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기초생산력

검색결과 77건 처리시간 0.024초

여름철 한국 동해 극전선해역에서의 식물플랑크톤의 군집구조와 분포 (Community Structure and Spatial Distribution of Phytoplankton in the Polar Front Region off the East Coast of Korea in Summer)

  • 박주석;강창근;안경호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24권4호
    • /
    • pp.237-247
    • /
    • 1991
  • 여름철 한국 동해 중부 극전선과 주변해역에서 식물플랑크톤의 군집구조와 분포를 밝히기 위하여 1990년 여름철에 수온, 염분, 영양염과 기초생산력 및 식물플랑크톤의 현존량에 대해서 조사하였다. 총 96종의 식물플랑크톤이 동정되었으며 그중 Rhizosolenia setigera와 Thalassionema nitzschioides 2종이 우점종으로 나타났다. 조사해역의 북부연안수역에서는 표충과 chlorophyll a가 최대로 나타난 50m충의 군집이 아주 다르고 남부와 외해역에서는 유사했다. 주요인분석의 결과 북부연안 표층수역을 대표하는 식물플랑크톤 군집은 연안난수성 와편모조류였고 북한한류수역은 냉수성 규조류로 그리고 남부와 외해수역은 난수성 규조류였다. 또한 전선구역에서는 냉$\cdot$ 온수성 규조류가 혼합하여 나타났고 기초생산력과 식물플랑크톤의 현존량 역시 전선구역에서 월등히 높았다. 영양염의 농도는 북한한류수역에서 현저히 높았는데 그 이류는 영양염의 공급과 함께 전선면에서의 식물플랑크톤 peak에 크게 기여하는 것으로 사료된다.

  • PDF

대통령과 과학기술

  • 한국과학기술단체총연합회
    • 과학과기술
    • /
    • 제35권8호통권399호
    • /
    • pp.43-66
    • /
    • 2002
  • [통치자의 과학기술 리더십] 정책조정자형 과학기술 리더십 전환시급, 체계적 보좌기초 목표달성체제 구축해야/ [국내 역대대통령의 과학기술 정책] 박정희대통령 과학기술 초석놓고 전두환 이어 김대중대통령 변화기 진입/[외국 역대대통치자의 과학기술 정책/미국] 역대 대통령 '과학기술은 국력' 인식, 레이건은 '스타워즈'로 소련붕괴 불러와/[외국 역대대통치자의 과학기술 정책/일본] 역대 총리 6명이 과학기술청 장관 출신, '나카소네수상' 원자력 선진국 기틀 마련/[외국 역대대통치자의 과학기술 정책/중국]'모택동' 국방기술 개발에 총력 핵탄 완성, '등소평' 과학기술은 제일의 생산력 강조/[외국 역대대통치자의 과학기술 정책/영ㆍ독ㆍ불ㆍ러]프랑스 - 과학기술 선진국 나폴레옹과 드골 초석, 러시아 - 레닌 이후 모든 통치자 科技 위해 정책 펴

  • PDF

목초지, 굼벵이 피해 크다

  • 김석환
    • 농약과 식물보호
    • /
    • 제11권1호통권94호
    • /
    • pp.88-95
    • /
    • 1990
  • 축산업에서 성패를 좌우하는 요인으로 빼놓을 수 없는 것 중의 하나는 가축의 먹이 공급원인 목초를 얼마만큼 잘 안정되게 생산해낼 수 있느냐 하는 것이다. 목초의 생산에는 지력과 작물자체의 생산력 뿐만 아니라 생산에 장애를 일으키는 병해충을 정확히 파악하여 그들에 의한 피해를 감소시키는 것도 매우 중요한 일이다. 목초의 해충은 발아당시의 해충, 줄기와 잎을 가해하는 해충, 토양해충, 채종시의 해충 등으로 구분할 수 있다. 우리나라에서는 목초의 잎과 줄기를 가해하는 멸강나방과 땅속에서 목초의 뿌리를 갉아먹어 피해를 주는 굼벵이(풍뎅이의 유충)가 주요 해충으로 알려져 있다. 멸강나방에 대해서는 이미 많은 연구결과가 발표되었으나 굼벵이에 대해서는 극히 미약한 연구만이 수행되어 이 해충에 대하여는 참고자료가 전무한 상태이다. 따라서 필자는 그동안의 연구결과 중 일부를 정리발표하여 굼벵이의 생태 및 방제연구에 기초자료를 제공함은 물론 축산농가에 도움을 주고자 한다.

