부유성 유공충의 유생을 count 시 제외했을 때 종다양성 지수를 이용한 고기후/고환경해석시 주의 가 요망된다.

  • PDF

화분분석에 의한 한국 중서부 저지대의 4,000년전 이후 고환경 (Paleoecological Aspect using Palynology since 4,000 Year B. P. in the Lowland of Western Central Korea)

  • 이상헌;전희영;윤혜수
    • 한국제4기학회지
    • /
    • 제13권1호
    • /
    • pp.1-23
    • /
    • 1999
  • 경기도 화성군 안녕리 지역의 충적층 시추 시료로부터 화분분석이 처음으로 수행되었다. 그 결과 2개의 화분대: 제 1 화분대(Pollen Zone I : Ainus-Quercus-Pinus)와 제 2 화분대(Pollen Zone II : Pinus)가 설정되었다. 제 1 화분대는 약 3,500 yr. B.P.~2,000 yr. B.P.동안 침엽-낙엽 활엽수 혼합림(mixed coniferous and deciduous broadleaved vegetation), 제 2 화분대는 2,000 yr. B.P.이후의 침엽-상록활엽수림 (coniferous vegetation and evergreen broadleaved vegetation)으로 각각 특징지워진다. 제 1 화분대는 저지대 하호성(fluvio-lacustrine)환경으로 호수가 형성되기 시작하는 시기이며, 제 2 화분대는 완전한 호수 혹은 저수지환경이 형성된 시기이다. 화분 분석결과에 의하면 약 3,500 yr. B.P.부터 2,000 yr. B,P.까지는 식물의 서식분포는 주로 자연 환경조건에 지배를 받은 반면에, 2,000 yr. B.P.이후는 소나무림으로 특징지워지면서 인간의 정착생활 시작으로 농경지 확대와 자연림 파괴가 시작되어 자연림에서 인공림으로 바뀌어진 것으로 해석된다. 결과적으로, 화분분석을 통하여 이 연구지역의 고환경과 인간간섭시기를 밝힐 수가 있었으며, 또한 담수조류의 분석으로 과거 존재했던 호수의 규모를 규명할 수가 있었다.

  • PDF

Temperature Fluctuations Over the Past 2000 Years in Western Mongolia

  • Pederson, Neil;Jacoby, Gordon C.;D′Arrigo, Rosanne.;Frank, David;Buckley, Brendan;Nachin, Baatarbileg;Chultem, Dugarjav;Renchin, Mijiddorj
    • 한국제4기학회지
    • /
    • 제17권2호
    • /
    • pp.157-159
    • /
    • 2003
  • Much of northern Asia is lacking in high-resolution palaeoclimatic data coverage. This vast region thus represents a sizeable gap in data sets used to reconstruct hemispheric-scale temperature trends for the past millennium. To improve coverage, we present a regional-scale composite of four tree-ring width records of Siberian pine and Siberian larch from temperature-sensitive alpine timber-line sites in Mongolia. The chronologies load closely in principal components analysis (PCA) with the first eigenvector accounting for over 53% of the variance from ad 1450 to 1998. The 20-year interval from 1974 to 1993 is the highest such growth period in this composite record, and 17 of the 20 highest growth years have occurred since 1946. Thus these trees, unlike those recently described at some northern sites, do not appear to have lost their temperature sensitivity, and suggest that recent decades have been some of the warmest in the past 500 years for this region. There are, however, comparable periods of inferred, local warmth for individual sites, e.g., in 1520-1580 and 1760-1790. The percent common variance between chronologies has increased through time and is highest (66.1%) in the present century. Although there are obvious differences among the individual chronologies, this result suggests a coherent signal which we consider to be related to temperature. The PCA scores show trends which strongly resemble those seen in recent temperature reconstructions for the Northern Hemisphere, very few of which included representation from Eurasia east of the Ural Mountains. The Mongolia series therefore provides independent corroboration for these reconstructions and their indications of unusual wanning during the twentieth century.

