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기하학적으로

Search Result 3,554, Processing Time 0.047 seconds

A Study on Possibility of Teaching Complex Numbers from Geometric Aspect (기하학적 측면에서 복소수의 지도가능성 고찰)

  • Lee, Dong-Hwan
    • Journal of Educational Research in Mathematics
    • /
    • v.18 no.1
    • /
    • pp.51-62
    • /
    • 2008
  • In the 7th-curriculum, only basic arithmetics of complex numbers have been taught. They are taught formally like literal manipulations. This paper analyzes mathematically essential relations between algebra of complex numbers and plane geometry. Historical analysis is also performed to find effective methods of teaching complex numbers in school mathematics. As a result, we can integrates this analysis with school mathematics by help of Viete's operations on right triangles. We conclude that teaching geometric interpretation of complex numbers is possible in school mathematics.

  • PDF

Image Registration Using Repetitive Patterns (반복 패턴을 이용한 영상 정합)

  • Ha, Seong Jong;Cho, Nam Ik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Broadcast Engineers Conference
    • /
    • 2012.07a
    • /
    • pp.306-308
    • /
    • 2012
  • 본 논문은 특징 클러스터에 대한 묘사에 기반한 새로운 특징 기반 영상 정합을 제안한다. 추출되는 특징들을 모두 동등하게 처리하는 기존 방법은 반복 패턴이 존재하는 영상에서는 매칭이 종종 실패하거나 적은 일치점만을 제공한다. 그 이유는 서로 닮아 있는 반복 패턴들로 인해 기하학적으로 일관되지 않은 매칭점들이 발생하거나 거리 비율 테스트를 통과하지 못하기 때문이다. 이에 반해 제안하는 방법은 더 많은 수의 일치점들을 발견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제안하는 방법은 먼저 추출된 특징들을 반복 패턴으로부터 온 것들과 그렇지 않은 두드러진 특징들로 분리한다. 그런 후 support vector data description을 이용하여 각 반복 패턴들을 묘사한다. 동일하지 않은 영상이 매칭되는 경우를 제거하고 기하학적으로 일관된 일치점들을 제공하기 위해 매칭된 쌍에 대한 기하학적인 단서가 추가된다. 실험을 통해 제안하는 방법은 반복 패턴으로부터 추출된 특징들에 대해 일치점을 제공함으로써 더 많은 수의 일치점을 제공하게 되어 더 정확한 영상 정합을 수행한다는 것을 증명하였다.

  • PDF

Extraction of Feature Parameter for Performance Enhancement on Hand-Geometry Recognition System (손 모양 인식시스템에서 성능 향상을 위한 특징 파라메터 추출)

  • 박주원;김영탁;김수정;탁한호;이상배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Intelligent Systems Conference
    • /
    • 2004.10a
    • /
    • pp.85-89
    • /
    • 2004
  • 최근 몇 년 동안 사람들의 고유한 생리적인 특징을 이용한 생체 인식은 새로운 학문으로서 연구 및 개발이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 Hand-Geometry는 생체 인식의 확인 그리고 취득의 편리 때문에 식별 그리고 확인을 위하여 사용되고 있다. 그러므로, 본 논문은 이러한 특징을 가지는 손의 기하학적인 Hand-Geometry 인식 시스템을 제안하고자 한다. 해부학적인 관점에서, 인간의 손은 길이, 폭, 두께, 기하학적인 모양, 손바닥의 모양, 그리고 손가락들의 기하학적인 모양까지 특성으로 나타내어 질 수 있다. 그러나 특징 데이터 가운데 사용자의 Hand-GeoMetry의 특징에 따라 길이 데이터가 변하는 것을 실험적으로 발견하였다. 따라서 이와 같은 가변적인 길이 데이터를 안정화시키기 위하여 본 논문에서는 길이 데이터의 기준점을 손톱 아래 점으로 정하고, GA를 적용하여 보다 안정된 특징점을 추출하였다. 본 논문에서 제안한 Hand-Geometry 인식 시스템은 성인 20명의 개인에 대해 100개의 측정 데이터에 기인한 확인 결과를 제시한다. 인식 과정은 320$\times$240의 이미지로 실험하였고 인식 과정의 결과는 95 %의 적중률과 0.020의 FAR로 나타났다.

  • PDF

Fast Geometric Transformations of 3D Images Represented by an Octree (8진트리로 표현된 3차원 영상의 빠른 기학학적 변환)

  • Heo, Yeong-Nam;Park, Seung-Jin;Kim, Eung-Gon
    • The Transaction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 /
    • v.2 no.6
    • /
    • pp.831-838
    • /
    • 1995
  • Geometric transformations require many operations in displaying moving 3D objects on the screen and a fast computation is a important problem in CAD or animation applications. The general method to compute the transformation coordinates of an object represented by an octree must perform the operations on every node. This paper proposes an efficient method that computes the rectangular coordinates of the vertices of the octree nodes into the coordinates of the universe space using the basicvectors in order to compute quickly geometric transformations of 3D images represented by an octree. The coordinates of the vertices of each octant are computed by using the formula presented here, which requies additions and multiplications by powers of 2. This method has a very fast execution time and is compared with the general computation method.