  • PDF

해역 기초생산력 증대를 위한 부유식 인공용승시스템 요소기술 (Key Technologies for Floating Type Artificial Upwelling System to Strengthen Primary Production)

  • 정동호;이호생;김현주;문덕수;이승원
    • 한국해양공학회지
    • /
    • 제26권1호
    • /
    • pp.78-83
    • /
    • 2012
  • The abundant nutrients contained in deep seawater are delivered by natural upwellings from the deep sea to the surface sea. However, the natural upwelling phenomenon is limited to specific areas of the sea; in other areas, the thermocline separates the surface sea from the lower layer. Thus, the surface layer is often deficient in nutritive salts, causing the deterioration of its primary productivity and ultimately leading to an imbalance in the marine ecosystem. Without a consistent supply of nitrogenous nutritive salts, they are absorbed by phytoplankton, resulting in a considerable problem in primary productivity. To solve this issue, a floating type of artificial upwelling system is suggested to artificially pump up, distribute, and diffuse deep seawater containing rich nutritive salts. The key technologies for developing such a floating artificial upwelling system are a floating offshore structure with a large diameter riser, self-supplying energy system, density current generating system, method for estimating the emission and absorption of CO2, and way to evaluate the primary production variation. Strengthening the primary production of the sea by supplying deep seawater to the sea surface will result in a sea environment with abundant fishery resources.

수질정화용 인공습지 개방수역에서 유입수질에 따른 식물플랑크톤의 광합성특성 및 유기물생산력 (Photosynthetic Characteristics and Primary Production by Phytoplankton with Different Water Quality of Influent in Open Waters of Constructed Wetlands for Water Treatment)

  • 최광순;황길순;김동섭;김세원;김호준;조성주;박제철
    • 생태와환경
    • /
    • 제40권1호
    • /
    • pp.61-71
    • /
    • 2007
  • 본 연구는 국내 최대의 수질정화용 인공습지인 시화호 인공습지의 개방수역(open water)에서 식물플랑크톤에 의한 광합성특성 및 유기물생산력을 조사 평가하여 효율적인 습지관리를 위해 open water관리방안의 기초자료를 제공하기 위함이다. 식물플랑크톤의 광합성특성 및 1차 생산력은 유입수의 수질특성과 체류시간이 다른 반월천습지와 동화천습지의 open water에서 조사되었다. 조사기간 동안 시화호 인공습지내 5개 open water에서 식물플랑크톤에 의한 1차 생산력은 $481{\sim}11,275mgC\;m^{-2}\;day^{-1}$의 범위로 연중 부영양화 수준을 보였고 계절과 지점에 따라 변동이 컸다. 시화호 인공습지에서 식물플랑크톤의 P-I curve 모델계수를 통한 광합성특성은 두 습지로 유입되는 유입수의 상반되는 수질특성(인과 질소 농도)에 크게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최대광합성속도 (Pmax)는 $42{\times}1,014 mgC\;m^{-3}\;hr^{-1}$로 chi. ${\alpha}$ 농도와 양의 상관(R=0.47)을 보였다. 식물플랑크톤의 광합성효율을 나타내는 동화계수(AN)두 습지 모두 고습지와 저습지의 AN값의 차이를 보이지 않았지만 동화천습지의 AN값이 평균 8.5gC $gChl^{-1}\;hr^{-1}$로 반월천습지의 평균 5.8gC $gChl^{-1}\;hr^{-1}$보다 높은 값을 보여 인 농도가 높은 동화천습지에서 식물플랑크톤의 광합성효율이 큰 것으로 나타났다. 두 하천의 수질특성으로부터 식물플랑크톤의 광합성효율은 질소보다 인 농도 그리고 작은 TN/TP와 관련이 있는 것으로 사료된다. 낮은 광도에 대한 광합성능력을 나타내는 초기기울기와 동화계수 사이에는 높은 양의 상관(R=0.81)을 보인 것으로 보아, 낮은 광조건에서 광합성능력이 큰 식물플랑크톤이 광합성효율도 큰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 시화호 인공습지의 open water에서 식물플랑크톤에 의한 유기물생산이 매우 높은 것으로 보아 식물플랑크톤이 습지의 수질 및 수처리효율에 영향을 미칠 것을 판단된다. 습지의 수처리효율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체류시간을 짧게 해주거나 open water의 면적을 줄여 식물플랑크톤의 증식을 억제하거나 또는 증식한 식물플랑크톤이 습지외부로 유출되지 않도록 하는 관리방안이 필요할 것으로 본다.

