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기초디자인교육

Search Result 243, Processing Time 0.023 seconds

품질경쟁력 평가모형에서 제품 디자인의 인과관계와 디자인 경영에 관한 실증적 분석 : 한국 제조업 부문을 중심으로

  • 임채숙;임양택
    • Proceedings of the Technology Innovation Conference
    • /
    • 2004.06a
    • /
    • pp.170-213
    • /
    • 2004
  • 생산자 중심에서 소비자 중심으로의 경영 패러다임이 변화함에 따라, 이제 디자인 경영(design management)의 시대가 도래하였다 즉, 제반 기능의 활동이 독립적이고 순차적으로 이루어지는 기존 경영방식(즉, 제품 개발 $\rightarrow$ 제품 디자인 $\rightarrow$ 제조 $\rightarrow$ 마케팅 $\rightarrow$ 판매)과는 달리, 디자인 경영은 디자인을 중심으로 제반 기능간의 통합과 조정을 이룬다. 이 결과, 디자인 경영은 조직간의 커뮤니케이션을 활성화시키며 소비자의 추상적인 욕구가 구체적으로 상품에 표현되도록 노력한다. 이렇게 함으로써, 디자인 경영은 기업 이미지 창조의 역할을 적극적으로 수행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소비자 중심의 경영은 과거 제품의 판매(sales)지향적이던 기업 활동을 소비자와의 관계(relationship)지향적으로 변화시키고 있다. 본 연구의 분석 목적은 제품 디자인을 품질경쟁력의 결정요인으로서 포함시켜 품질경쟁력의 평가모형을 개발하고 품질경쟁력의 결정요인 및 상관관계와 품질함수를 추정함으로써 제품 디자인 및 디자인 경영의 기능적 역할을 규명하고 디자인 경쟁력 수준을 평가 및 측정할 수 있는 모형을 정립함과 동시에 이를 제고할 수 있는 정책방향을 제시하는 것이다. 이로써, 본 연구는 신상품의 개발과정에서 어떻게 제품 디자인이 연구개발, 제조, 마아케팅, 판매 등의 제반 기능들과 상호 작용하며 이들 기능들의 통합과 조정을 추구할 수 있는가를 보여주는 디자인 경영의 이론적 기초를 제공하고자 함이다. 상기와 같은 연구목적과 분석목표를 위하여, 한국 제조업 부문의 400개 표본기업에 대하여 소정의 설문조사를 통하여 추출된 측정변수들을 기초로 품질경쟁력의 결정요인을 분석하고 품질경쟁력 지수를 도출하여 산업부문별 및 제품유형별로 비교하였으며, 품질함수를 추정하였다. 전술한 분석결과를 토대로, 디자인 경영이론의 기초를 제공하기 위한 시도로서 제품 디자인의 파급효과와 인과관계에 대한 가설검정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이 요약될 수 있다. (1) 품질경쟁력의 결정요인으로서 주요 제품들의 기능성, 기본 성능, 제품성과의 기술적 성취도, 제품 수명(내구성), 신뢰성, 핵심 기술력, 사용 편의성, 서비스 편의성, 생산 용이성, 제품 디자인의 우수한 정도가 a=0.01 수준 하에서 유의적으로 추정되었다. 이들 변수들 중에서 품질경쟁력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측정변수는 제품의 기본 성능, 수명(내구성), 신뢰성, 제품 디자인의 순서로 추정되었다. 이것은 한국 제조업이 아직 산업 디자인이 품질경쟁력에 크게 영향을 미치는 성숙단계에 이르지 못하였음을 의미한다. (2) 제품 디자인에게 영향을 끼치는 유의적인 변수는 연구개발력, 연구개발투자 수준, 혁신활동 수준(5S, TPM, 6Sigma 운동, QC 등)이며, 제품 디자인은 우선 품질경쟁력을 높여 간접적으로 고객만족과 고객 충성을 유발하는 것으로 추정되었다. 상기의 분석결과로부터, 본 연구는 다음과 같은 정책적 함의를 도출하였다. 첫째, 신상품 개발과 혁신을 위한 포괄적인 연구개발 프로젝트를 품질 경쟁력의 주요 결정요인(제품의 기본성능, 신뢰성, 수명(내구성) 및 제품 디자인)과 연계하여 추진해야 할 것이다. 둘째, 기업은 디자인 경영 마인드 제고와 디자인 전문인력 양성을, 대학은 디자인 현장 업무를 통하여 창의력 증진과 기획 및 마케팅 능력 교육을, 정부는 디자인 기술개발 및 디자인 교육지원의 강화를 통하여 각각 디자인 경쟁력$\rightarrow$품질경쟁력을 제고시켜야 할 것이다.

