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기준음(基準音)

Search Result 436, Processing Time 0.027 seconds

The effects of a temporal masking on the sound laterlization (시간 마스킹이 음상정위에 미치는 영향)

  • Lee, Chai-Bong
    • The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electronic communication sciences
    • /
    • v.5 no.4
    • /
    • pp.352-356
    • /
    • 2010
  • In this study, it is discussed how the directional property of the sound lateralization is influenced by proceeding or succeeding tone. The acoustic source applied here is a reference sound which has 0.5 msec interaural time difference(ITD). Based on this reference sound, interfering sounds with five levels of magnitude are applied to the subjects with four kinds of inter-stimuli time intervals(ISI). The interfering sounds are also added as two different types, proceeding tone and succeeding tone. Additionally, in order to investigate a frequency influence, the reference sound and the interfering sounds are generated by using 2kHz, 4 kHz and a white noise. As a result, the influence on lateralization by proceeding tone is lager than that by succeeding tone. It can consider this result as the effect of temporal masking on lateralization. Moreover, there are small differences of masking effect on lateralization by combinations of pure tone. This result shows that the dependency of frequency domain between reference sound and interfering sound is small on the sound lateralization.

A study on acoustical environment of classrooms (강의실 내 음환경에 관한 연구)

  • Lee Chai-Bong;Kim Yong-Man
    • Proceedings of the Acoustical Society of Korea Conference
    • /
    • spring
    • /
    • pp.501-504
    • /
    • 2002
  • 본 논문에서는 최근 건축공간에 있어서 음환경에 대한 관심이 놓아지면서 학교 건축물에 있어서 강의실내의 음환경을 측정하고, 학교건축물에 대한 음환경 기준을 확립하는 데에 기초자료와 필요한 제안을 하는 것이 목적이다. 현재 음환경 기준은 단순히 소음fp밸이나 잔향 시간과 같은 단순한 물리특성만을 기준으로 하고 있다. 여기서는 강의실 내의 잔향시간, D, STI 등외 물리지표와 설문조사 등 주관적 평가를 통해 새로운 음환경 기준을 제시하려고 한다. 여기서 사용되는 물리지표로는 TSP(Time-Streched-Pulse)신호를 사용하여 잔향시간과 D(Deutlichkeit), STI(Speech Transmission index)를 산출하였다. 강의실의 화자의 위치에서 1.5m 높이에 스피커를 놓고 청취자의 위치인 여섯 점에서 무지향성 마이크로폰을 1.2m 높이에 놓고 마이크로폰으로 들어온 임펄스 응답을 측정하고, 강의실 내의 잔향시간과 D, STI를 산출하였다. 다음에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앞에서 측정한 물리지표와 설문조사를 통해 얻은 주관적 평가와의 상관관계를 파악하였다.

  • PDF

A study on the effect of leading sound and following sound on sound localization (선행음 및 후속음이 음원의 방향지각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Lee, Chai-Bong
    • Journal of the Institute of Convergence Signal Processing
    • /
    • v.16 no.2
    • /
    • pp.40-43
    • /
    • 2015
  • In this paper, the effects of the leading and the following sounds with single frequency on sound localization are investigated. The sounds with different levels and ISIs(Inter Stimuli Intervals) were used. The width of test sound is 2ms, and those of the leading and the following sounds are 10ms. 1 kHz of the test sound is utilized. The arrival time difference in the subject's ears is set to be 0.5ms. The four kinds of level differences used for one ISI are 0, -10, -15, and -20dB interval. The leading sound is found to have more effect on sound localization than the following sound is. The effect of the leading sound is also found to be dependent on the value of ISI. When the value of the ISI is small, different effects affecting the sound localization are observed.