다모작(多毛作)을 위한 답토양(畓土壤) 적성등급(適性等級) 구분(區分) -제(第) 1 보(報) : 기초시험(基礎試驗) (Suitability Grouping System of Paddy Soils for Multiple Cropping -Part I: Basic Experiments)

  • 정연태;박은호;노영팔;엄기태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19권3호
    • /
    • pp.211-216
    • /
    • 1986
  • 농경지토양(農耕地土壤)에 대한 정밀토양조사(精密土壤調査) 결과(結果)를 활용(活用)하여 남부지방(南部地方)에서 성행(盛行)하고 있는 논토양(土壤) 다모작(多毛作) 이용(利用)을 위한 적성등급(適性等級) 구분기준(區分基準)을 확립(確立)코자 2개년간(個年間) 토양별(土壤別) 기초시험(基礎試驗)을 실시(實施)한 결과(結果)는 다음과 같다. 1. 토양별(土壤別) 심토(心土)를 채취(採取)하여 벼앞그루 작물(作物)과 벼를 무비조건(無肥條件)으로 2모작(毛作)한 잠재생산력은 "배수약간양호(排水若干良好)" 한 미사식양질토양(微砂埴壤質土壤)에서 가장 높았고 "배수불량(排水不良)"한 사질토양(砂質土壤)에서 가장 낮았으며 토양별(土壤別) 생산력비교가 용이(容易)하였다. 2. 유기물분해력(有機物分解力)도 "배수약간양호(排水若干良好)" 한 토양(土壤)이 "배수약간불량(排水若干不良)" 한 토양(土壤)보다 높았고 사양질토양(砂壤質土壤)은 밭상태(狀態) 및 담수초기(湛水初期)의 저온시(低溫時)에 분해력(分解力)이 높은 반면에 담수후기(湛水後期)에는 식양질토양(埴壤質土壤)이 높았다. 3. 강우후(降雨後) 경운가능상태(耕耘可能狀態) 도달일수(到達日數)는 식양질계토양(埴壤質系土壤)이 식질계토양(埴質系土壤) 보다 5일정도(日程度) 빨랐고 경운가능기간(耕耘可能期間)은 "배수약간양호(排水若干良好)" 한 토양(土壤)의 식질(埴質)에서 가장 긴 반면(反面)에 식양질(埴壤質)은 가장 짧았으며 "배수약간불량(排水若干不良)" 한 토양(土壤)은 토성간(土性間) 차이(差異)가 경미(輕微)하였다. 4. 지하수위(地下水位)가 낮을 수록 생산력지수는 높았고 "배수약간양호(排水若干良好)"한 토양(土壤)은 지하수위(地下水位)의 변이(變異)가 중립질토성(中粒質土性)에서 낮았고 조립질(組粒質) 및 세립질(細粒質)은 높았으나 "배수불량(排水不良)" 답(畓)은 그 반대(反對)이었다.

  • PDF

지리정보시스템을 이용한 농촌 지역의 토지 적합성 분석 (Analysis of Land Suitability for Rural Area Using the Geographical Information System)

  • 이신호;최진용;김한중
    • 대한공간정보학회지
    • /
    • 제1권1호
    • /
    • pp.153-158
    • /
    • 1993
  • 농촌 지역의 토지를 계획 관리하는 새로운 방안의 하나로서 토양의 잠재 생산력과 주거를 고려하여 대상지구(경기도 안성군 죽산면)의 토지 이용 방향을 분석하였다. 지리정보시스템(소프트웨어 ARC/INFO)을 이용하여 토지이용계획의 분석과정을 객관화하고, 논과 밭, 주거지에 대한 토지의 적합성을 분석하여 5등급으로 분류하여 제시하였다. 그리고, 토지 용도의 적합성 구분은 농촌 지역의 개발계획을 수립하는 기초 자료로 활용할 수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 PDF

