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n analysis of the implementation plans for ensuring basic academic abilities in mathematics

수학 교과의 기초학력 보장과 관련된 시·도 교육청의 시행계획 분석

  • Received : 2024.03.04
  • Accepted : 2024.04.04
  • Published : 2024.04.30

Abstract

Mathematics is a subject that is closely related to ensuring basic academic abilities. As the importance of basic academic abilities has emerged recently, various policies and programs have been implemented to ensure basic academic abilities in mathematics. In this study, we extracted the programs related to mathematics from the Implementation Plans of the Basic Academic Abilities Guarantee of 17 city and provincial education departments and analyzed the actual status of the programs. We divided the programs into diagnosis and support. Regarding diagnosis, we analyzed what types of diagnostic tools are used, who chooses diagnostic tools, who is diagnosed, and when students are diagnosed. Regarding support, we classified it as in-class, in-school, and out-of-school support, and further analyzed the type of the learning support program and the expertise of the instructor.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ed that there was room for improvement in the timing of diagnosis and diagnostic expertise. This study also found the problems with the lack of preventive programs, ensuring teacher expertise, and support for dyscalculia. This study is expected to contribute to the implementation of programs to ensure basic academic abilities in mathematics and to promote research on basic academic abilities in mathematics education.

수학은 기초학력 보장과 밀접한 관련이 있는 교과이다. 최근 기초학력의 중요성이 대두되면서 수학 교과의 기초학력을 보장하기 위한 각종 정책과 사업이 운영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17개 시·도 교육청의 기초학력 보장 시행계획 내용 중 수학 교과와 관련이 있는 내용을 추출하여 사업 실태를 분석하였다. 관련 사업들을 진단과 지원으로 구분하고 진단에 대해서는 진단 도구의 종류, 진단 도구를 선택하는 주체, 진단 대상, 진단 시기를 분석하였다. 학습 지원에 대해서는 교실 내 지원, 학교 내 지원, 학교 밖 지원으로 구분하여 분석하고, 추가로 학습 지원 사업의 성격과 지도 인력의 전문성을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진단의 측면에서는 진단 시기 조정, 진단 전문성 확보에 대한 이슈가 있었고, 지원의 측면에서는 예방 성격의 사업 부족, 지도 전문성 확보, 난산증 지원에 대한 이슈가 있었다. 본 연구는 수학 교과의 기초학력 보장을 위한 사업을 운영하거나 수학 교육에서 기초학력 관련 연구 활성화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Keywords

