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기하학적 거리

Search Result 262, Processing Time 0.027 seconds

Teaching method of the ellipse in Transformation Geometry (변환 기하학적 관점에서 본 타원의 지도 방안)

  • Cho, Cha-Mi
    • School Mathematics
    • /
    • v.14 no.3
    • /
    • pp.331-355
    • /
    • 2012
  • All the method used in teaching the ellipse was to have students draw the points which have the same sum of distances from the two points so that they can confirm the shapes of the ellipse before showing them the definition of ellipse. In this process, students would not get an opportunity to think or make the definition of ellipse for themselves. This deductive way can hinder students from having clear understanding of why such definition was made. This paper introduces a method of defining the ellipse based on the similarity between a circle and an ellipse, leading into the equation. This method is possible by introducing Analytic Geometry taught in current school mathematics and Transformation Geometry. By doing so, this paper will discuss a fundamental understanding about the ellipse and the feature of the ellipse expandable by intuition. Furthermore this paper will also show various advantages which can be given by defining the ellipse in Transformation Geometry.

  • PDF

Mesh Segmentation Reflecting Global and Local Geometric Characteristics (전역 및 국부 기하 특성을 반영한 메쉬분할)

  • Im, Jeong-Hun;Ha, Jong-Sung;Yoo, Kwan-Hee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07.06b
    • /
    • pp.167-170
    • /
    • 2007
  • 본 논문에서는 텍스춰매핑, 재메쉬화, 메쉬의 단순화와 모핑 및 압축 등 다양한 분야에 적용되는 메쉬분할 문제를 다룬다. 메쉬분할은 주어진 삼차원 메쉬를 서로 떨어진 집합(disjoint sets)으로 분할하는 것으로서 여러 연구자들에 의해 많은 연구 결과들이 제시되어 왔다. 본 논문에서는 삼차원 메쉬가 가지고 있는 기하학적 특성을 고려하여 메쉬를 분할하는 방법을 제시하고자 한다. 먼저 메쉬의 국부적 기하 특성인 곡률 정보와 전역적 기하 특성인 볼록성을 이용하여 삼차원 메쉬를 구성하는 첨예정점을 추출하였고, 이들간의 거리 정보를 이용하여 이 첨예정점들을 군집화(clustering)하였다. 최종 메쉬분할을 위해 분할된 첨예정점에 속하지 않는 나머지 정점들에 대해 거리 정보를 이용하여 군집화를 수행하였다. 본 논문에서 제안한 메쉬분할 방법을 검증하기 위해 벤치마크로 공개된 여러 메쉬 모델에 대해 실험하여 그 결과를 보여주었다.

  • PDF

FDTD Simulation of Integrated Nano-probe Slide (나노 탐침 슬라이드에 대한 FDTD 시뮬레이션)

  • 채규민;이현호;임상엽;박승한
    • Proceedings of the Optical Society of Korea Conference
    • /
    • 2003.07a
    • /
    • pp.184-185
    • /
    • 2003
  • 근접장 광학 현미경에 사용되는 다양한 탐침 중 가장 널리 사용되는 근접장 탐침은 잡아끌거나 식각하는 방식으로 첨단부를 뽀족하게 한 후 수십 내지 수백 나노미터 직경의 개구 만을 남겨두고 금속 코팅한 광섬유 탐침이다. 하지만 이렇게 제작되는 광섬유 탐침에는 뽀족한 기하학적인 모양과 깨지기 쉬운 재질 특성으로 인하여 내구성이 떨어지고 작은 개구 각도로 인하여 광 전달율이 매우낮으며 탐침을 근접장 영역에 진입시킨 후 시료와 탐침 간의 거리를 유지시키기 위해서 매우 복잡한 거리 유지 장치가 필요하다는 단점들이 있다. (중략)

  • PDF

Distance profile histogram과 뉴럴네트워크를 이용한 이동로보트의 주행제어

  • 신무승;김현태;박민용
    • 제어로봇시스템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1996.10b
    • /
    • pp.1153-1156
    • /
    • 1996
  • 본 논문은 새로운 지역 경로 계획 알고리즘으로 DPH(Distance Profile Histogram)방법과 뉴럴네트워크를 사용한 주행 방법을 제안한다. DPH방법은 격자형 환경 모델을 기반으로 장애물의 존재 유무와 거리정보와 같은 장애물의 기하학적 배치정보를 사용하게 된다. 또한 긴 장애물이나 막힘상황(Dead end)과 같이 지역 경로 계획만으로는 회피하기 어려운 상황에서는 뉴럴네트워크에 의해 학습된 정보에 의해 주행하는 방법을 사용했다.