  • PDF

A Study on the Computer application of basic design courses (디자인 기초 교과목의 컴퓨터 응용연구)

  • 도화용;문재호
    • Archives of design research
    • /
    • v.15 no.2
    • /
    • pp.37-46
    • /
    • 2002
  • As the use of computer has become popular it is now essential also in designing tools that the common design tools we have been using are now disappearing. The educational institutions have long started using computers as teaching materials to help students adjust to the real world. Let us introduce a new educational method in drawing, one of the basic courses, using imputer application softwares together with application of the conventional drawing instruments.

  • PDF

Suggestion of Study and Development of Model of Convergent Education Lecture Model of Floral Design and Color (화예디자인과 색채의 융복합 교육 강의모델 연구 및 개발제안)

  • Kim, Yoo Sun;Kim, Saet Byul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loral Art and Design
    • /
    • no.40
    • /
    • pp.63-75
    • /
    • 2019
  • In this study, convergence art education which Based on the overall understanding of color, which is a field of science, the lecture model was constructed in order to operate a fusion curriculum which can be practically expressed by applying it to the artistic field of floral design. The learner was satisfied with the composition of the two lectures (floral design, color) and the way of conducting theory and practice. In addition, they felt that was able to access various areas through one subject. This indicates that learners themselves perceive the purpose and necessity of this study. On the other hand, it is pointed out that the background knowledge level between the majors and the non - majors is different. therefore Continuous feedback and adjustment of the degree of difficulty of the training seems to be necessary to enhance the learner's understanding. In order to develop the floral design, the curriculum development and education model should be built through convergence of various sciences. It is expected that this study will be used as basic data for the development of the curriculum for the artistic design education.

A Study on Lifestyle as a Basic Curriculum for Design Education (디자인교육을 위한 기초교과목으로서 라이프스타일 연구)

  • Mun, Keum-Hi
    • Archives of design research
    • /
    • v.19 no.1 s.63
    • /
    • pp.171-180
    • /
    • 2006
  • Modern design has to be satisfied to user in various social class. Therefore a study of lifestyle is vary important as a basic of design. The logical starting point to grasp the user's needs is begun by consumer analysis. There are many methods of consumer analysis, In them, the study of lifestyle is extremely much used for understanding consumer who is classified with groups. Basic education of design have to teach knowledge and ability which is to be a groundwork for designer. The study of lifestyle is not a purpose itself but one of theoretical knowledge which is requested for design. By induding practical techniques and theory, theory can be achieved through practical techniques and the meaning of theory itself could be recalled. The value of this study is in the suggestion which is the way of approach to research and to study for oneself, by introduce the study through conceptual approach for lifestyle into basic design educational program. For the study of lifestyle, let students have the theoretical knowledge which is concept of lifestyle, modern social form, consumer culture, the way of using lifestyle and theorizing lifestyle, etc, And after, let students make teams for the study of lifestyle for oneself. Every team creates the subject and studies lifestyle of each social dass by the practical way such as Inquiry, observation and interview etc. As a result they have to make a report after the form of paper and let them have a presentation in each team. Students can understand lifestyle through this process not only theoretical but also practical and can be earned an ability for apply to business.

  • PDF

The pedagogical Idea and its Development in the Gradute School Ulm (울름조형대학의 교육이념과 그 발전과정)

  • 이병종
    • Archives of design research
    • /
    • v.11 no.1
    • /
    • pp.21-32
    • /
    • 1998
  • 50년대에 급속한 경제성장을 이룩한 서독은 수출증대를 위하여 대량생산제품의 개발을 통한 국제경쟁력 강화를 꾀하였다. 여기에서 디자인이 제품의 질적 요소로서 그리고 판매증진의 요소로서 이해됨으로써, 제품개발을 위한 디자인의 개발이 강하게 요구되고, 또한 디자이너 양성을 위한 대학의 필요성이 대두되었다. 이러한 사회적 요구에 힘입어, 울름 조형대학은 '53년 8월 그 문을 열게 되었다. 설립초기에서부터 이 대학이 가장 중요하게 내세운 것은 바우하우스의 계승이었다. 그러나 초대 학장 막스 빌의 현대예술 중심적 디자인 관과 바우하우스 교수법을 그대로 답습하는 기초교육과정은 - 과학적으로 객관화된 디자인을“정치적”으로 정립하고자 - 바우하우스 이념을 계승하여 새로운 사회건설을 지향하는 젊은 강사들과 대립되는 것이었다. '55년 토마스 말도나도가 학장직을 대행하면서부터, 과학과목들의 도입과 더불어 바우하우스 계승의 길이 새롭게 모색되기 시작하였다. 그러나 디자인의 과학화 과정에서 과학기술을 맹신적으로 따르는 기술교조주의라는 문제에 즉면 하게 되고, 디자인에서의 과학기술을 사회적으로 재정립하기 위한 방향이 모색된다. 이로부터 인본주의적 인공환경의 건설을 지향하는 사회적 디자인, 즉“환경디자인 Umweltgestaltung”개념이 개발되고, 이의 과학적 방법론이 연구되었다. 결국,“환경디자인”은 울름 조형대학이 궁극적으로 추구한 불변의 이상향이 되었고, 이의 실천을 위한 기본 방법은“유닛시스템디자인Unit System Design(Baukasten-Systemdesign)”이었다. 이와 같이 울름 조형대학은 바우하우스의 계승이라는 대 명제 하에 인본 적으로 객관화된 과학적 디자인 개발에 일관된 노력을 기울였다. 그러나 여기에서 나타난 - 후기산업사회의 인간 중심적 발전을 목적으로 새로이 정립된 - 인본주의라는“정치성”으로 인하여, 결국 '68년 9월 30일 그 문을 닫게 되었다.

