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기초연구 지원

Search Result 2,148, Processing Time 0.031 seconds

Study on Budget Allocation System and paradigm Shift of Management for Basic Research (기초연구의 예산배분체계 및 관리 패러다임 전환에 관한 소고(小考))

  • Kim, Mi-Jeong;Lee, Heung-Kwon;Choi, Tae-Jin
    • Journal of Korea Technology Innovation Society
    • /
    • v.14 no.2
    • /
    • pp.177-204
    • /
    • 2011
  • Recently the government expands its investment in basic research to overcome the limit of technology catch-up strategy. At this point, Korea's R&D supporting system needs to be evaluated whether it is appropriate to support creative basic research. Therefore, this study approaches to analyze the cases of basic research supporting system about the characteristics of basic research and necessary systematic requirements. This research discussed the necessity for introducing the paradigm of policy management system of basic research. Also it found that the performance of basic research is very important element for the effectiveness of research itself as well as continuous appropriacy of the system.

  • PDF

Volume Rendering System of Electron Microscopy using Image preprocessiong (이미지 전처리를 이용한 전자현미경 볼륨 랜더링 시스템)

  • Won-gu Jung;Jong-man Jeung;Ji-young Lee;Ho Lee;Sang-Su Choi;Hee-Seok Kweon;Youn-Joong Kim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08.11a
    • /
    • pp.100-103
    • /
    • 2008
  • 한국기초과학지원연구원(KBSI, Korea Basic Science Institute)에서는 국내 유일의 초고전압투과전자현미경(HVEM, High Voltage Electron Microscopy)을 비롯하여 3대의 일반투과 전자현미경을 보유하고 있다. 전자현미경을 통하여 관찰된 이미지는 각 단계별로 tilting 되어 저장된 이미지로서 관찰자에게 보다 나은 관찰 환경의 구성을 위해 3D로의 reconstruction은 필수 과정이라고 할 수 있겠다. 이 과정 중 카메라 중심에서 벋어난 부분의 왜곡을 워핑기법을 통하여 최대한 감소시킨다. 이런 전처리 과정을 통하여 3D 구조물을 구성하게 되면 초기 이미지를 그대로 사용하는 것보다 한 단계 더 나은 결과물을 얻어낼 수 있다. 이미지 전처리를 이용한 전자현미경 볼륨 랜더링 시스템의 구축은 관찰자에게 보다 편리하며 빠른 실험 환경을 제공하여 줄 수 있고, 이해하기 쉽고 실제 모습에 가까운 형태의 실험 결과물을 접할 수 있게 된다.

A Study on Establishment of Time Series Model for Deriving Financial Outlook of Basic Research Support Programs (기초연구지원사업의 재정소요 전망 도출을 위한 시계열 모형 수립 연구)

  • Yun, Sujin;Lee, Sangkyoung;Yeom, Kyunghwan;Shin, Aelee
    • Journal of Technology Innovation
    • /
    • v.27 no.4
    • /
    • pp.21-48
    • /
    • 2019
  • In the basic research field, quantitative expansion is carried out with active support from the government, but there is no research and policy data suggesting systematic investment plans or data-based financial requirements yet. Therefore, this study predicted future financial requirements of basic research support programs by using time series prediction model. In order to consider various factors including the characteristics of the basic research field, we selected the ARIMAX model which can reflect the effect of multi valuable factors rather than the ARIMA model which predicts the value of single factor over time. We compared the predictions of ARIMAX and ARIMA models for model suitability and found that the ARIMAX model improves the prediction error rate. Based on the ARIMAX model, we predicted the fiscal spending of basic research support programs for five years from 2017 to 2021. This study has significance in that it considers the financial requirements of the basic research support programs as a pilot research conducted by applying a time series model, which is a statistical approach, and multi-variate rather than single-variate. In addition, considering the policy trends that emphasize the importance of basic research investment such as 'the expansion of basic research budget twice', which is the current government's national policy task, it can be used as reference data in establishing basic research investment strategy.