Analysis of the Reverberation Time in the Normalized Impact Sound Pressure Level (경량충격음 평가시 잔향시간 영향에 대한 고려)

  • Park, C.Y.;Hong, G.P.;Kim, S.H.;Jang, D.W.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for Noise and Vibration Engineering Conference
    • /
    • 2007.05a
    • /
    • pp.952-955
    • /
    • 2007
  • 경량충격음레벨을 평가하기 위해서는 수음실의 잔향시간을 측정하여 규준화 바닥충격음레벨을 구하여야 한다. 본 논문에서는 규준화 바닥충격음레벨과 표준화 바닥충격음레벨을 구할 때 고려하는 보정레벨을 중심으로 등가 흡음력을 결정하는 잔향시간과 수음실의 체적을 변수요인으로 분석하였다. 그 결과 측정된 잔향 시간은 공간에 관계없이 기준보다 2배 이상 길게 나타났고, 등가 흡음력은 기준보다 침실의 경우 1/2 정도 작지만 거실의 경우 기준과 거의 유사하게 나타나 침실의 경우 두 보정레벨이 유사하지만 거실의 경우 전자가 후자보다 낮게 보정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

Delay Characteristics and Sound Quality of Space Based Digital Waveguide Model (공간 기준 디지털 도파관 모델의 지연 특성과 합성음의 음질)

  • 강명수;김규년
    • The Journal of the Acoustical Society of Korea
    • /
    • v.22 no.8
    • /
    • pp.680-686
    • /
    • 2003
  • Digital waveguide model is a general method that is used in physical modeling of musical instruments. Wave motion is analyzed by time or by space in digital waveguide model. Because sampling is made via time, it is general that musical instrument model is described by wave motion of time. In this paper, we synthesized the musical instrument sound by adding instrument body model to the spatial based string model. In this way, we could improve sound quality and process musical instrument model's tone control variables effectively. We explained about delay error that happens in string and body in space based sampling and showed method to process fractional delay using FD (Fractional Delay)filter. Finally, we explained the relation between tone quality and number of delays. And we also compared the result with time base digital waveguide model.

Consideration on Rating Method for Heavy Impact Sound Taking Account of the Characteristics of Floor Vibration and Impact Sources (바닥 진동 거동 및 충격원 특성을 고려한 바닥 중량 충격음 평가방법 고찰)

  • Lee, Min-Jung;Choi, Hyun-Ki
    •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for structural maintenance and inspection
    • /
    • v.21 no.4
    • /
    • pp.69-79
    • /
    • 2017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consider the rating method for the floor impact sound insulation performance in current criterion. Although there are some arguments about proper standard heavy impact source with reproducibility of actual impact source in residence building, bang machine is adopted as the only standard heavy impact source in domestic criterion. To inspect the rating methods of evaluation criteria, this study conducted vibration test for both of standard heavy impact sources and actual impact sources. Using the test results, the floor impact sound insulation performance levels were assessed by each of several criteria. In addition, low frequency noise beyond current criteria was evaluated. Consequently, the floor impact sound levels have different performance levels according to adopted criteria, and measured floor impact sounds are bound to annoy the neighbors in the low frequency range. Current criteria does not consider the spectrum characteristics of floor impact sound according to impact sources and low frequency noise. This may cause the difference between the floor impact sound insulation performance level and human perception. Thus current criterion needs to be complemented to reflect the spectrum characteristics of floor impact sound levels according to impact sources and sound pressure levels in low frequency range.

가전기기의 저진동, 저소음 기술 - 저소음화 기술

  • 임무생
    • 전기의세계
    • /
    • v.44 no.10
    • /
    • pp.23-27
    • /
    • 1995
  • 가전기기의 진동과 소음은 제품의 고품질화에 상당히 저해되고 진동에 의한 소음이나 소음에 의한 진동을 해석하기 위하여 부단하게 노력하고 있다. 소리를 음이라 하며 음의 발생을 매질의 움직임에 의한 에너지 전달로 이해하고 있다. 따라서 음은 파동을 가지게 되어 음파(sound wave)로 불리우는 파에 의해 이동되며 이동시 주위의 매질에 압력 파동을 유발시킨다. 따라서 실내에서 발생하는 소리와 목욕탕등에서 나는 소리는 매질의 다른 성질(공기밀도)에 의해 다르게 느껴진다. 일반적으로 음의 주파수라하면 1초동안 음의 고저가 몇번 발생하였는가를 의미하며 사람이 소리로서 느끼는 주파수 범위를 20Hz에서 20kHz로 나타내어 가청 주파수라 한다. 그러나, 소리중에서도 사람에게 불쾌감을 일으키거나 심하면 고통까지 유발시키는 원하지 않는 소리가 있는데 이를 소음(noise)이라 부른다. 가전기기의 중요 소음 발생원이 유체소음, 전자기소음, 기계적소음, 연소소음등 소음원의 종류에 따라 저소음기술을 해석하는데 상당한 차이가 있다. 따라서 사용조건별 설정기준을 정하고 설정기준에 따른 현상소음 lavel보다 약 10dBA보다 낮은 소음 목표치로 설계되어야 한다.