  • PDF

Research on toy design based on children's education and experience (교육 및 체험 기반으로 한 어린이 장난감 디자인에 관한 연구)

  • Wang, Zheng;Hong, Dongsik
    • Journal of the Korea Convergence Society
    • /
    • v.13 no.5
    • /
    • pp.119-127
    • /
    • 2022
  • Based on the theory of interactive experience in children's toy design, this paper analyzes and explores the interactive experience of education children's toys. Based on the basic elements of product design, a case study of the popular children's educational toys in the Korean sales rankings was carried out. In addition, according to the user experience model, a questionnaire survey was conducted on the popular children's educational toys sold in Korea. The results show that the top three children's educational toys by sales are smart toys. Satisfaction is highest for feeling, feeling, thinking, acting, and related experiences. It provides a theoretical basis for the interactive experience design of children's smart toys. Design experiential toys that are more suitable for children's physical and mental health and more suitable for children's psychological development.

Development and Verification of User-centered Design Guidelines on Online Support System for Curriculum at primary/secondary schools (초·중등 교육과정 온라인지원시스템의 사용자 중심의 디자인 가이드라인 개발 및 검증)

  • Cha, Hyunjin;Hwang, Yunja;Noh, eunhee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Information Education
    • /
    • v.25 no.3
    • /
    • pp.511-525
    • /
    • 2021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 design guideline to provide user-friendly experience and convenience for the online support system for the curriculum at primary/secondary schools. To achieve the objective, best practices of overseas on the online support system for curriculum as well as prior research were analyzed. In addition, UX/UI usability problems and needs were derived through a survey of 74 professionals and teachers who are monitoring NCIC and high school credit system sites. Based on the analysis of best practices of overseas and survey results, the draft of the design guideline was derived, and Delphi method was conducted by experts to re- vise the design guidelines and evaluate their validity.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suggests the direction of improvement of the system currently being serviced and the direction of the design of the system to be developed in the future, by providing design guidelines that can be generally applied to online support systems that perform tasks related to the curriculum.

A Study of Development of Brand Up Program in Engineering Education (공학교육의 브랜드제고 프로그램 개발연구)

  • Baik, Ran
    • Journal of Engineering Education Research
    • /
    • v.16 no.5
    • /
    • pp.3-8
    • /
    • 2013
  • 본 논문은 창의성교육 프로그램 개발 방향으로 창업교육에 대한 실행방안을 연구 및 기획한 논문이다. 창업의 현황과 문제점을 토대로 교육프로그램 개발하고 공학교육의 창의적 능력 및 정보기획과 분석력 개발교육을 통해 공학교육의 질 제고를 위한 새로운 모델을 제시하고 있다. 본연구의 기초는 공학인증프로그램의 설계교과과정의 내실화가 기본바탕을 이루고 있으며, 교육과정에 추가되는 softskill의 활용도 아울러 요구되고 있다. 특히 설계교과과정의 정점을 이루고 있는 캡스톤디자인(종합설계교과목) 교육성과의 활용도를 적극 활용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고 있다.

A Study on Competency Education through Capstone Design in the Junior College for the Visual Design Major (전문대학 시각디자인과의 캡스톤디자인을 통한 직무교육에 관한 연구)

  • Song, Ji-Young;Kim, Sun-Wha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 /
    • v.16 no.6
    • /
    • pp.183-192
    • /
    • 2016
  •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firstly to research the Capstone Design Learning Model which helps the students to acquire practical industrial skills and knowledge in real business fields, and secondly to analyze the qualitative effectiveness of this model in respect of knowledge, skill and attitude which NCS(National Competence Standards) suggest in industrial design field. In order to study, the second-year students taking the class 'Communication and Design Project(CDP)' of Industrial Design Major of DIT, took part in the Capstone Design Project and proceeded a project 'Character design of the entertainer Robert Holley' in cooperation with a relevant company and the professor in charge of this project. Through this research, it appeared that Capstone design related to visual design tasks improved the technical skills and competence of the students majoring in design. In other words, through analyzing questionnaire survey based on NCS, evaluation from relevant company, and awarding a prize of the design contest, we conclude that this instruction design and action plans have significant meanings to promote the students on-the-job competenc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