지역 R&D 생태계 활성화와 지역공공 R&D조직의 역할 -한국기초과학지원연구원 지역센터 발전방안을 중심으로 -

  • O, Se-Hong;Kim, Yang-Su;Park, Seok-Jong
    • Proceedings of the Korea Technology Innovation Society Conference
    • /
    • 2012.11a
    • /
    • pp.361-373
    • /
    • 2012
  • 지역 R&D 혁신생태계를 조성하고자 정부는 부처별로 다수의 지역 공공 R&D조직들을 다투어 구축하고 있다. 현재 지역 공공 R&D조직은 그 역할과 기능이 명확하지 않고, 지자체는 지역 실정에 맞는 지를 따지기 보다는 "일단 유치하고 보자"는 인식이 강하다. 조직의 구성원은 중앙정부 공공 R&D조직문화 및 운영방식에 익숙해져 있어서, 지역 공공 R&D 생태계와 상호작용, 협력메카니즘 구축에 여러 가지 어려움이 있다. 한국기초과학지원연구원은 지역연구자들에게 근거리 연구지원을 위해 전국에 9개의 지역센터를 운영하고 있다. 지역 R&D 혁신생태계 중 기초과학지원이라는 중요한 영역을 맡고 있다. 하지만, 현재 지역센터는 분석수요 대비 지역센터의 인력 및 인프라 미흡, 유지비용 부족으로 성장의 한계에 부딪힌 상황이다. 현재 지역센터의 역할 재정립에 대한 요구가 크다. 본 연구에서는 기초과학지원연구원의 지역센터에 대한 인터뷰 및 설문조사를 통해 지역 공공 R&D 조직의 역할과 기능에 대해 짚어보았다. 우선 지역센터의 현황과 문제점을 종합적으로 살펴보았다. 그리고 지역센터의 역할과 기능, 지역내 포지셔닝을 살펴보고, 실질적인 운영방안검토 및 새로운 역할과 발전전략에 대해 검토하였다. 본 연구는 앞으로 기초과학지원 연구원의 지역센터를 비롯한 지역공공 R&D조직은 국가차원의 당위적 수직적 역할 외에도 지역차원의 수평적 협력적 역할에 대해 새롭게 조명하고, 지역 관점에서 지역 공공 R&D 생태계와 지역산업까지 그 성과가 이어질 수 있도록 역할전환이 필요하다는 점을 제시하였다.

  • PDF

Application of band-pass filtering techniques for improvement on 3D tomogram (3D Tomogram 향상을 위한 Band-pass Filtering 기술의 활용)

  • Ryu, Keun-Yong;Kim, Soo-Jin;Jung, Hyun-Suk;Kweon, Hee-Seok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11.04a
    • /
    • pp.382-383
    • /
    • 2011
  • 초고전압 투과전자현미경으로부터 생산된 2D 이미지들에는 고전압(1250 kV)의 사용으로 인한 다양한 노이즈가 발생한다. 따라서 2D 이미지로부터 3D tomogram으로 재구성시 선명도 향상을 위하여 2D 이미지의 노이즈 제거 과정은 필수적이다. 본 연구에서는 band-pass filtering 기법을 활용하여 노이즈를 상당 부분 제거하였고, 필터링된 이미지로부터 3D tomogram으로 재구성한 경우 band-pass filtering의 효과가 2D 이미지에서 뿐만아니라 3D tomogram으로 재구성 했을 경우에 어떤 대역의 filter radius를 적용해야 더욱 효과가 크다는 사실을 확인하였다.

해양바이오 분야 R&D 지원의 동향분석과 함의 : 정부 R&D 사업 분석을 중심으로

  • Jang, Duckhee;Doh, Soogwan
    • Proceedings of the Korea Technology Innovation Society Conference
    • /
    • 2017.11a
    • /
    • pp.1375-1399
    • /
    • 2017
  • 이 연구의 목적은 해양바이오 분야에 지원된 정부 R&D의 지원동향 분석을 기초로 향후 이 분야 정부연구개발 사업에 필요한 함의를 도출하는 데 있다. 이 연구에서는 NTIS DB를 통해 식별한 3,030건의 세부과제를 대상으로 기술통계와 과제명을 기초로 한 주제어 간 연결 관계를 SNA(Social Network Analysis) 방법을 이용해 실증분석 하였다. 이 연구에서 수행한 실증분석 결과를 간략하게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기술통계 분석 결과 최근으로 올수록 해양바이오 분야에 지원된 정부지원 연구개발 사업은 사업수와 연구비 지원규모 면에서 지속적인 성장을 보이고 있다. 둘째, 분야 특성상 이 분야에 대한 R&D 지원은 해수부가 주도적이지만, 대체로 범부처적 성격을 갖는다. 셋째, SNA를 통한 실증분석 결과 대부분의 사업이 해양생명자원이 가진 특이기작으로부터 유용신소재를 확보하기 위한 목적을 갖고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 PDF

Policy Suggestions for Korean Research Equipment Industry According to the State of Construction of National Research Facility and Equipment by Country of Manufacture : Focusing on Basic and Analytical Science Field (제조국가별 국가연구시설장비 구축 현황에 따른 국산연구장비 산업 활성화 정책 제언: 기초·분석과학 분야 중심으로)

