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기초매스콘크리트

검색결과 59건 처리시간 0.025초

파이프 쿨링을 이용한 도심 교량 기초 매스 콘크리트의 수화열 제어에 관한 연구 (Study on Thermal Crack Control Using Pipe-Cooling in Massive Concrete Foundation of Urban Bridge)

  • 이주호;배한욱;우승민;우종일;하봉태;김지상
    • 한국콘크리트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콘크리트학회 2002년도 봄 학술발표회 논문집
    • /
    • pp.41-46
    • /
    • 2002
  • Recently, the design and construction of massive concrete structures are increased, But, the temperature rise within a large concrete mass makes the construction of massive concrete structures be very difficult. Therefore, various techniques of the thermal stress control of the mass concrete have been widely used. One of them is pipe-cooling which reduces the temperature of concrete with flowing water. It was shown to be possible to construct the massive concrete foundation of urban bridge successfully by application of pipe-cooling system with steel pipe and water circulation. It was also found to expected to make it possible to reduce the probability of thermal crack development in a massive concrete foundation of urban bridge by pipe-cooling system.

  • PDF

개선된 미소면 모델을 적용한 매스콘크리트 기초슬래브의 초기균열거동 해석 (Early Age Cracking Analysis of Massive Concrete Base Slab with Enhanced Microplane Model)

  • 이윤;김진근;우상균;송영철;이성태
    • 한국콘크리트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콘크리트학회 2006년도 춘계학술발표회 논문집(I)
    • /
    • pp.458-461
    • /
    • 2006
  • Early age cracking of concrete is a widespread and complicated problem, and diverse applications in practical engineering have focused on this issue. Since massive concrete base slab composes the infrastructure of other concrete structures such as pier, concrete dam, and high rise buildings, early age cracking of that is considered as a crucial problem. In this study, finite element analysis (FEA) implemented with the age-dependent microplane model was performed. For a massive concrete base slab, cracking initiation and propagation, and deformation variation were investigated with concrete age. In massive concrete slab, autogenous shrinkage increases the risk of early age cracking and it reduces reinforcement effect on control of early age cracking. Gradual crack occurrence is experienced from exterior surface towards interior of the slab in case of combined hydration heat and autogenous shrinkage. FEA implemented with enhanced microplane model successfully simulates the typical cracking patterns due to edge restraint in concrete base slab.

  • PDF

기계기초 매스콘크리트의 균열제어를 위한 온도관리 (A Temperature Management of Mass Concrete for Crack Control in Machine Foundation)

  • 허택녕;이제방;손영현
    • 한국콘크리트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콘크리트학회 1996년도 봄 학술발표회 논문집
    • /
    • pp.394-401
    • /
    • 1996
  • This paper persents the crack control of mass concrete in massive machine foundation. The dimension of the machine foundation is 52.6m$\times$14.4m$\times$8.5m. The one distinctive characteristic of mass concrete is thermal behavior. Since the cement-water reaction is exothermic by nature, the temperature rises inside the massive concrete structure. When the heat is not quickly dissipated, it can be quite high. Significant tensile stresses may develop from the volume change associated with the increase of decrease of temperature within the mass concrete structure. To avoid occurrence of harmful cracks due to hydration heat, special attention shall be given to the construction of mass cnocrete structures. The temperature control system of mass concrete is proposed in this paper. This system contains a discussion of materials and concrete mix proportioning, thermal analysis, curing method, temperature control, and measurement of hydration heat. As will be seen throughout the paper, the proposed temperature control system have a great effect on the temperature-related cracks on mass concrete structures.

  • PDF

저발열 콘크리트와 Mesh형 거푸집을 이용한 교각기초의 수화열 저감 방안 연구 (Hydration Heat Control of Marine Pier Foundation using Low-Heat Cement and Mesh Form)