  • PDF

A Fast VQ Encoding Algorithm (고속 VQ 부호화 알고리즘)

  • Baek, Seong-Joon;Lee, Dae-Ryong;Jeon, Bum-Ki;Sung, Koeng-Mo
    • The Journal of the Acoustical Society of Korea
    • /
    • v.16 no.2
    • /
    • pp.95-100
    • /
    • 1997
  • In this paper, we present a new fast VQ encoding algorithm. The proposed algorithm facilitates two characteristics of a vector, i.e., mean and variance to reject many unlikely codewords and save a lot of computation time. Since the proposed algorithm, which is based upon geometric considerations, rejects those codewords that are impossible to be the closest codeword, it provides the same results as a conventional exhaustive(or full) search algorithm. The simulation results confirm the effectiveness of the proposed algorithm.

  • PDF

Acoustic Field Prediction of Open Pipe by Using Coupled Boundary Element Method (연성경계요소법에 의한 개방된 관의 음장 해석)

  • 배정용;이정권
    • The Journal of the Acoustical Society of Korea
    • /
    • v.12 no.4
    • /
    • pp.21-31
    • /
    • 1993
  • 불규칙한 기하구조 및 기하학적 특이점들을 갖는 방사체에 의해 형성되는 음장을 예측하는 작업은 매우 어려운 일이다. 이러한 종류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는 Seybert에 의해 제창된 내, 외부를 연성하여 해석하는 경계요소법에 의한 해석이 유용하다고 여겨지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연성경계요소법을 재 구성하여 예제로서 얇은 벽면을 갖는 개방된 관에서 방사되는 음장을 선택한 후, 이 방법의 신뢰성, 적용성 및 오차에 대한 해석을 해?ㄴ다. 외부 방사 문제에 있어서의 비유일성문제는 소외 CHIEF 기법을 도입하여 해결하였다. 두 개의 마이크로폰을 사용하여 신호처리를 통한 실험 결과와 본 경계요소법에 의한 결과는 서로 잘 일치하였다. 한편 경계면에 몹시 가까운 지점에서의 음장을 예측할 때의 오차 해석을 수행한 결과, 예측 오차가 10% 이내에서 유지되려면 경계요소법의 가장 짧은 변의 길이가 예측점과 벽면 사이의 거리보다 최소한 10배 이상은 커야함을 알아내었다. 이 기법은 기하학적인 특이점을 포함하는 각종 음향 문제에 매우 유효 적절한 방법으로 생각된다.

  • PDF

Similarity Measure Between Interval-valued Vague Sets (구간값 모호집합 사이의 유사척도)

  • Cho, Sang-Yeop
    •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Intelligent Systems
    • /
    • v.19 no.5
    • /
    • pp.603-608
    • /
    • 2009
  • In this paper, a similarity measure between interval-valued vague sets is proposed. In the interval-valued vague sets representation, the upper bound and the lower bound of a vague set are represented as intervals of interval-valued fuzzy set respectively. Proposed method combines the concept of geometric distance and the center-of-gravity point of interval-valued vague set to evaluate the degree of similarity between interval-valued vague sets. We also prove three properties of the proposed similarity measure. It provides a useful way to measure the degree of similarity between interval-valued vague sets.

A Study on the Geometric Correction of a CCD Camera Scanner Using the Exterior Orientation Parameters (외부표정요소를 이용한 CCD 카메라 스캐너의 기하학적 왜곡 보정기법 연구)

  • 안기원;문명상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Surveying, Geodesy, Photogrammetry and Cartography
    • /
    • v.11 no.2
    • /
    • pp.69-77
    • /
    • 1993
  • Investigation is given to the detailed procedure of a computer assisted automatic correction for scanning errors of the digital images of close-range photographs scanned by the CCD camera scanner. After determination of the exterior orientation parameters, photo coordinates of the all pixels were calculated using collinearity equation. For the generation of geometric corrected image from the photo coordinates of the all pixels, inverse-weighted-distance average method was used. And the accuracy of the resulting new image was checked comparing its image coordinates with there corresponding ground coordinates for the check points.

  • PDF

Face Recognition Method using Geometric Feature and PCA/LDA in Wavelet Domain (웨이브릿 영역에서 기하학적 특징과 PCA/LDA를 사용한 얼굴 인식 방법)

  • 송영준;김영길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 /
    • v.4 no.3
    • /
    • pp.107-113
    • /
    • 2004
  • This paper improved the performance of the face recognition system using the PCA/LDA hybrid method based on the facial geometric feature and the Wavelet transform. Because the previous PCA/LDA methods have measured the similarity according to the formal dispersion, they could not reflect facial boundaries exactly In order to recover this defect, this paper proposed the method using the distance between eyes and mouth. If the difference of the measured distances on the query and the training images is over the given threshold, then the method reorders the candidate images according to energy feature vectors of eyes, a nose, and a chin. To evaluate the performance of the proposed method the computer simulations have been performed with four hundred facial images in the ORL database. The results showed that our method improves about 4% recognition rate over the previous PCA/LDA method.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