한반도 근해의 해류와 해수특성 1. 여름철 한국 남해 표층수중 클로로필과 영양염의 농도분포에 영향을 주는 물리적 과정 (A Study on Sea Water and Ocean Current in the Sea Adjacent to Korea Peninsula 1. Physical Processes Influencing the Surface Distributions of Chlorophyll and Nutrient in the Southern Sea of Korea in Summer)

  • 양한섭;김성수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23권6호
    • /
    • pp.417-424
    • /
    • 1990
  • 여름철 한국남해 표층수중 영양염류 및 클로로필의 수평분포와 그 분포에 영향을 주는 물리적과정에 대하여 연구했다. 그 결과, 제주도를 중심으로 북서쪽해역이 남동쪽해역보다 영양염류 및 클로로필의 농도가 높았다. 영양염류 농도로 볼 때 북서쪽 해역은 다시 $2\~3$개의 소구역으로 나눌 수 있다. 그중 $34^{\circ}N$ 이북해역에서는 강한 수온전선이 형성되어 있고, 영양염류 및 클로로필의 농도가 상당히 높았으며, 이는 강한 수직혼합에 의한 것으로 판단된다. 또한 제주도 서쪽해역은 중국대륙치안수의 확장에 의해 표층수중 영양염류가 비교적 풍부하나 클로로필의 농도는 그다지 높지 않았다. 그러나 제주도 주변 연안해역에서는 클로필의 농도가 상당히 높은데, 이는 연안용승작용에 의해 기초생산력이 높아지기 때문이라 생각된다. 여름철 본 조사해역의 표층수중 용존영양염류 및 클로로필의 수평농도분포는 생물화학적 과정보다는 주로 지리적 차이에 따른 수직혼합 혹은 성질의 다른 수괴의 수평확산에 의해 좌우된다.

  • PDF

가을철 영일만해수중의 식물성플랭크톤 색소량과 그 분포 (Distribution Of Phytoplankton Pigments In Yeongil Bay Water Of Korea, Late October)

  • 곽희상;이경노
    • 한국해양학회지
    • /
    • 제12권2호
    • /
    • pp.57-66
    • /
    • 1977
  • 무기물에서 유기물을 생산하는 곳으로서 뿐만 아니라 인류의 마지막 식량공급처로서의 해양에 대한 기초생산의 중요성이 날로 높아져 국제인도양조사때나 Kuroshio해역조사때 생산력이 측정되었고 북서태평양(Sorokin and Koblentz-Miskke; 1958, Ichimura and Saijo; 1959, Saijo and Ichimura; 1960, Aruga and Monsi; 1962, 천촌;1963), 인도네시아 주변해역(Doty et al;1963)등에서도 기초생산이 측정된 바 있다. 일본의 주요 9개만에서는 월별측정(송평 등;1964)이 되었다. 우리 나라 연안에서는 최와 정(1966)이 $C^{14}$를 이용하여 광합성량을 측청하였고 Kang(1967) 은 수영만에서 계절별로 산소소모에 의한 광합성량을 측정했다.다.

  • PDF

가막만의 환경용량 산정 ( II ) -굴양식장 환경용량 산정- (Estimation of Carrying Capacity in Kamak Bay ( II ) - Estimation of carrying capacity of oyster culture ground -)

  • 조은일;박청길;이석모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29권5호
    • /
    • pp.709-715
    • /
    • 1996
  • 가막만의 굴양식장 환경용량을 산정하기 위해 생태계 모델을 이용하여 월별 기초생산력을 산정하고 년간 식물플랑크톤의 생산량을 구하여 얼굴로서의 전환계수를 사용하여 굴의 최대 생산 가능량 즉 환경용량을 산정 하였다. 1994년 6월부터 1995년 3월까지 굴양식기간 동안의 가막만 전체에서의 식물플랑크톤 생산량은 181,594 tonC이였고 최대 알굴 생산가능량은 287,033 ton이었고 단위용적당 생산가능량은 $0.29kg/m^3/year$였다. 가막만내에서 굴양식시설이 되어 있는 공간에서의 년간 최대 알굴생산 가능량은 15,443 ton이고 1994년도 실제 알굴생산량은 4,532 ton이므로 굴양식장 환경용량의 약 $29\%$에 해당되었고 1987년도 생산량은 14,592 ton이므로 환경용량의 $95\%$에 해당되었다. 따라서 다른 굴양식장 관리조건만 허용된다면 가막만에는 굴양식시설대수를 증가시키면 생산량이 더 증가할 수 있는 해역으로 평가되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