  • 조용연;이원준;원종화;김태민;김문겸
    • 한국전산구조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전산구조공학회 2009년도 정기 학술대회
    • /
    • pp.315-318
    • /
    • 2009
  • 본 논문에서는 해상 기초 교각 매스 콘크리트의 수화열 저감 방안을 다루었다. 저발열 콘크리트, Mesh형 거푸집 공법 등에 대한 실험을 수행하여 각각의 수화열 저감효과를 평가하였다. 현장 실험은 사용 시멘트와 거푸집의 종류, 거푸집의 사용 면수에 따라 총 4 type으로 구성하였으며, 이에 대한 실험 결과와 유한 요소 해석 결과를 비교, 검증하여 최종적인 수화열 저감 성능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실험을 통해, 저발열 시멘트와 유로폼을 사용하는 것이 수화열 저감을 위해 효과적인 방법으로 판명되었으나 추가 공사비의 발생으로 효율성이 떨어질 것으로 판단된다. 또한 Mesh형 거푸집 적용 면 수와 온도 상승 저감 효과는 비례하는 것을 알 수 있었지만 내 외부 온도차가 다소 크게 나타나 수화열에 의한 균열 발생 확률면에서는 다소 불리하게 나타났다. 그러나 실험 단계에서 생략된 양생과 관리를 통하여 균열의 저감효과를 거둘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되며, 추가적으로 거푸집 해체 단계를 생략함으로 공기단축 측면에서 유리할 것으로 판단된다.

  • PDF

바텀애시를 이용한 저발열 혼합시멘트 및 콘크리트의 기초물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Basic Properties of Concrete and Low Heat-Blended Cement with Bottom Ash)

  • 김원기;김훈상;김홍주;이원준;신진호
    • 한국콘크리트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콘크리트학회 2008년도 춘계 학술발표회 제20권1호
    • /
    • pp.685-688
    • /
    • 2008
  • 최근 들어 석탄회의 재활용에 관한 연구는 환경문제와 관련되어 활발히 진행되어 왔으며 미국, 일본과 같은 선진국에서는 이미 석탄회를 각종 산업분야에 적용함으로써 환경오염 저감 및 경제적 이익 측면에서 상당한 성과를 이루고 있다. 이에 국내에서도 지속적인 연구개발을 통해 시멘트 및 레미콘분야 등에서 시멘트 클링커 원료나 콘크리트 혼합재로 석탄회를 사용함으로써 2005년도 기준 전체 석탄회 발생량 중 약 58.5%정도를 재활용하고 있다. 그러나, 이는 석탄회 중 플라이애시(Fly Ash)에 한정된 것으로, 전체 석탄회 발생량 중 10$^{\sim}$20%에 달하는 바텀애시(Bottom Ash)에 대한 재활용은 극히 미미한 실정이며, 현대 대부분 매립처분되어 심각한 환경오염을 야기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국가적인 사회간접자본의 투자가 증대됨에 따라 초고강도콘크리트 및 매스콘크리트와 같은 특수콘크리트에 수요가 증대되고 있는 저발열 혼합시멘트(Low Heat-Blended Cement)의 혼합재로써 바텀애시의 사용 가능성 여부를 검토하고자 바텀애시의 첨가량 변화에 따른 저발열 혼합시멘트 및 콘크리트의 기초물성 변화를 비교검토 하였다.

  • PDF

원전콘크리트의 결합재 조성성분을 고려한 단열온도상승값 예측 모델 개발 (Modeling of the Adiabatic Temperature Rise of Concrete for Nuclear Power Plants With the Consideration of Binder Components)

  • 정상화;채성태;김도겸;문재흠
    • 한국전산구조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전산구조공학회 2010년도 정기 학술대회
    • /
    • pp.758-761
    • /
    • 2010
  • 본 연구에서는 원전격납구조물과 같이 고품질의 대형 매스콘크리트의 설계, 시공, 품질예측 및 관리에 필요한 구조물 건전성 평가시스템 구축의 일환으로 수화열 예측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개발된 수화열 예측 프로그램은 국내에서 생산된 시멘트 및 결합재의 화학조성성분, 분말도와 같은 기초정보 및 배합정보를 입력하여 경시변화에 따른 수화발열량을 계산하는 방식으로서 기존의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개발되었다. 개발된 프로그램은 배합환경조건을 고려하여 초기배합온도 3종류(10, 20, $30^{\circ}C$)로 실험한 단열온도상승 실험 결과와 비교해 보았으며, 좋은 상관성을 나타냄을 확인할 수 있었다.