  • PDF

Global Warming Detected by Tree Rings from Mongolia

  • Nachin, Baatarbileg;Jacoby, Gordon C.
    • 한국제4기학회지
    • /
    • 제17권2호
    • /
    • pp.55-61
    • /
    • 2003
  • In the year 2000 we culminated a successful five year investigation of climate change by completing a preliminary east-west transect across Mongolia. An earlier tree-ring study at Tarvagatay Pass, Mongolia indicated unusual warming during the 20th century similar to other paleo-investigations of the northern hemisphere. This record had represented one of the few tree-ring records for central Asia. New data from several sites in western Mongolia confirmed the preliminary temperature. The highest twenty-year growth period for the composite record is from 1973-1994. The western Mongolian record was significantly correlated with the Taimyr Peninsula and two northern hemisphere temperature reconstructions reflecting large-scale temperature patterns while showing some important regional differences. These differences should prove useful for climate models. We have also developed a millennial length temperature-sensitive record at the Solongotyin Davaa site (formerly Tarvagatay Pass) using relict wood and living trees. Conspicuous features over the last 1000 years are a century scale temperature decline punctuated by the end of the Little Ice Age in the late-1800s and 20th century warming. The record also shows a cold period early in the 12th century and warm intervals late in the 10th, early in the 15th and at end of the 18th centuries. Despite a limited sample size before 900 AD, the long Solongotyin Davaa record is useful in indicating severe cold events and suggests some cold intervals nearly as severe. These tree ring series, spanning much of the circumpolar northern treeline, have been compiled to create a long-term reconstruction of the Earth's temperature over centuries. The new chronology, in addition to its value as a detailed record of Mongolian climate, provides independent corroboration for such hemispheric and global reconstructions and their indications of unusual warming during the 20th century.

  • PDF

Reconstruction of Vegetation During $9^{th}$ Century in Southern Korea: Anatomical and Dendrochronological Analysis of Waterlogged Woods Excavated at Cheonghea-jin Fort

  • Han, Sang-Hyo;Park, Won-Kyu;Kim, Yo-Jung;Jung, Suk-Bae
    • 한국제4기학회지
    • /
    • 제17권2호
    • /
    • pp.117-122
    • /
    • 2003
  • This study is conducted to examine the woods that were excavated at Jangdo Island. The Jangdo site is located in a small island some 180 meters away from the main island of Wando, Jeollanam-do in southern Korea. This site is known as Cheong-Hea Jin fort for the marine King Jang Bogo during the early 9$^{th}$ century. Total of 101 specimens were collected in three groups; small-size piles, log fences (Mok-check) and logs from a well. The species of the group of piles consisted of Quercus spp. (43%), Pinus densiflora (29%), Pinus koraiensis (5%), Alnus japonica (3%), Fraxinus spp. (3%), Styrax obassia (3%), Juglans spp. (2%), Zelkova serrata (2%), Platycarya strobilacea (2%), Celtis spp. (2%), Torreya nucifera (2%), Quercus myrsinaefolia (2%), and Cinnamomum spp. (2%). The species of Mok-check and logs from the well were identified as all Pinus densiflora. The species composition indicated that the climate around A. D. 9th-10th century in southern Korea was similar to the present.. The wooden fences were also examined for tree-ring analysis. The ages of woods were 50∼60 years. We made two site chronologies. The chronologies indicated that southeastern and southwestern fences were repaired frequently. The results could not give the absolute dates due to lack of reference chronologies in this period.

  • PDF

The Natural Environment during the Last Glacial Maximum Age around Korea and Adjacent Area

  • Yoon, Soon-Ock;Hwang, Sang-Ill
    • 한국제4기학회지
    • /
    • 제17권2호
    • /
    • pp.33-38
    • /
    • 2003
  • This study is conducted to examine the data of climate or environmental change in the northeastern Asia during the last glacial maximum. A remarkable feature of the 18,000 BP biome reconstructions for China is the mid-latitude extention of steppe and desert biomes to the modem eastern coast. Terrestrial deposits of glacial maximum age from the northern part of Yellow Sea suggest that this region of the continental shelf was occupied by desert and steppe vegetation. And the shift from temperate forest to steppe and desert implies conditions very much drier than present in eastern Asia. Dry conditions might be explained by a strong winter monsoon and/or a weak summer monsoon. A very strong depression of winter temperatures at LGM. has in the center of continent has influenced in northeast Asia similarly. The vegetation of Hokkaido at LGM was subarctic thin forest distributed on the northern area of middle Honshu and cool and temperate mixed forest at southern area of middle Honshu in Japan. The vegetation landscape of mountain- and East coast region of Korea was composed of herbaceous plants with sparse arctic or subarctic trees. The climate of yellow sea surface and west region of Korea was much drier and temperate steppe landscape was extended broadly. It is supposed that a temperate desert appeared on the west coast area of Pyeongan-Do and Cheolla-Do of Korea. The reconstruction of year-round conditions much colder than today right across China, Korea and Japan is consistent with biome reconstruction at the LGM.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