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 Planktonic Foraminifera Juveniles Bias the Paleoceanographic/Paleoclimatic History Interpretation\ulcorner : Short Report of Year-long Trap Result

부유성 유공충의 유생은 고해양/고기후의 연구에 영향을 미치는가\ulcorner : 1년간의 퇴적물트랩 관찰로부터

  • Im Chul Shin (Korea Ocean Research and Development Institute, Marine Geology and Geophysics Division) ;
  • Byong-Kwon Park (Korea Ocean Research and Development Institute, Marine Geology and Geophysics Division) ;
  • Hi-Il Yi (Korea Ocean Research and Development Institute, Marine Geology and Geophysics Division)
  • Published : 1999.12.01

Abstract

The effect of the relative abundances of planktonic foraminifera juveniles on the climatic and oceanographic history interpretations is documented for the first time (as far as we know) by use of the year-long time-series sediment trap samples. Statistical correlation analysis suggests that many climatic and oceanographic variables such as sinking flux (total number) of planktonic foraminifera, relative abundance of some climatic indicator species G. bulloides and N. dutertrei, temperature, and salinity do not show any significant correlations with the relative abundance of planktonic foraminifera juveniles. However, planktonic foraminifera juveniles show moderate correlations with species diversity indices (species richness, Shannon-Wiener index, and Equitability). These indicate that the juveniles do not affect the relative abundances(%) of species compositions but affect the species diversity indices. Based on this one-year trap result, special care is required when we use species diversity indices for the interpretations of paleoceanography when the juveniles are excluded from total planktonic foraminiferal countings.

부유성 유공충의 상대적인 양이 고기후 및 고해양환경의 해석에 미치는 영향을 1년 동안 관찰한 퇴적물 포집장치에 함유된 유공충의 연구로 행하여졌다. 본 연구는 저자들이 알고 있는 한 처음으로 행해진 것이다. 총 부유성 유공충의 수, 고기후의 지시자로 사용되는 부유성 유공충 G. bulliodes와 N. dutertrei)의 상대적인 양, 수온, 염도 등은 부유성 유공충 유생의 상대적인 양과 통계적으로 의미 있는 상관관계를 보이지 않는다. 하지만 부유성 유공충 유생의 상대적인 양은 종다양성지수(종 풍성도, 샤논-와이너 지수, 균등도)와 상관관계를 보인다. 이러한 결과는 유생의 양은 종의 상대적인 양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으나 종다양성에는 영향을 미침을 의미한다. 따라서 퇴적물 포집장치에서 일년간 관찰한 결과에 의하면 부유성 유공충의 유생을 count 시 제외했을 때 종다양성 지수를 이용한 고기후/고환경해석시 주의 가 요망된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