  • Kim, Chang-Yong;Chung, Taewon;Kong, Jaehyun;Seo, In-Su;Park, Chan-Soo
    •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 /
    • v.20 no.5
    • /
    • pp.322-333
    • /
    • 2019
  • The purpose of the current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level of market size and market share of domestic research equipments for analyzing the difference of the number and amount of construction by the manufacturing countries in the basic and analytical science fields based on the information of the research equipment invested by the Korean government for the past 14 years. As of January 1 2019, from 2005 to 2018, 20,687 research facilities & equipments (main equipment with a construction cost of 30 million won or more) built in the basic and analytical science fields were selected for this study and their components, standard classification, number of construction, and amount of construction by country of manufacture were analyzed. Differences of the number and amount of construction among manufacturing countries were tested using a single sample chi-square test and one-way analysis of variance, followed by Bonferroni's post-hoc test. As a result of this study, the number of construction (p<.001) and construction amount (p<.05) were statistically different for each manufacturing country. The level of market size and market share was significantly different according to the equipment standard classification (p<.05). Therefore, differentiated strategies of the government and policy research projects will be required for each type of equipment and amount in order to support the policy for the localization of research equipment.

A Study of the New and Renewable Energy Dissemination Subsidizing Program (신.재생에너지 보급보조사업 고찰)

  • Lee, You-Ah;Sinkim, Hwa-Young;Kim, Ji-Hyo;Heo, Eun-Nyeong
    • 한국신재생에너지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9.06a
    • /
    • pp.229-231
    • /
    • 2009
  • 신 재생 에너지 보급보조사업은 신 재생 에너지 설비에 대하여 설치비의 일정부분을 정부에서 무상보조 지원함으로써 국내 개발제품의 상용화를 촉진하고 초기 시장 창출 및 보급 활성화를 유도하는 사업이다. 기술연구개발 사업의 경우 성과분석의 중요성이 강조되어 왔지만 아직까지 국내 신 재생 에너지 보급지원제도에 대한 평가는 미흡한 실정이다. 효율적인 보급 정책 및 프로그램 수립을 위해서는 보급보조 사업의 성과 분석 및 개선방안 연구가 반드시 필요하다. 신 재생에너지 보급보조 사업의 성과분석 및 개선방안을 위한 기초연구로써 현재까지 수행 되었던 보급보조 사업의 개요 및 지원 현황을 살펴보았다. 현재 국내 보급보조 사업은 크게 일반보급사업, 시범보급사업, 계획보급사업으로 구분되어 진행되고 있다. 일반 보급사업의 경우 최대 60% 이내의 비용을 지원받을 수 있으며, 시범 보급 사업의 경우 최대 80% 이내의 설치비를 지원 받을 수 있다. 현재까지의 지원현황 고찰 결과 현실적인 시설별 지원 비율 차등의 시도가 필요함을 지적하였다. 본 연구 내용은 향후 보급보조사업의 제도적 개선점 검토 및 개선방안을 제안하는데 기초 자료로 사용 될 수 있을 것이다.

  • PDF

An analysis of the implementation plans for ensuring basic academic abilities in mathematics (수학 교과의 기초학력 보장과 관련된 시·도 교육청의 시행계획 분석)

  • Oh, MinYoung;You, EunJung;Pang, JeongSuk
    • Education of Primary School Mathematics
    • /
    • v.27 no.2
    • /
    • pp.173-185
    • /
    • 2024
  • Mathematics is a subject that is closely related to ensuring basic academic abilities. As the importance of basic academic abilities has emerged recently, various policies and programs have been implemented to ensure basic academic abilities in mathematics. In this study, we extracted the programs related to mathematics from the Implementation Plans of the Basic Academic Abilities Guarantee of 17 city and provincial education departments and analyzed the actual status of the programs. We divided the programs into diagnosis and support. Regarding diagnosis, we analyzed what types of diagnostic tools are used, who chooses diagnostic tools, who is diagnosed, and when students are diagnosed. Regarding support, we classified it as in-class, in-school, and out-of-school support, and further analyzed the type of the learning support program and the expertise of the instructor.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ed that there was room for improvement in the timing of diagnosis and diagnostic expertise. This study also found the problems with the lack of preventive programs, ensuring teacher expertise, and support for dyscalculia. This study is expected to contribute to the implementation of programs to ensure basic academic abilities in mathematics and to promote research on basic academic abilities in mathematics edu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