  • PDF

혼합형 저발열 시멘트를 사용한 콘크리트의 초유동성 및 내해수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Resistance to Sea Water and High Flowing Properties of Concrete Using Blended Low Heat Cement)

  • 송용순;노재호;강석화
    • 콘크리트학회지
    • /
    • 제10권6호
    • /
    • pp.281-289
    • /
    • 1998
  • 본 연구는 해양 매스 콘크리트 구조물인 서해대교 사장교 주탑기초(L${\times}$D${\times}$H : 66${\times}$28${\times}$32~38.2)에 콘크리트 타설시 다짐작업을 생략할 수 있고, 수화열에 의한 온도균열 발생을 제어할 수 있는 콘크리트의 사용에 대하여 적극적으로 검토한 것으로서 혼합형 저발열 시멘트를 사용한 초유동 콘크리트와 현장에서 사용중인 5종 시멘트를 사용한 25-240-15 보통 콘크리트를 주탑 기초 일부분에 적용하여 유동성, 강도발현 성능, 재료분리 저항성, 수화열, 내해수성 등을 비교 평가한 것이다. 그 결과, 저발열시멘트를 사용한 초유동 콘크리트는 별도의 다짐 작업없이도 우수한 작업성과 자기 충전성, 재료분리 저항성을 나타냈으며, 5종시멘트를 사용한 25-240-15보통 콘크리트보다 단위시멘트량이 54kg/$m^2$ 정도 증가했음에도 불구하고 오히려 수화열은 $10^{\circ}C$이상 저감되어 온도균열 제어에 매우 효과적임을 확인할 수 잇었다. 또한 부재에서 채취한 코아의 압축강도는 5종시멘트를 사용한 25-240-15 보통 콘크리트와 동등한 강도 발현율을 나타내었다. 특히 해수중 염소이온의 침투에 대한 저항성을 평가하기 위해 실시한 촉진 염소이온침투 시험결과 통과전하량이 5종 보통 콘크리트보다 5배정도 낮게 나타났으며, 기타 화학물질에 대한 저항성은 비슷한 경향을 보였다. 따라서 저발열 시멘트를 사용한 초유동 콘크리트는 유동성개선에 의한 다짐 작업의 생략 효과와 더불어 수화열 저감 효과에 따른 온도균열제어 및 공기단축 등으로 주탑기초의 콘크리트에 매우 유리한 시멘트라고 판단되었다.

광물질 결합재 및 조강형 재료 조합에 따른 조강형 저발열 콘크리트의 기초적 특성 (Fundamental characteristics of high early strength low heat concrete according to mineral binder and high early strength material combination)

  • 김경민;손호정
    • 한국결정성장학회지
    • /
    • 제24권1호
    • /
    • pp.27-32
    • /
    • 2014
  • 본 연구에서는 매스콘크리트의 수화열 저감 및 초기강도 향상을 목적으로 3성분계 배합에 따른 콘크리트의 기초적 특성을 분석하였는데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굳지 않은 콘크리트의 물성은 목표범위를 모두 만족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응결시간은 W/B와 관계없이 저열 시멘트 배합이 가장 빠른 것으로 나타났고, 간이 수화열은 저열 배합의 피크 온도가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고, 저발열-B 배합이 가장 낮은 온도를 나타내었으며, 조강형 저발열 배합은 저발열-B와 유사한 것으로 나타났다. 경화 콘크리트의 압축강도는 초기재령에서 저발열-B 배합을 제외한 모든 배합이 유사한 강도 범위를 나타내었고, 장기 재령에서는 큰 차이 없이 유사한 강도 범위를 나타내었다.

열병합 발전소 바닥재를 콘크리트용 잔골재로 활용하기 위한 기초 물성 및 안정성 평가 (Evaluation of Properties and Stability to use Floor Materials for Cogeneration Power Plant as Fine Aggregates for Concrete)

  • 강석표;홍성욱
    • 한국건설순환자원학회논문집
    • /
    • 제10권3호
    • /
    • pp.321-326
    • /
    • 2022
  • 이 연구는 바이오매스를 원료로 사용하여 에너지화하는 열병합 발전소가 최근 전 세계적으로 많은 관심을 받고 있고 국내에서도 점차 증가하고 있는 추세에 있으며 이로 인하여 발생하고 있는 바닥재를 콘크리트용 잔골재로서 활용하기 위한 가능성을 확인하기 위하여 기초 물성 및 안정성 평가 실험을 수행하였다. 표준사 28일 기준 압축강도와 비교하여 목재칩 골재는 111 %, 표준사 56일 기준 길이변화율과 비교하여 목재칩 골재는 89 %, 폐기물공정시험 결과 폐기물관리법 시행규칙에 따른 유해물질의 기준 미만을 모두 충족하여, 열병합발전소로 인하여 발생하는 바닥재를 콘크리트용 잔골재로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