References

  1. 강원도교육청(2022). 2023 기초학력 보장 시행계획.
  2. 광주광역시교육청(2023). 2023학년도 초등 기초학력 보장 시행계획.
  3. 경기도교육청(2022). 2023 경기 기초학력 보장 시행계획.
  4. 경상남도교육청(2023). 2023 경상남도교육청 초등 기초학력 보장 시행계획.
  5. 경상북도교육청(2022). 2023 경상북도교육청 기초학력 보장 시행계획.
  6. 대구광역시교육청(2023). 2023년 대구 기초학력 보장 시행계획.
  7. 대전광역시교육청(2022). 2023년 기초학력 보장 시행 계획.
  8. 부산광역시학력개발원(2023). 2023학년도 기초학력 보장 시행 계획.
  9. 서울특별시교육청 (2023). 2023 서울 기초학력 보장 시행계획.
  10. 세종특별자치시교육청 (2022). 2023 기초학력 보장 시행계획.
  11. 울산광역시교육청(2022). 2023년 울산 기초학력 보장 시행계획.
  12. 인천광역시교육청(2022). 2023 기초학력 보장 시행계획.
  13. 전라남도교육청(2022). 2023 기초학력 보장 시행계획(안).
  14. 전라북도교육청(2022). 2023 전라북도 기초학력 보장 시행계획.
  15. 제주특별자치도교육청(2022). 2023학년도 기초학력 보장 시행계획.
  16. 충청남도교육청(2022). 2023 충남교육청 기초학력 보장 시행계획.
  17. 충청북도교육청(2023). 2023년 기초학력 보장 시행계획.
  18. 교육부(2019). 행복한 출발을 위한 기초학력 지원 내 실화 방안. 교육부 교육기회보장과.
  19. 교육부(2022). 제1차 기초학력 보장 종합계획(2023~2027). 교육부 교육기회보장과.
  20. 교육부(2023). 모든 학생의 성장을 지원하는 공교육 경쟁력 제고방안. 교육부 책임교육정책실.
  21. 김주향(2022). 교육부와 시z도 교육청 '기초학력보장 관련 시행계획' 비교.분석. 서울교육대학교 교육전문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2. 김태은, 권서경, 박준홍, 이민희, 조윤동, 이광호(2020) 초.중학교 학습부진학생의 성장 과정에 대한 연구(IV)(RRI 2020-5). 한국교육과정평가원.
  23. 김태은, 양정실, 노원경, 이승미, 오택근, 이화진, 남궁현(2019). 4차 산업혁명시대에 요구되는 광의의 기초학력 개념 정립 연구(CRI 2019-7). 한국교육과정평가원.
  24. 김홍겸(2020). 수학학습부진아 지도방법에 따른 학업성취도 향상에 대한 메타연구. 학교수학, 59(1), 31-45.
  25. 김희정, 조형미, 고은성, 이동환, 조진우, 최지선, 한채린, 황지현(2022). 초등학교 수학 학습 어려움 진단을 위한 평가 문항 개발 및 적용 연구. 한국학교수학회논문집, 25(3), 261-278. https://doi.org/10.30807/KSMS.2022.25.3.003
  26. 민윤경(2022). 기초학력 지도 현황 및 교원 전문성 강화 방안 분석.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2(1), 569-590.
  27. 박선화, 오택근, 이경남, 이명애, 이영태, 박찬호(2022). 기초학력 보장을 위한 문해력, 수리력 진단도구 개발(III): 진단도구 개발 및 타당성 검토(RRI 2022-7). 한국교육과정평가원.
  28. 박혜연, 손복근, 고호경(2022). 수학 교수.학습을 위한 인공지능 플랫폼 분석 연구. 수학교육논문집, 36(1), 1-21.
  29. 백혜조(2022). 우리나라 기초학력보장정책에 대한 비판적 고찰.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2(17), 397-415.
  30. 서관석(2018). 초등 난산증 이해와 효과적인 지도방안에 관한 연구. 초등교육연구, 29(2), 245-258.
  31. 성지현(2023). 개인 맞춤형 수학 학습을 위한 인공지능 교육시스템의 기능과 적용 사례 분석. 수학교육, 62(3), 303-326.
  32. 신동조(2022). 인공지능 활용을 통한 수학교사 전문성 신장 방안 모색. 수학교육철학연구, 4(1), 33-50. https://doi.org/10.23027/JPME.2022.4.1.3
  33. 신하영, 박소영(2023). 기초학력 향상 지원 정책의 가능성과 한계: 제1차 기초학력보장 종합계획을 중심으로. 교육정치학연구, 30(1), 1-30.
  34. 유한익, 허한나, 홍인화, 김중훈, 김희정, 조성진, 양수진, 정재석(2018). 국내 제주지역 초등학생 읽기 및 수학 학습장해 유병률 연구. 신경정신의학, 57(4), 332-338.
  35. 이대현(2023). 수학교육에서 기초학력 의미와 역사 및 교수 방안 탐색. 한국수학사학회지, 36(5), 81-102.
  36. 임영재, 김수현, 박정아(2021). 초등교사의 기초학력부진아 지도실태분석을 통한 학력 신장 지원 방안.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1(6), 581-595.
  37. 조미경(2023). 빈도 분석 및 토픽모델링을 활용한 수학 교과에서 기초학력 관련 연구 동향 분석. 수학교육논문집, 37(4), 615-633.
  38. 조민지(2020). 수학 학습부진아의 학습부진 요인 분석에 따른 개인별 지도 사례 연구. 서울교육대학교 교육전문대학원 석사학위논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