  • PDF

The effect of leading tone and following tone with single frequency on sound lateralization (단일 주파수에서 선행음 및 후속음이 음원의 방향지각에 미치는 영향)

  • Lee, Chai-Bong
    • The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electronic communication sciences
    • /
    • v.5 no.3
    • /
    • pp.251-255
    • /
    • 2010
  • In this study, the effects leading and following tone with single frequency on sound lateralization were investigated. The tone with level difference and ISI(Inter Stimuli Interval) were used. The width of test tone was 2ms, leading tone and following tone were 10ms and 1kHz was used. The arrived time difference of subject's ears 0.5ms. We set four levels on each ISI and let them decide whether they hear the provided sound from left or right. As a result, it knew the fact that leading tone had more effect on sound lateralization than following tone.

Auditory Evoked Responses Relating to the Interaural Crosscorrelation of Sound Field (음장에서의 두 귀 상관도와 청각 유발 반응과의 상관)

  • 강성훈
    • The Journal of the Acoustical Society of Korea
    • /
    • v.11 no.1E
    • /
    • pp.64-72
    • /
    • 1992
  • 본 연구는 음장의 주관 확산감과 관련있는 두 귀에 입사하는 신호의 상호상관도와 청각유발 반 응과의 관계를 밝히기 위한 것이다. 실험은 중신 주파수가 500Hz인 1/3옥타브 대역잡음을 이용하여 IACC를 0.95에서 0.1까지 가변시키면서 AER을 기록하였다. IACC와 주관확산감과의 함수 결과와 비교 하기 위하여 기준음과 테스트음의 쌍을 교대로 제시하면서 AER을 청각 부위에서 기록하였다. 그 결과 테스트음에 대해 IACC와 관련된 정보는 AER의 반응시간에 나타났고, IACC의 크기가 감소함에 따라 반응시간이 길어지는 경향이 나타났다. 여기에서 IACC와 AER의 반응시간과는 선형관계를 나타냈다. 이 결과는 청각계에서 음장의 IACCDP 반응하는 뉴런이나 메카니즘이 존재하는 것을 암시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 PDF

A Study on the Classfiction of Sounds by Psycho-acoustic Experiment (음향심리실험에 의한 음의 유형화에 관한 연구)

  • 김선우;장길수;이태강;한명호
    • The Journal of the Acoustical Society of Korea
    • /
    • v.12 no.6
    • /
    • pp.36-44
    • /
    • 1993
  • 효과적인 음향대책을 수립하기 위해서는 어떠한 음과 언어로써 표현하여 그 주관적인 가치기준을 설정할 것인가가 중요하다. 이를 위해서는 음의 물리적 특성과 인간의 청각간의 상호관계를 규명하는 심리 연구가 필요하며, 이를 통해서 음의 효율적 평가체계를 확립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음에 대한 주관적 감각표현으로써 음원기술선택법을 이용한 음향심리실험에 의해서 음에 대한 감각적 인상으로부터 음을 유형화하였다. 실험에 참여한 피험자는 221명이고, 41개의 음원과 음을 수식하는 48개의 형용사를 이용하여 그 유사도의 차이를 군집분석을 하였다. 그 결과, 생활환경음은 "금속성이고 시끄러운 음", "날카롭고 긴장되는 음", " 울려퍼지고 강한 음 ", " 밝고 활기찬 음 ", " 적막하고 여린 음", "조화롭고 부드러운 음", "안정되고 적당한 음"의 그룹으로 분류된다.

  • PDF