  • PDF

Automated Geometric Correction based on Robust Estimation with Geostationary Weather Satellite Image (강인추정 기법에 기반한 정지궤도 기상위성영상의 자동 기하보정)

  • Lee, Tae-Yoon;Ahn, Myoung-Hwan;Oh, Hyun-Jong
    • Proceedings of the KSRS Conference
    • /
    • 2007.03a
    • /
    • pp.161-166
    • /
    • 2007
  • Multi-functional Transport Satellite lR(MTSAT-lR)과 같은 정지궤도 기상위성의 지상 전처리 과정에는 영상위치보정(Image navigation and registration)이 포함된다. 영상위치보정은 위성 영상의 기하학적인 왜곡을 보정하는 과정이다. 랜드마크를 이용하는 영상위치보정 과정은 랜드마크 결정과 센서 모델 추정, 리샘플링(Resampling)의 세 가지 단계로 나눌 수 있다. MTSAT-1R의 High Resolution Image Data(HiRID)는 이미 영상위치보정이 수행되었지만, 기하학적인 오차가 남아있는 영상을 포함하기도 한다. 본 연구에서는 이런 기하학적인 오차를 제거하기 위해서 강인추정 기법에 기반한 기하보정을 수행하였다. 이태윤 등 (2005)은 강인추정 기법과 Direct Linear Transformation (DLT)에 기반한 오정합 판별 방법을 제안하였다. 이 판별 방법을 적용하여 추정된 DLT로 MTSAT-1R 영상의 기하보정을 수행한 결과에는 향상된 정확도로 기하보정 된 영상 뿐만 아니라 비교적 큰 오차를 포함하는 영상도 있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 본 연구에서는 강인추정 기법과 Affine 변환을 이용한 방법을 적용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기준 해안선에서 추출한 1,407개의 랜드마크와 8개의 MTSAT-1R 영상을 이용하였으며,강인추정 기법에 DLT를 적용한 방법과 Affine 변환을 적용한 방법으로 자동 기하보정을 수행하여 그 결과를 비교하였다. 또한 강인추정 기볍 중 RANSAC과 MSAC의 적용 결과를 비교하여 보았다. 그 결과,DLT로 기하보정 시,본 논문에서 제안된 방법이 강인추정 기법에 DLT를 적용한 방법 보다 더 좋은 성능을 보여주었다.

  • PDF

열 확산에 의한 미소입자의 부착현상에 관한 실험적 연구

  • 김상수;장혁상
    • Transactions of the Korean Society of Mechanical Engineers
    • /
    • v.9 no.3
    • /
    • pp.379-386
    • /
    • 1985
  • 본 연구에서는 부차적으로 이와 같은 광반사법의 유용성을 개발, 평가하고자 한다. 또 실험에서 벽면에 부착되는 입자는 기하학적 형상에 따라 입자주위의 유체 흐름에 지배적인 영향을 받게 되므로 실험을 통하여 입자의 기하학적 형상에 따라 변 화되는 열확산 효과의 상대적인 영향을 평가한다.

물리적 인간 기계 상호작용을 위한 근육의 기하학적 형상 변화를 이용한 상지부 움직임 예측

  • Han, Hyo-Nyeong;Kim, Jeong
    • ICROS
    • /
    • v.16 no.3
    • /
    • pp.34-39
    • /
    • 2010
  • 근육 활성화시 나타나는 근육의 기하학적 형상인 단면적 변화를 움직임 의도 예측에 사용했다. 밴드 형태로 구성한 유연한 압전 케이블(flexible piezoelectric cable)을 이용하여 단면적을 측정하는 착용형 근육 활성도 측정 센서(pMAS, piezo cable muscle activation sensor)를 설계했고, 상완부에 적용하여 팔꿈치의 움직임을 예측했다.

Wu 불변거리 연구에 관하여

  • 김강태
    • Communications of the Korean Mathematical Society
    • /
    • v.14 no.2
    • /
    • pp.233-286
    • /
    • 1999
  • Berkeley의 H. Wu 교수에 의하여 1993년에 제창된 Wu 거리는 다변수 복소함수론의 기하학적 연구에 중심적인 역할을 하는 여러 불변거리 중 가장 최근에 발견되었다. 짧은 역사에도 불구하고 이 개념의 유용성이 두드러지는 점을 감안하여, 이 연구의 내용과 전망 그리고 여러 관련 문제 등을 소개하려는 것이 이 논문의 목표이다.

  • PDF

Suspension and Kinematics (현가장치와 기구학)

  • 이언구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Automotive Engineers
    • /
    • v.26 no.2
    • /
    • pp.10-16
    • /
    • 2004
  • 일반적으로 기구라 함은 어떤 한정된 상대운동을 할 수 있도록 각종 Joint로 연결된 여러 강체들의 조합을 의미한다. 또한 기구는 많은 기계적 장치들의 가장 중요한 설계인자중의 하나라 할 수 있는 기하학적 특성들을 구현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지며, 그 기하학적 특성은 주로 주 관심 대상인 강체의 기준 강체에 대한 궤적 특성이라 할 수 있겠다.(중략)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